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Refusal Speech Acts under Game Theory : Power Difference in Family Interactions in Korean
- 주제(키워드) 거절화행 , 게임이론 , 요청과 거절 , 직접화행 , 간접화행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이성범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영어영문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5571
- 본문언어 영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이 논문은 거절 화행 전략이 의사 소통 상대방과의 관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게임이론을 분석의 틀로 삼아 분석하였다. 거절 화행은 요청 화행의 결과로 나타난다. 요청하는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무언가를 요구할 때, 상대방은 요청으로 인한 부담감이 생긴다. 요청을 받은 사람들은 요청이 야기하는 부담감 혹은 요청으로 인한 체면 손상을 경험한다. 이를 피하기 위해 응답자는 요청에 대한 거절 화행을 수행한다. 거절화행은 크게 직접 거절 화행 전략과 간접 거절 화행 전략으로 나뉜다. 게임이론은 게임 참가자들이 경쟁적 관계에 있을 때 각자의 이익을 위해 선택하는 전략이 상호간의 관계에 따라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 분석하는 틀이다. 대화 행위는 대화 참여자들이 자신이 추구하는 바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고 이에 대한 결과가 하나의 담화가 된다. 전략이 있으면 게임이론을 통해 다양한 전략적 조합의 결과를 살펴 볼 수 있다. 따라서 대화 화행 전략과 게임이론의 접목은 게임이론을 통해 수치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개연성을 갖는다. 이 글의 제시문들은 모두 가족간의 거절화행에 관한 것이다. 각 제시문들은 Brown and Levinson (1987) 에서 구분한 사회적 변수 중 힘의 변수가 달라지는 경우에 따라 분류 및 분석되었다. 힘의 변수가 대화 관계에서 어떻게 달라지는가는 세 가지 조건을 형성한다. 이는 요청자가 거절하는 이보다 힘이 셀 때, 요청자가 거절하는 이보다 힘이 약할 때, 그리고 요청하는 이가 거절하는 이와 힘이 같을 때이다. 본 글은 각각의 제시문에 게임이론을 이용한 임의적 수치 값을 부여하여 화행 전략의 해가 어디서 형성되는가를 보았다. 게임이론은 게임 참여자가 가장 이성적으로 자신이 가질 수 있는 최상의 이익을 선택할 때 내쉬의 균형점을 해로 갖는다. 이는 대화 행위를 게임이론으로 분석했을 때 생기는 내쉬의 균형이 대화 화자들이 서로의 최상의 이익을 추구할 때 나타나는 가장 일반적인 대화 전략 행위를 표상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즉 내쉬의 균형점은 대화전략에서 가장 이상적인 답으로써 상대방이 이렇게 대답할 것이라는 예상 대답을 예측하게 한다. 하지만 내쉬의 균형이 전제하는 ‘게임 참여자들이 모두 이성적이다’라는 점은 일반적인 대화행위에서 항상 성립하는 전제는 아니다. 이에 내쉬의 균형점이 형성된다 하더라도 대화 참여자들이 반드시 내쉬의 균형을 따르는 대화 전략 행위를 구사하는 것은 아니다. 이 논문의 목적은 각각의 제시문에서 대화참여자의 화행 전략이 어떻게 달라지며 이에 대한 체면 값은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게임이론을 통해 분석해 보는 글이다.
more초록/요약
In conversations, participants have their own communicational goals. Speech acts strategies are related with whether a person has an illocutionary goal or a social goal. Depending on their goal, the participants of the conversation choose an appropriate speech act strategy to achieve it. This choice of strategy can cause their goal to succeed or fail. This paper tries to show how a speech actor who refuses changes in their speech act strategies based on their relationship with the requester and analyzes it within a game theory framework. Refusal speech acts are the result of the request speech acts. When the requester required something, the request is accompanied by impositions. People feel bothered by the request, thus receiving face loss from the request. To avoid this, respondents may reply to the requester with a refusal. Strategies for this refusal speech act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e categories of direct and indirect strategies. Game theory is a tool to create a framework that allows for analysis. When the participants of the game are in competitive relationship, game theory can show that the results are caused by the strategy chosen for its greatest pay-off from the interdependent relationship. Speech acts are about the strategies which the interlocutors use to try to achieve their goals. The results of speech act strategies create a discourse. Therefore, the choice of speech act strategy has a probability that can be analyzed in numerical value through the game theory. The examples in this paper all are taken from data of refusal speech acts in family conversations. Each example is classif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Power variable, one of the social variables distinguished by Brown and Levinson (1987). The three possible scenarios for this variable are those where: a) the requester has more power than the respondent, b) the requester has less power than the respondent, and c) the requester has the same power as the respondent. This paper checked where the general solution occurs by assigning numerical values on each example. Game theory establishes Nash’s equilibrium point as a general solution when the interlocutors choose the maximum pay-off using rational judgment. In conversation, Nash’s equilibrium point, which is the result of pursuing maximal pay-offs, represents a typical strategy for refusal speech acts. However, the converse of this is that if the participants are irrational, they would not follow Nash’s equilibrium point.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verify how the participants of the conversation change their speech act strategies and how fac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se strategy choices through game theory in each cas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