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배우들의 메소드 연기에 대한 이해
Korean actor’s comprehension of Method acting
- 주제(키워드) 메소드 연기 , 배우 , 정서적 기억 , 리스트라스버그 , 내러티브 , Method acting , Actor , Affective memory , narrativ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김용수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5555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한국배우들을 대상으로 연기를 접하는 교육과정과 실제 공연과정에서 수용되어진 메소드 연기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메소드 연기에 대한 한국 연기자의 인식제고를 위한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내러티브 탐구를 진행하였다. 이는 현역 배우들의 직접적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통하여 메소드 연기의 수용과정, 적용, 이해 등을 알아보고자 내러티브 탐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 본인의 교육과정 및 배우로서의 경험에서 이야기의 시작점을 찾았고, 배우 중 경력 3년 이상이고 성별 및 정규 교육과정의 유무의 상관없이 연구 기간 중 심층 인터뷰가 가능한 5명을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현장 텍스트를 작성하였다. 이렇게 작성한 현장 텍스트를 토대로 연구 텍스트를 완성하였다. 내러티브 탐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우들은 연기에 호기심을 가지고 교육받는 초반에 메소드 연기를 접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무대 위에서 연기함에 대한 경외심과 훈련과정에서 순간적인 심리적 전이의 쾌감을 통해 메소드 연기술에 대한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게 된다. 이는 배우에게 연기에 대한 갈망을 일정 부분 채워주고 훈련과정에 대한 성취감을 준다. 둘째,한국 교육과정에서 ‘정서적 기억’을 중심으로 맞추어 지는데,이완훈련의 경우 연기 실습과정에서 장면발표와 함께 혼합되어 병행되면서 감각훈련과 함께 단시간에 표면적을 진행되었다.정서적 훈련과정에서 본인이 가지고 있었던 기억을 통해 ‘극단의 상태를 반복할 수 있는 길’을 여는데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정서의 기억훈련을 통한 발화는 그러한 ‘나라는 개체 정립’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그러나 이렇게 효용성에 치우친 훈련은 역사와 변화 과정에 대한 설명은 없고 단순히 수업에서 배우가 나로써 인물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으로 남게 된다.대부분 이 훈련이 연기를 배우는 초반에 이루어지므로.이를 통해 얻어지는 성취감이나 카타르시스로 생기는 만족감이 나중에는 배우에게 심리적인 부담을 안겨줄 수 있으며 계속되는 연기 경험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야기할 수 있었다.이후 배우는 훈련 과정에서 메소드 연기의 효용성을 알고 공연에서 인물 창조를 하면서 이를 적용하고 대체하게 된다.이 과정에서 배우는 정서적 기억을 통한 인물에 직접적인 대입은 ‘불가능하다’라고 여긴다. 그리고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되었던 ‘감정의 대체’역시 ‘혼자 연기하기’와 ‘극중 인물의 왜곡’을 경험하게 한다.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배우는 절대적이었던 메소드 연기에 대해 객관적인 시각을 갖게 된다. 셋째,배우의 메소드 연기에 대한 인식은 다양한 공연에 참여하고 그 안에서 다양한 인물을 접근하면서 변화한다.과거의 필터링 없이 받아들이는 지점과 달리 배우 스스로 긍정적인 부분과 부정적인 부분에 대해 인식하고 취사선택하는 지점이 생긴다.인물을 구축함에 있어 선택하는 여러 가지 방법론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또한 의식적으로 진정성과 자발성을 갖추고 무대에서 연기하는데 긍정적인 효과와 동시에 어떤 순간에는 한발 물러서서 밖으로 나와서 객관적으로 볼 필요가 있는 경각심을 심어주었다. 이처럼 메소드 연기는 배우 개개인에게 다르게 수용되어졌으며 이러한 연기술의 긍정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실체적인 효과만을 노린 훈련이나 절대적인 이론 제시가 아닌 다양한 방법론들과 함께 선택의 하나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론적인 연기술이 아닌 공연들 통해 얻어지는 배우 자신의 직업적 경험을 적절히 적용한 실증적인 연기술로 발전해야 할 것이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purports to investigate the training process for performances and the method acting of actual acting processes of Korea actors, through which provides the practical resources to raise their awareness of the Method acting. To achieve this goal, research has explored the narrative investigations. This research method is to recognize the acceptance processes, applications, understandings etc of the Method acting through the narrations about the direct experiences of the actors on the active list. I started this narration study from my own training processes and experiences as an actor, and selected 5 actors who had more than 3 years experiences as actors and obtain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regardless of their gender and whether or not they had experienced the regular training processes. I processed the in-depth interviews targeting them and created the field texts, based on which had completed the study texts. The results from the narrativ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ctors encountered the Method acting at the early stage of performance training that they were curious about the performance, through which they came to accept the Method acting skills without refusal through the thrills of acting on the stage and happiness caused by psychological transition during the training process. It partly fulfill the desires of actors for acting and provid the sense of accomplishment for the training processes. Second, the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is focusing the Method acting on the ‘Affective memory’, which is retained as the method to easily access to the characters - as the actor is the self in the simple learning class, because it used to be processed without explaining about the history and process of change. As most of such training courses are processed to learn how to act in the early stage, the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it or the satisfaction caused by the catharsis may influence upon the actor significantly. However, such methodological classes may bring the psychological burdens to the actors and cause the negative impacts on their subsequent performance carriers. In the case of the relaxation training, the acting practices and scene presentations are mixed and paralleled to be the aspect of sensory training, and is superficially conducted. This training course has a significant effect upon opening the ‘way to overcome the extreme condition’ which is to be expressed in the training through the memories the actor had. In addition, the ignition through the memory training of emo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formulation of the subject – ‘self’. Learning the efficacy of the Method acting in the training course and creating the characters during the performance, the actors may apply and replace it in their acting.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the use of ‘Affective memory’ and the direct applications to such replacement would be impossible. Strasberg admitted the criticisms by the reasons that he could not afford all the diversified and complex emotions that were supposed to be expressed by the characters in the play, and as its resolution, he recommended ‘the replacement of emotions’. However, it may cause the ‘one-man play’ and ‘distortion of characters in the play’, which the other co-players also have experienced. Third, the awareness of method acting may change in accordance with the participation in various plays and encounter diversified characters within it. Different from the point to accept the past without filtering, there created the point to recognize and choose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ments by the actors themselves. It may be called one of various choices for the actors to take in order to establish their characters in the play. In addition, it may bring the positive effect in playing on the stage while being equipped with the intentional ‘spontaneity’ as well as the sense of alert stepping back and objectively seeing it from outside. As such, the Method acting is to be applied in accordance with each individual, and to develop the performance skills in positive direction. It should be presented not by only the training aiming at the tangible effects or the presentations of absolute theories but by a variety of theories as well as by the appropriate applications of the professional experiences through their performanc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