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on social anxiety : Mediation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 주제(키워드) 사회부과 완벽주의 , 사회불안 ,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 Social anxiety ,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윤아랑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555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영향을 미쳐 사회불안에 이르는 매개경로를 검증함으로써 중학생의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처리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사회불안 척도, 사회부과 완벽주의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척도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부분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적응적 인지조절 전략과 부적응적 인지조절 전략을 각각 부분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적응적 인지조절 전략의 경우 매개효과가 매우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같은 연구 결과는 학교 및 상담장면에서 다음과 같은 개입방향을 제시한다. 첫째, 중학생의 사회불안을 낮추기 위해서는 적응적 인지조절 전략을 높이기 보다는 부적응적 인지조절 전략을 낮추도록 개입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 경향성이 높은 내담자에게 수행을 요구할때는 내담자가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목표를 세워주고, 목표 달성시 칭찬과 인정을 해주어 내담자가 가질 수 있는 불안을 감소할 수 있도록 교사 및 부모에게 조언을 해 주는게 필요하다. 셋째, 중학생의 경우 부정적 인지전략 중 파국화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적응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돕는 인지치료나 인지적 유연성을 높여주는 집단 프로그램의 실시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more초록/요약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cognitive processing that have effects on the social anxiety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verifying the mediation path from the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which eventually leads to social anxiety. For this, a research packet including measures of social anxiety,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cale for 275 students enrolled at a middle school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has been verified in the relation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In particula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partially mediated the adaptive cognitive regulation strategy and maladaptive cognitive regulation strategy respectively in having effect on social anxiety. However, in case of adaptive cognitive regulation strategy, the mediating effect was found to be very low. Such study results offer the following intervention directions for schools and in counseling scenes. First, in order to ease the social anxie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tervention on lowering maladaptive cognitive regulation strategy is found to be more effective rather than strengthening the adaptive cognitive regulation strategy. Second, when asking a client to carry out a performance, one should set a goal that is achievable and advise the teacher and parents to help reduce the possible anxiety in the client by acknowledging and complimenting when the goal is achieved. Third, since middle school students show frequent usage of catastrophizing, cognitive therapy or group programs for enhancing cognitive flexibility are required to train them for adaptive thinking.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