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영화 재현을 통한 스펙터클 표현의 의미에 관한 연구 : 1950년대 이후의 6·25전쟁영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aning of Spectacle Expression in the Film Representation: Focusing on the Korean War Films since 1950s

초록/요약

본 논문은 1950년대 이후 6·25전쟁을 다룬 7편의 영화를 통해 한국 전쟁영화에 나타난 표현의 양상과 이를 둘러싼 사회적 맥락의 관계를 탐구한 논문이다. 이를 위하여 영화의 시각적인 구조에 대한 탐구와 함께 영화의 재현체계에 대한 논의를 선행하였다. 또한 한국의 전쟁영화를 둘러싼 맥락인 정치, 기술, 제도, 자본에 대한 역사적 연구를 동시에 진행 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영화가 시각적인 매체인 동시에 사회적 매체라는 관점을 반영한 것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스펙터클에 주목하였다. 왜냐하면, 스펙터클은 당대의 제작환경, 자본, 기술력, 이데올로기 등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영화의 표현에 대한 집약적인 표상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펙터클과 관련한 연구문제는 카메라의 움직임, 초점심도, 편집의 속도, 숏의 크기, 장면의 리듬감, 내러티브와 스펙터클의 관계에 대한 장면분석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분석결과에 나타나는 표현의 배경과 사회적 맥락에 대한 문제를 포함시켰다. 스펙터클 표현의 문제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론은 솔트(B. Salt)의 통계적 영화 분석방법을 본 논문에 맞게 수정하고 적용하였으며, 이 결과를 가지고 질적인 해석을 시도하였다. 솔트(B. Salt)의 방법론을 분석의 출발점으로 삼은 이유는 영화의 시간은 프레임과 초, 분으로 나눠지는 절대적인 기준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간의 흐름을 따라 발생하는 각 요소의 빈도나 분포는 일정한 의미를 가지게 되고, 이러한 분석을 통해 영화의 표현과 그 의미에 보다 심층적으로 접근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1950년대 이후 한국의 전쟁영화는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카메라의 움직임은 커지며 초점심도는 점점 깊어지고 있었다. 다양한 숏 크기와 짧아지는 편집을 통해 전쟁의 상황을 실재적이고 집중적으로 전달해 주고 있었다. 또한 영화의 리듬감은 할리우드의 블록버스터 영화와 유사한 양상으로 재현되고 있었다. 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6·25전쟁에 대한 이데올로기의 변화와 함께, 확장되는 자본과 발달된 기술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국, 한국의 전쟁영화는 기술적 극대화라는 차원을 넘어서서, 스펙터클의 압도하는 힘과 정밀한 묘사의 결합을 통해 국가나 자본이 의도하는 요구를 보다 정교하게 담아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ore

초록/요약

This thesis attempts to analyze the diverse aspects of the spectacle expression in the film representation, along with its social context through re-examining the seven Korean War movies. A serious research on the debates concerning the representation system and visual construction of films has been made as a prelude to the main parts of this study. It also includes the critical reflections on politics, technological development, policy, and historical review of how the capital began to control the film industry, all of which have played significantly as a social context of the Korean War movies, since the film could be defined not only as a visual media but also a social media. The major reason I chose the spectacle films as the focus of my study is that they vividly embody the film production environments, capital control over the films, the dimension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ideologies of the times concerned. All of these elements articul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lm expressions. The research questions imply the camera movement, the depth of focus, the average shot length, the scale of shot, the velocity of editing, rhythm of sequences, and the sequenc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rrative and the spectacle. A critical question to the background and the social contexts of the film expression is also completed. Barry Salt’s “statistical style analysis of motion pictures” functions as pivotal components of my methodological approach to the questions of the spectacle expressions. A revised one of my own on the basis of Barry Salt’s method helps me to delve into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film expressions, since the film presupposes the absolute time standard which involves seconds and the minutes. As we know that the flow of times could create the particular meanings of each sequence, the deeper analysis of the frequency or distribution of times reveals the connotations of the film expressions. My study demonstrat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how the Korean War films have maximized the visual effects, camera movement and deepened the depth of focus. It also shows how the Korean War films have successfully represented the war situation with real and intensive descriptions. The rhythm of the war movies has assimilated the Hollywood blockbuster films. This thesis verified the considerable impacts of the ideological variations of the Korean War on the war movies and the capital control over the film industry as well as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conclusion, the Korean War films noticeably represent what the state and the capital require the film industry to create on the basis of the overwhelming spectacular depiction of the war situation with concentrated portrayal of the details, which has been possible through technological improvemen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