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2009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체육과 평가실태 비교·분석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Assessment Status of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under 2009 Revised Nationa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 연구인 이규일·허창혁(2011)의‘2007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체육과 평가 실태 분석’과 2009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평가 실태를 비교하여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그리고 학교 알리미 서비스 및 여러 문헌을 통해서 비교·분석하여 학교 현장 적용 실태를 알아보고 현재 중학교에서 시행되는 2009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평가에서 개선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선행연구와 동일하게 서울특별시교육청 관할지역에 있는 87개 중학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도구 및 방법의 틀은 선행연구자의 틀을 이용하였다. 매년 4월과 9월에 업로드 되는 해당 학년도의 각종 계획을 한 달 동안 교육정보공시서비스인 학교 알리미 홈페이지에서 연간평가계획과 교과별(학년별) 평가계획을 자료를 다운받아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각종 문헌자료 참고하여 분석에 도움을 얻었다. 문서내용의 2009 개정 교육과정 적용과 실기평가 비율, 태도평가 비율, 태도 평가 방법, 학년별 평가 종목 수, 종목의 구체적 평가 내용 등의 연구에 필요한 내용만 추출하여 엑셀파일로 정리하였다. 정리 작업은 1·2학년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자료 선정과 정리 작업이 끝난 후 통계가 가능하게 코딩하고 이 자료를 Excel 2007을 이용해 모든 항목의 내용을 빈도와 비율로 나타내고 항목 간 교차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실태는 약 13%(11개교)만 교육과정 문서의 내용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었고 비교된 선행연구에서 제대로 반영한 학교 71%(62개교)의 적용비율에 비하면 58%나 감소하였다. 문서를 모두 적용한 학교의 기준은 해당 학교의 교과별(학년별) 평가계획 문서에 개정 교육과정 문서의 내용이 모두 반영이 된 경우이며 특히, 한 학년에 다섯 가지 신체활동 영역이 전부 반영되어 있는지를 중점으로 보았다. 기능, 지식, 태도의 영역별 평가 비중은 「65:28:11」로 기능의 평가비중이 컸으며, 1학년의 실기평가 종목 수 에서는 자유학기제를 시행하고 있는 학교의 경우 0종목을 반영하는 학교도 있었다. 평가방법의 유형에서는 기록(횟수, 시간)의 비중이 크게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2007-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에선 학교에 자율권을 확대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약간의 변화는 있었지만 학교와 교사들은 아직까지 표면적인 수준에서 실시하고 있었다. 또한 자유학기제를 실시하는 학교와 대부분의 중학교에서는 교육과정의 적용에서도 다섯 가지 활동 영역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학교와 교사들이 개정교육과정의 문서에 대한 연계성 평가를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제도적인 방안과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improvements from the field application assessment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which had been implemented in contemporary middle school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various documents and School Information service. The study focu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assessment status with the previous research, Lee·Huh(2011). The subject, analysis equipment, and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followed the former research. Eighty seven middle schools under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were selected.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zed various plans of 2014 academic year. The plans were uploaded on the School Information homepage, which was the official Education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Service, every April and September. In addition, the researcher analyzed their annual evaluation plans and performance evaluation plans related to each subject and academic year. This study extracted the related data from the document and arranged the data with excel file. With respect to the current assessment status of P.E. in the middle school under 2009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approximately 13% (11 schools) were properly applied the contents of the revised curriculum, which results in 58% decrease compared to the preceding study (71%, 61 schools). If a school applies the five physical activities on the assessment plan of P.E thoroughly, the researcher considers it as applying the whole contents of the revised curriculum. The proportion of the assessment in skill, knowledge, and attitude was 65:28:11. The proportion of skill was most high. Some schools which enforced Free Learning Semester reflected zero event among the number of ev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of junior. In conclusion, from the contents of 2007-2009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there was expansion of each school's autonomy and slight change from the 2009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However, schools and teachers still followed the curriculum only the superficial level. The study also suggested that the most of the schools including those currently implementing Free Learning Semester did PE assessment without adequately applying the five activity domains. Therefore, the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on the application of the revised curriculum to the field and the development of the tests which are closely relevant to the revised curriculum as well.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