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 아렌트를 통해서 본 정치적 무관심과 무사유
The Problems of the Political Indifference and Thoughtlessness in Hannah Arendt’s Political Philosophy
- 주제(키워드) "무관심" , "사유" , "무사유" , "판단" , "노동" , "순응주의" , "사회"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강영안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철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5628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이 논문은 ‘정당한 정치적 판단이 어떻게 가능한가'의 문제를 해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왜 사람들은 정치에 무관심한가'의 문제를 먼저 해명한다. 왜냐하면 정치에 대한 무관심은 정치적 판단의 타당성을 현저히 약화시키기 때문이다. 먼저 우리는 정치적 무관심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살핀다. 이것을 위해 아렌트의 공사 영역 개념과 사회의 개념에 대해 다룬다. 사적 영역의 활동이던 경제에 대한 관심이 공적 영역을 정복하면서 공적 영역이 쇠퇴하고, 사적 영역의 활동이며 노예의 일이던 노동이 인간의 지배적 활동이 된다. 노동이 지배적 활동이 된 노동 사회의 문제는 무세계성, 획일성, 은폐성이다. 노동 사회의 위험은 노동의 무세계성으로 인한 고립과 외로움, 노동의 획일성으로 인한 개성의 제거, 그리고 인간이 노예임을 은폐함으로써 인간의 자유를 저해하는 것이다. 이것들은 인간에게서 인간성을 제거함으로써 그를 동물이나 사물과 같은 존재로 만들어 버린다. 사회에서 인간은 인간성을 빼앗긴다. 순응주의는 인간성의 제거된 인간 사회의 정신이다. 노동 사회의 인간성 박탈과 순응주의는 역사에서 전체주의로 이어졌다. 순응주의의 가정은 인간이 사유하지 않고 다만 반응하는 동물이라는 것이다. 순응주의적 인간은 잘 살기 위해 사회의 요구에 따라 행동한다. 전체주의는 오직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해서만 사는 순응주의적 사회에 도래할 수 있는 정치적 파국의 실례로서 역사상에 나타났다. 그리고 아렌트는 순응주의와 전체주의적 악의 문제가 무사유와 깊은 연관이 있음을 보인다. 아렌트는 사유를 노동 사회가 불러올 수 있는 정치적 파국의 대안으로 제시한다. 타인을 고려하여 행위하는 것은 인간을 순응주의로부터 해방시킨다. 사유는 또한 판단을 해방시킨다. 사유는 나와 나의 대화이다. 따라서 무사유는 정신의 대화의 부재이다. 양심은 내 안의 나로서, 내가 이 대화를 시작하지 않는 한 내 앞에 나타나지 않는다. ‘잘 살고자 하는’ 사람이 해야 하는 유일한 일은 이 대화를 시작하지 않는 것뿐이다. 사유는 타인을 끌어들임으로써 판단을 가능하게 한다. 사유는 정신을 확장함으로써 더 많은 사람들을 고려할 수 있게 되고 그럼으로써 판단을 위한 불편부당성을 획득한다. 타인을 고려하는 사유만이 올바른 판단을 가능하게 한다. 판단은 공동체적 정신활동이다. 우리는 어떻게 올바른 정치적 판단을 내릴 수 있는가? 왜 독일 국민들은 판단에 실패했는가? 그것은 그들이 순응주의적이었고 사유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공적 영역의 쇠퇴는 노동 중심의 사회로, 순응주의로, 무사유로, 그리고 마침내 전체주의로 이어졌다. 우리 사회는 어디쯤 있는가? 전체주의는 지나간 세기의 문제인가? 정치적으로 적실성 있는 판단을 내리기 위해, 또 정치적 파국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타인을 초청하는 사유이다.
more초록/요약
In this thesis, I elucidate on "how one can make a politically-sound judgment." For this, first of all, I clarify "why people do not care about politics," because indifference to politics weakens the validity of political judgment remarkably. First, I survey the cause of the indifference to politics, for which I deal with the concepts of the public and the private realms, as well as the concept of the society. When care for the economy, which belongs to the private realm, conquers the public realm, which declines, then labor which was the activity of slaves becomes the dominant activity of the society. The problems of a "labor society" are “worldlessness”, “uniformity”, and “concealment”. The dangers of a labor society, on the other hand, are isolation and loneliness caused by worldlessness, the elimination of individuality that prompted by the uniformity of labor, and the hindrance to the freedom of a human due to the society concealing the fact that he/she is a slave. Eliminating humanity from a human turns him/her into something like an animal or an object. In society, thus, a human is deprived of humanity. Conformism is the spirit of a society of humans deprived of humanity. The deprivation of humanity in a labor society and conformism have led to totalitarianism in history. The assumption of conformism is that a human is an animal which does not think but only reacts. A conformable human behaves on the request of society to live well. Totalitarianism emerged in history as an example of a political catastrophe that could happen in a conformable society, in which people only live for their privacy. Hannah Arendt demonstrates the remarkable connection between the evil of totalitarianism and thoughtlessness. Arendt proposes the act of thinking as an alternative for the political catastrophe that a labor society could cause. Acting with respect to others makes a human free from conformism. Thinking, additionally, liberates the faculty of judgment. Thinking is a dialogue between me and myself. Thoughtlessness, on the other hand, is the absence of mental dialogue. Conscience, which is me in myself, does not appear unless I start this dialogue. Consequently, all that an individual who "means to live well" has to do is just to never start it. Because thinking involves others, it enables one to judge soundly. Enlarging the mind, the act of thinking is able to consider more people, by which one can acquire the impartiality one needs for judgment. Thinking that involves the consideration of others is the only way one can make right judgments, which ultimately is mental activity involving the community of the mankind. How can we make a right judgment on political problems? Why did Germans fail in their historic and political decision to judge? It is because they were conformal and could not carry out the "enlargement of the mind." The decline of the public realm led to a labor-centered society, to conformism, to thoughtlessness, and to totalitarianism in the end. Where are we and our society? Is it the past the question of totalitarianism? Thinking is the crucial human capability that we need most to make right judgment on the political problems and to prevent the political catastroph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