검색 상세

초등 사회과 역사영역 연계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연구 : 서울 올림픽 사례 제시

Case study on Seoul Olympics for history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초록/요약

박물관은 유물을 통해 그 당시 역사를 볼 수 있는 공간으로 최근 교육적 기능이 부각되고 있다. ‘역사’교과서에서도 이러한 흐름에 따라 유물이 다양하게 수록되어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들은 전·근대 시기에 주로 서술되어있으며 현대사 부분에 박물관 유물의 서술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현대사는 현재 우리나라의 역사와 가장 밀접한 부분으로 학생들이 보다 쉽게 그 당시 역사를 익힐 수 있는 부분이다. 박물관 전시와 연계된 교육프로그램을 설정하기 위해 박물관 전시연계프로그램의 연구 동향을 알아보았다. 박물관 전시연계프로그램은 크게 박물관에서 주체로 진행된 박물관에 의한 교육과 학교 교사들이 중심이 되어 개발된 박물관에서의 교육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들은 학교 교과서와의 연계성 부족과 박물관 현장학습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제 사례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우리나라 현대사의 역사 이야기를 가지고 있는 실제 전시물을 활용하여 우리 현대사의 사건인 올림픽을 주제로 한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제시해보았다. 현대사를 주제로 내용을 구성하고자 현대사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7차 교육과정에서 현대사는 대통령 위주의 역사 흐름에 따라 교과서가 서술되었다. 그러나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현대사의 중요성에 따라 대통령 위주의 역사 흐름에 벗어나 현대사의 서술이 늘어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방과 분단의 8년 동안 역사가 현대사 전체분량의 1/3을 차지하고 있어 87년 이후 약 25년의 역사를 1차수 내에 끝내야하는 상황이다. 박물관 유물로 현대사 수업을 구성하면 학생들로 하여금 역사를 글로만 이해해야하는 한계를 줄여 줄 수 있다. 더욱이 그 당시 역사와 관련된 유물 이야기는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과 그 당시 상황을 상상할 수 있는 감정 이입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현대사 수업 방안은 사전학습, 전시실 학습, 사후 학습 3단계를 통해 박물관 유물을 활용한 현대사 수업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사전학습에서는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중심으로 우리나라가 참가했던 올림픽의 역사(1936년 베를린 올림픽, 1948년 런던올림픽)와 1988년 서울 올림픽을 개최하기 위한 역사적 사건, 그리고 이를 통해 이루게 된 결과를 유물과 연계하여 이야기로 배울 수 있게 구성하였다. 이후 전시실활동에서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제 4전시실을 통해 박물관 유물을 선정하여 활동지를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그 활동지에서는 학생들이 단순 유물을 보고 하는 활동 이외에 실제 자신이 이 상황이었으면 어땠는지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발문 활동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후활동은 각 올림픽과 미래의 올림픽에 대해 나무액자의 오륜기를 통해 생각하는 바를 써보고 점자를 활용하여 교육 제목을 써보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활동 후 설문지를 통해 현대사를 주제로 한 박물관 전시연계프로그램의 학생들에게 근 · 현대사 역사적 관심을 주었다는 사실과 박물관에 대한 흥미도 향상, 박물관 전시연계프로그램 운영방향(사전학습→ 전시실활동→사후학습)이 학생들의 이해도에 도움이 되었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현대사 수업 방식은 교과서의 올림픽 서술 부족으로 인한 연계성 부족과 전시 연계프로그램 참여인원의 한계가 있다. 그러나 이 같은 현대사를 주제로 한 박물관 전시연계프로그램의 사례는 향후 현대사를 주제로 하는 활동에 좋은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more

초록/요약

Museum is the place where you can learn history through relics and its educational function has recently been receiving attention. With this stream, history textbook contains many different artifacts but most of them are from pre-modern era. Modern history artifacts have not been fully covered even though learning it is closely connected to understanding the present. In order to develop museum education program,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search trends. Museum education program is largely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museum-led or instructor-led program. But both of them have not been closely connected to history textbook and practically utilized in museum field trip. Therefore, with this background in mind, the study suggests practical museum education program on Olympic Games, which is one of the biggest events in the modern history. The study also analyzed modern history curriculum and textbook to figure out the defect of modern history classes. History textbook of 7th National Curriculum described the flow of modern history mainly focusing on presidents. However, textbook of 2007 revised curriculum covers modern history more thoroughly, out of the president-centered description. Nevertheless, 1/3 of modern history part of textbook is used to describe 8 years of liberation and division. It means around 25years after 1987 need to be covered within one class Participating in the modern history education program with artifacts, students can raise historical thinking ability and develop empathy with historical situation, overcoming the limits of learning it only in text. The study suggests pedagogy of modern history consisting of 3 steps(pre-learning, exhibition learning, post learning)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modern history by utilizing museum artifacts. Pre-learning is based on storytelling, mainly focusing on history of Olympic Games that Korea participated in(1936 Berlin Olympics, 1948 London Olympics, 1988 Seoul Olympics), historical events and the results of 1988 Seoul Olympics. As an exhibition learning, the study developed the worksheet specifically based on the artifacts in exhibition hall 4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The worksheet was not only about learning the facts related to artifacts, but also provided questioning activities that ask students what they would have done if they had been in historical situation. Lastly, in post learning, students wrote their thinking about the past and future Olympics using Olympic symbols in the wooden frame. Students also had a chance to write the title of education program in braille. By conducting a survey after the activities, the study demonstrated that museum education program on modern history engages students' attention to museum modern history and each steps (pre-learning->exhibition learning->post learning) helped students to better understand the historical contents. The study has its limits in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pedagogy and textbook is insufficient due to lack of description of Olympic Games in the textbook. The number of participants is also deficient. However, it is believed that this case study would provide a useful example for the further research on modern history education program.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