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 ‘가디언즈’를 활용한 초등학생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자아이해’영역에서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Utilization of the Animation Film ‘Rise of the Guardians’ and Effects : Centered Around Improvement of Self-Esteem in the Area of ‘Self-Understanding’
- 주제(키워드) 진로교육 , 자아이해 , 자아존중감 , 애니메이션 , 성장담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김양은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언론대학원 미디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563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 애니메이션 ‘가디언즈(Rise of The Guardians)’를 활용한 초등학생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더불어 프로그램의 효과가 진로교육 자체에서 오는 것인지, 애니메이션의 활용에 따른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진로교육의 개념을 알아보고 초등학교 진로교육에서 자아존중감이 지닌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자아존중감은 자기 자신에 대해 스스로 평가하는 것으로, 단일차원적 접근이 아닌 다차원적인 접근을 통해 보다 자세히 파악될 수 있다.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 Rosenberg(1979)의 자아존중감 4요인을 바탕으로, 자신에 대한 평가와 자기믿음을 통해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애니메이션은 성장담을 주요한 스토리텔링 전략으로 삼기 때문에 주인공의 자아존중감 향상 과정이 잘 나타나 있고, 학생들이 등장인물에 대한 동일시 및 동일화를 이룰 요소들이 많아 초등학생의 진로교육 프로그램 활용에 적합하다.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교수체제설계 기본 모형인 ADDIE 모형과 Tulodziecki(1997)의 ‘미디어활용교육 및 교육콘텐츠 개발 7단계 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보다 적합한 개발을 위해 ADDIE 모형의 개발단계(Development)를 3단계(애니메이션 선정 및 내용분석, 학습요소 추출 및 조직화, 차시별 수업구성)로 세분화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경기도 시흥의 K초등학교 4학년 학생 56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세 집단(실험집단, 통제집단A, 통제집단B)을 통해 이뤄졌다. 실험집단은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한 집단이며, 통제집단A는 어떠한 처치를 하지 않은 집단, 통제집단B는 애니메이션이 제외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한 집단이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A를 통해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진로교육 때문인지, 애니메이션 때문인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B를 비교하였다. 실험집단의 수업은 총 7차시 분량으로 주인공 잭의 성장단계를 따라가는 흐름으로 각 차시 수업은 애니메이션 장면 읽기와 그에 따른 자아존중감 향상 활동(나의 모습 발견, 마트로사카 만들기, 두려움 찾기 등)으로 이뤄졌다. 통제집단B는 애니메이션 활용을 제외한 모든 활동이 실험집단과 동일하며, 실험집단이 애니메이션 시청하는 2차시가 제외되어 총 5차시 수업이 진행되었다. 연구 가설 검증을 위해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실험 결과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켰으며, 특히 총체적 자아존중감과 가정적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애니메이션 활용 자체가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비판적인 자기 평가와 자기 믿음이 형성이 된 것을 확인하였고, 자기표현력이 향상된 아이들도 관찰되었다. 애니메이션의 활용은 아이들에게 수업에 대한 흥미와 몰입도, 이해를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진로교육과 달리 비판적인 자기평가 및 자기믿음을 함양을 통해 보다 적극적인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또한 진로교육에서 애니메이션의 활용가치를 발견한 것에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시간적 제약으로 학생중심의 수업이 이뤄지지 못한 점과 연구 대상이 경기도 시흥의 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 56명으로 소규모라는 점 등은 한계로 남는다.
more초록/요약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purposed to improve their self-esteem by utilizing the animation film ‘Rise of the Guardians’, as well as verify the effect of such program. Further, the study reviews whether the effect of the above program comes from career education itself or the utilization of an animation film. In order to achieve its goal, this study first delved into the concept of career education and the significance of self-esteem in terms of career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reflects a person's evaluation of his or her own worth, which can be further clarified through a multi-dimensional approach, rather than a single-dimensional approach. Th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4 factors of self-esteem developed by Rosenberg (1979), which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through self-evaluation and self-trust. Animation films are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ince most animation films take the approach of storytelling surrounding the protagonist’s growth, due to which they well depict the gradual improvement of the protagonists’ self-esteem and include many factors which children may easily identify themselves with. The ADDIE model, which is one of the basic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model, and the ‘7 staged model for development of media-based education and education contents’ of Tulodziecki (1997) was used to develop the program for this research. In order to develop a program optimal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development stage of ADDIE model was further divided into 3 stages (selection and analysis of animation, extra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organization, class composition by lessons). To carry out the study, lessons were conducted targeting a total of 56 fourth grade students of K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iheung-si, Gyeonggi-do.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experimental group, control group A and control group B). Animation-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carried out for the experimental group, no actions were taken against the control group A and career education program which excluded the usage of animation film was carried out for the control group B. The effect of the animation-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proven through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 Moreover, this study compared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 to find out whether the effect of the animation-based program was attributable to career education or animation. The experiment carried out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7 lessons which followed the growth phases of the protagonists, ‘Jack’, and each lesson consisted of observing animation clips and undertaking self-esteem improvement activities (discovering myself, making Matryoshka, finding out my fear, etc.). All activities designed for the control group B was same as the experimental group except from the utilization of animation, due to which there were a total of 5 lessons, with the exclusion of 2 lessons which were designed for watching the animation.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experiment, animation-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improved the self-esteem of students and it was especially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overall self-esteem and hypothetical self-esteem. Also,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utilization of animation itself had meaningful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self-esteem. Through the qualitativ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learned the ability of critical self-evaluation and formed self-trust, and some students showed improved self-expression. It was proved that the use of animation improved students’ interest in, concentration on and comprehension of the lessons they participate in. This study has its implications in that, different from existing career educations, it developed a further proactive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through the development of critical self-evaluation skill and improvement of self-trust. Also,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iscovered the value of animation in terms of career education. However, this study also has its limits as the lessons were not conducted in a student-oriented manner due to time limits and that the size of the experiment was small, consisting of 56 fourth grade students of K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iheung-si, Gyeonggi-do.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