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행복에 관한 평생교육프로그램 요구분석 및 기초모형 연구 : 공공부문 종사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eeds-analysis and foundation model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happiness of male baby-boomers : focusing on employees in public sector

초록/요약

모든 사람은 행복한 삶을 살길 원한다. 한국 역시 경제발전에 따른 시간적·경제적 여유로 인해 개개인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국민 기초 생활이 보장된 국가에서는 국가의 표면적 성장뿐만 아니라 국가 구성원들의 내적 행복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데, 이와 관련하여 최근 교육학에서는 “행복”을 중요한 탐구 영역으로 바라보고 있다. 교육학에서는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 기준, 교육 방법, 교육프로그램 개발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는 있지만 현재 그 대상자가 유아, 청소년, 중년 여성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 같은 상황은 한편으로 남성이 대상이 되는 연구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특히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경우 육체적, 정신적 건강이 모두 악화되어 행복을 이야기 할 수 없을 정도의 상태에 머물러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본고의 연구 대상은 우선적으로 공공부문 베이비붐 세대 남성이 될 것이다. 공공부문 종사자의 경우 정년을 보장받고 있는 만큼, 객관적 행복(의식주)은 어느 정도 충족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본 논의에서는 주관적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 위에서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행복의 기준을 탐색하고 평생교육법상의 6대 영역인 인문교양교육차원의 행복교육에 관한 베이비붐 세대 남성들의 요구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행복교육에 관한 기초모형을 구안하는 것이 최종적 목표가 될 것이다. 이 같은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실제적 행복을 증진하는데 기여하고 더 나아가 그들 개인의 삶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할 수 있다. 첫째, 행복에 대한 베이비붐 세대 남성들의 인식을 살펴본다. 둘째, 행복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베이비붐 세대 남성들의 요구를 추출한다. 셋째, 베이비붐 세대 남성을 대상으로 한 행복교육의 기초모형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행복에 관한 평생교육프로그램 요구분석 및 기초모형 연구를 위해 혼합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고 구체적으로는 양적-질적 모델 설계유형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공공부문에 근무하는 베이비붐 세대 남성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행복관련 인식을 살펴보고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행복교육프로그램의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들의 행복과 행복 교육에 대한 요구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공공부문의 베이비붐 세대 남성들의 직종, 학력, 직급 등을 고려하여 5명의 면담 대상자를 설정해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다. 종합적으로는 교육 요구 및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개발 단계를 통해 행복교육 기초모형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베이비붐 세대 남성들을 대상으로 한 행복(6점 척도) 검사에서 그들의 행복도는 평균 4.12점으로 집계되었는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긍정적 인생관 4.72점, 자립성은 4.66점으로 상위를 차지하였고, 사회적 지위 및 인정은 3.55점, 여가는 3.66점으로 하위를 차지하였다.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에 따른 전체 행복검사 차이에서는 전체 행복과 관련하여 학력, 종교 유무, 경제 수준, 직종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만 자녀 유무, 건강 상태, 연수 기간, 직급, 평균 수입 측면에서는 그다지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심층면접을 통해 그들이 생각하는 행복이 무엇인가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스로에 대한 존재감을 느낄 때, 주도적인 삶을 살고 있다고 판단될 때, 뚜렷한 주관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될 때, 몸과 마음이 병들지 않은 편안한 상태에 있다고 느낄 때 그들은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질문에서는 매우 필요 37.4%, 필요 47.8%의 결과가 도출되었고, 교육 참여에 가장 큰 장애물로 작용하는 것은 새로운 사람들과의 관계 형성으로 44.3%로 집계되었다. 평생교육에 대한 질문에는 필요성-매우 그렇다 69.6%, 성별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 개발 필요-매우 그렇다 62.6%, 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교육 개발 필요-매우 그렇다 60.0%로 확인되었다.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행복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요구를 살펴본 결과 질병예방, 가족 돌보기, 마음챙김명상, 삶의 의미 찾기, 회복력 훈련, 낙관성 훈련, 노화방지 등이 상위를 차지하였고, 5개의(환경, 정서, 육체, 직업, 관계) 분류 중 정서의 4개 하위 영역이 모두 상위결과로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요구에 따른 행복에 대한 인지적 요인, 실천적 요인, 경험적 요인을 프로그램에 배치하였고 이 같은 프로그램의 특성이 잘 드러나도록 프로그램 명칭은 ‘행복자각 프로그램’으로 설정하였다. 구체적 기초모형연구는 마음챙김명상, 삶의 의미 찾기, 회복력 훈련, 낙관성 훈련으로 구성되었다. 한편,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행복에 관한 평생교육프로그램 요구분석에서 중요도와 활용도에 관한 내용과 최종 교육 요구도에 따른 요구 순위에서 변동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프로그램 개발 시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내적 변인에 따른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려면 교육요구분석이 매우 철저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행복교육에 대한 중요성은 인식되고 있지만 구체적 교육프로그램의 비활성화로 인해 행복교육의 활용도는 상당히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베이비붐 세대 남성은 그동안 사회적 지위를 유지하고자 자신의 삶을 돌보거나 여가를 즐길 시간을 충분히 갖지 못했고 그들 나름대로의 긍정적 인생관과 자립성을 마련함으로써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데 급급했다. 흥미로운 점은 대학원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기술직의 행복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도출되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술직이 강도 높은 육체적 노동을 수반한다는 점을 생각했을 때 기술직의 행복감은 그다지 높지 않을 것으로 인식되기 싶지만 실제 조사 결과는 달랐다. 이는 기술직 남성들이 퇴직 후에도 전문가로서의 활동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과 연관되는데 일 지향성이 강한 한국인의 특성상 퇴직 후에도 노동을 할 수 있는 직업은 그들의 행복감에 높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다분한 것이다. 베이비붐 세대 남성에 대한 행복교육의 중요성을 생각해 볼 때 다양하고 지속적인 행복에 관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며, 단발성 교육이 아닌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특성을 치밀하게 고민한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지속적 개발 역시 수반되어야 한다고 본다. 또한 다양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사회 및 지역 평생교육 기관과의 교육 공간 공유 및 프로그램 연계를 통한 상호 협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상생적 네트워크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공공부문 근무자로 한정되어 있지만 베이비붐 세대 남성에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좀 더 넓은 범위에서 다양한 직업적-계층적 스펙트럼을 보여줄 수 있는 베이비붐 세대 남성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교육 요구를 분석하여 기초모형을 제시하는 선에서 논의가 마무리되고 있지만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된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행복에 관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실제적 수행을 통해 그 효과를 실질적으로 입증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Everyone wants a happy life. In Korea too, there's an increasing interest in improving the life quality of an each individual due to more affordable time and money according to the economic development. Also in the countries where the national basic living is secured, it is required to study on internal happiness of their members as well as their apparent growth, which emphasizes the 'happiness' as an important research area in pedagogy. The studies in pedagogy, however, have focused only on infants, juveniles, and adult females, which relatively means the lack of studies interested in male. Especially there is a big lack in studies on male baby-boomers even though those male baby-boomers remain in the status of being beyond talking about happiness due to worsened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is study, therefore, primarily focused on male baby-boomers in public sector. As employees in public sector are told to be credited with their retirement age limit, which meets some level of objective happiness(food, clothing and shelter),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way to increase subjective happiness.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standards of happiness for improving the life quality of male baby-boomers and to figure out the their needs on happiness education from the dimension of humanities refinement education which is one of 6 major area on Lifelong Education Act. The final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a foundation model for happiness education to improve the life quality of male baby-boomers through this, which would have an important significance in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solve social problems as well as their individual life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real happiness of male baby-boomer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nd the research problems as needed are as follows; First, to explore the recognition of male baby-boomers on happiness. Second, to extract the needs of male baby-boomers on happiness education programs. Third, to offer practical plans for happiness education targeting male baby-boomers. This study utilized mixed research method for needs-analysis and foundation model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happiness of male baby-boomers, and set a quantitative-qualitative planning type in detail. The surveys were distributed to 230 male baby-boomers in public sector to examine their happiness-related recognition and to analyz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needs for happiness education programs. 5 among them were selected and considered by their type of occupation, educational backgrounds, positions and so on to have a depths interview. This study suggested a foundation model for happiness education through extracting and developing the needs for education and its priorities. The happiness index score was found to be 4.12 average in examination of happiness oriented to male baby-boomers with 6-point scale and in detail, the result showed 4.72 points for positive view of life, 4.66 for inner-direction followed by 3.55 for social position and recognition and 3.66 for leisure. In examination of difference in overall happiness according to general items of responden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ile there'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aving children or not, health condition, training period, position and average income. The result of depths interview showed that they had a sense of happiness when they felt sense of being about themselves, when they thought they were living a leading life, when they believed they had a clear supervision, and they were in a comfortable status with no sick body and mind. In items of the necessity of happiness education, 37.4 % of respondents answered 'strongly necessary' and 47.8% 'necessary' and 44 and 44.3% of respondents showed building a relationship with new people to be the biggest obstacles to participation in education. In items of lifelong education, 69.6% of respondents answered 'strongly agree' on the necessity and 62.6% on the necessity of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considering the gender characteristics and 60.0% on the necessity of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considering social characteristics. The result of the needs for happiness education programs of male baby-boomers showed high scores in disease prevention, taking care of family, meditation for caring hearts, finding the meaning of life, training of recuperative powers, training of optimism, prevention of aging and so on, which resulted in 4 sub-classes out of 5(environment, emotion, body, occupation, relation) to be found with high scores. Based on these results, cognitive factors, practical factors and experiential factors were placed into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needs of male baby-boomers and this program is named as 'self-awareness of happiness program'. The foundation model consists of meditation of caring hearts, finding the meaning of life, training of recuperative powers, and training of optimism. On the other hand, a change was found in the priority of needs according to the level of needs for final education and in the contents of importance level and utilization level in analysis of the need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the happiness of male baby-boomers. This means there must be thorough completion of education-needs analysis to meet the various needs according to the internal variables of male baby-boomers in developing programs. It as also found that the utilization level of happiness education is so low due to the deactivation of practical education programs even though the importance of happiness is recognized among them. The male baby-boomers seemed not to have had enough time for caring their lives or enjoying leisure time to maintain their social positions and they have been busy in maintaining the present status by building positive view of life and inner-direction in their own ways. It is interesting to find a result that the highest sense of happiness was shown among those in technical post with the educational background higher than a graduate degree, which is far different from a general thinking that the technical post would not have high sense of happiness considering it would be accompanied by strong physical labor. This may be related to the fact that they can maintain their works as a professional after retirement, and this kind of occupation can influence highly on their sense of happines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happiness education oriented to male baby-boomer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various and continuous lifelong education on happiness, and it should be followed by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minutely considered with characteristics of male baby-boomers, not a temporary education. It seems to be also necessary to have mutual cooperation through relating programs and sharing spaces for education with social and local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to offer various education, which can be valued with the fact that activation of win-win network can be expected. This study focused only on those in public sector. Therefore, follow-up researches on male baby-boomers are needed to show various occupational-hierarchic spectrum in a wider extent. This study concluded the discussion only in the level of suggesting a foundation model from the analysis of the needs of male baby-boomers for education. So, it is required to continue the studies which can practically prove the effects through practical conduct of education programs on the happiness of male baby-boomers, on the basis of this stud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