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사회불안을 호소하는 동성애자 남성의 사회적 지지 특성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the Qualities of Social Support Among Socially Anxious Males with Homosexual Orientation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하여 동성애적 지향성을 지닌 남성이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상황과 그 경험 기제, 사회불안을 완충할 수 있는 사회적 지지의 특성, 그리고 사회적 지지 대상에 접근하는 경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인의 성적 지향성이 동성애적이라고 응답한 남성 9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3명의 분석팀원과 1명의 감수자에 의하여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사회불안과 사회적 지지의 2개 영역이 도출되었고, 이에 따라 총 12개의 하위 영역과 39개의 범주가 구성되었다. 범주는 특정 범주에 해당하는 사례의 수가 9개인 경우는 일반적, 5-8개인 경우는 전형적, 그리고 2-4개인 경우는 변동적으로 구분되었다. 분석 결과, 사회불안은 일반적인 사회불안의 특성과 더불어 동성애적 지향성과 관련된 사회맥락적 특성을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참가자는 자신이 경험하였던 사회불안이 사회적 지지에 의하여 감소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이들이 지지적이라고 지각한 사회적 지지의 특성으로는, 동성애적 지향성의 특성 및 동성애자의 생활양식에 대한 상대방의 올바른 이해와 수용, 자신이 처한 상황이 요구하는 구체적인 도움이나 서비스의 제공, 그리고 자신의 성적 지향성이 타인에게 알려지지 않는 방식으로 사회적 지지가 전달되는 것 등이 있었다. 본 연구의 참가자가 지지적인 대상을 만나는 경로는 크게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구분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온라인 경로가 일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존하는 온라인 경로는 체계상 개인적 신상 정보, 미성년자의 보호에 대한 측면에서 미흡하였고, 악용되는 경우도 존재하였다. 마지막으로, 동성애에 대한 한국의 고유한 사회문화적 영향 및 차별과 편견에 대한 해결 방안, 동성애자 남성이 경험하는 사회불안에 대한 접근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qualities of social anxiety and social support among socially anxious males with homosexual orientation by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Nine males ranging from 19 to 26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primary researcher of the study, and analyzed by three coders and one auditor. Two domains, 12 sub-domains and 39 categories emerged from the data. Categories classified as general included all cases, and typical categories included at least more than half of the cases, while variant categories ranged from 2 to 4 cases. Social anxiety reported by the participants embodied general qualities of social anxiety, as well as unique qualities associated with homosexual orientation. Research participants pointed out that qualities such as accurate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sexual orientation and lifestyles of homosexuals, provision of specific help or service that best suits their needs, considerate way of delivering social support that protects their sexual orientation from being exposed to others were perceived as supportive. Two primary paths of approaching supportive individuals or groups were reported: online and offline. Implications to intervene social anxiety of individuals with homosexual orientation, considerations on the unique sociocultural influence of South Korea on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