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과 자서전적 기억의 구체성 : 감정 단서 단어를 사용하여 살펴본 실행 기능과 반추의 역할
Depression and Specificity in Autobiographical Memory: Examining the Role of Executive Function and Rumination Using Emotional Cue Words
- 주제(키워드) depression , autobiographical memory , overgeneral memory , executive function , rumina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안명희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560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자서전적 기억의 구체성 수준에 미치는 실행 기능과 반추의 영향을 감정 단서 단어를 사용하여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우울 집단 19명과 비우울 집단 20명을 대상으로 숫자 외우기 검사, 두 번의 자서전적 기억 검사(단일 과제 및 이중 과제 조건), 반추적 반응 양식 척도, Beck의 우울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울 집단과 비우울 집단의 실행 기능 수준에는 차이가 없었다. 구체적 기억 수에 대한 분산분석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들이 관찰되었다. 첫째, 집단의 주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구체적 기억 수에 대한 집단 간의 차이는 없었다. 둘째, 단어 정서가의 주효과가 유의하였다. 참가자들은 부정 단어보다 긍정 단어를 보고 구체적 기억을 더 많이 회상하였다. 셋째, 집단과 조건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비우울 집단의 경우 구체적 기억 수에 대한 과제 조건 간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우울 집단의 경우 단일 과제 조건에 비해 이중 과제 조건에서 기억 구체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이중 과제 조건에서 우울 집단은 구체적 기억은 더 많이 회상하고, 범주 기억은 더 적게 회상하였다. 넷째, 이와 같은 상호작용 결과는 BDI 점수를 통계적으로 통제한 후에도 여전히 유의하였지만, 반추 총 점수 또는 자책을 통제한 후에는 더 이상 유의하지 않았다. 그 외 주효과나 상호작용 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의 함의 및 제한점을 논의에 기술하였다.
more초록/요약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ontributions of executive function and rumination on reduced autobiographical memory specificity using emotional cue words. Nineteen subjects in the depressed group and twenty subjects in the non-depressed group completed the Digit Span, Autobiographical Memory Task, both under single- and dual-task condition. They also filled out self-report questionnaire on Ruminative Response Scale,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executive function between these two groups. Analysis based on the number of specific memories revealed no significant main effect. Subjects in the depressed group did not recall fewer specific memories compared to subjects in the non-depressed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cue valence. Both groups retrieved more specific autobiographical memories in response to positive, but not negative cue words.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and condition. The subjects in the non-depressed group showed no difference in memory specificity regardless of the task condition, whereas subjects in the depressed group generated more specific memories and less categorical memories under dual compared to single task condition. The interaction effect remained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for BDI scores.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was not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for total scores of rumination or brooding. No other main effects or interaction effect were significant.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current findings in executive function, rumination, and autobiographical memory specificity a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