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단절 여성 국비 직업교육의 효과 인식에 대한 연구 : 서울시 여성새로일하기센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effects of government-expenditure vocational training for women in career discontinuity
- 주제(키워드) 경력단절여성 , 직업교육프로그램 , 여성새로일하기센터 , 직업전문교육 , 직무소양교육 , 취업대비교육 , women in career discontinuity ,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 Center for women's working again , professional vocational education , job accomplishment education , employment preparation educa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정유성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평생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548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2014년 4월 기준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15-54세의 기혼여성은 956만 1천명이고 비취업여성은 389만 4천명으로 집계된다. 결혼, 임신·출산, 육아, 자녀교육, 가족 돌봄으로 직장을 사직한 경력단절 여성은 213만 9천명으로 15-54세 기혼여성의 22.4%나 차지하고 있다. 상당수의 기혼여성이 본인의 의지가 아닌 임신, 육아 등 가정적 사유로 고용시장을 떠나 있는 것이다. 그들이 육아나 자녀교육을 어느 정도 완료하고 고용시장에 재진입할 때는 재취업교육기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경력단절 여성들의 상당수가 국비 직업교육기관인 ‘여성새로일하기센터’(이하 새일센터)에 참여하여 노동시장에 재진입하고 있다. 새일센터의 ‘재취업지원프로그램’은 여성들이 재취업에 필요한 정보를 탐색하여 원하는 직종을 선택하게 하고, 성공적인 취업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등 취업준비에 필요한 기초교육을 제공한다. 현재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의 인적·물적 자원이 투입되고 있는 실정에도 불구하고 여성들이 얼마만큼 재취업 지원서비스를 받고 있으며, 그것이 실제로 재취업에 어느 정도 효과를 미쳤는가에 대한 분석은 충분하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향후 효율적인 정책 운영을 위해 재취업교육서비스가 그들의 재취업률을 높이는데 미치는 실질적 효과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필요한 과제이다. 이런 취지에서 본 연구는 서울시 새일센터의 국비 직업교육에 참여한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재취업 지원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는데 치중하였다. 교육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직업전문교육⋅직무소양교육⋅취업대비교육의 효과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직업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수강생의 연령, 학력, 자녀수, 소득, 취업경력, 그리고 경력단절기간 등 개인적 특성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연구결과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비 직업교육프로그램 전체에 대한 효과가 Likert 척도 기준, 5점 만점에 수강생 만족도 평균이 직업전문교육 3.81점, 직무소양교육 3.93점, 취업대비교육 3.72점으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업전문교육의 효과는 6개의 개인별 특성 중 연령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왔다. 20대>30대>40대>50대 이상의 젊은 순서대로 직업전문교육의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젊은 수강생들이 교육에 대한 이해도가 빠르고 적극적 의지를 보이므로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교육기관이 직업전문교육에 대한 프로그램 설계 시, 현재의 획일적인 방식을 지양하고 연령대 별로 직업능력 개발 및 맞춤형 교육 강좌를 개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셋째, 직무소양교육의 효과는 응답자의 개인별 특성에 따른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이는 직무소양교육 부문은 내용이 전문성을 요구하지 않고 누구나 갖추어야 할 기본적 직업 소양을 다루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직무소양교육은 수강생의 개인별 특성을 고려하기보다는, 현재처럼 통합해서 강좌를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넷째, 취업대비교육의 효과는 6개의 개인별 특성 중 연령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왔다. 20대>30대>40대>50대 이상의 젊은 순서대로 취업대비교육의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취업대비교육도 직업전문교육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젊은 수강생들이 취업에 대해 적극적 의지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교육기관은 취업대비교육의 프로그램 설계 시, 연령대 별로 취업교육 강좌와 지원서비스를 개설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직업교육을 받는데 있어서 개인적 측면에서의 문제점은 육아 및 가사문제가 39.6%, 자신감 부족이 23.84%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육아 및 가사문제는 30대가 60.6%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육아문제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들은 재취업을 위하여 교육받는 동안에도 육아문제를 가장 크게 고민하고 있는 것이다. 기혼여성이 재취업교육에 활발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기관 차원에서 보육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교육 시간대를 다양하게 할 필요성이 있다. 자신감 부족은 50대 이상, 고졸 이하, 취업경력이 없는 경우 및 경력단절기간이 10년 이상인 경우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는데, 직무소양교육을 강화하고 직업교육기관의 상담기능을 적극 활용하여 이들의 자신감을 회복시키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직업교육을 받는데 있어서 프로그램측면에서의 문제점은 교육과정 구성의 미흡(28.3%), 교육시간 및 기간 부적당(19.2%) 순으로 나타났는데, 향후 사전 요구조사를 통하여 수강생이 원하는 맞춤형 강좌를 다양하게 신설하고 충분한 강의 시간 배정이 요구된다. 일곱째, 직업교육을 받는데 있어서 시설 및 서비스 측면에서의 문제점은 다양한 취․창업 정보 제공 부족이 31.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취․창업에 대한 정보는 관련 홈페이지, 카페, 블로그 등을 통해 취업정보를 찾는 방법을 수강생들에게 교육시켜야 하며, 취업상담을 통하여 수강생들에게 많은 취․창업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직업교육을 받는데 있어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현실적이고 유용한 교육과정 구성이 20%, 취․창업 정보제공의 다양화가 18.1% %, 다양한 직종 및 프로그램 개발이 17.7% 순으로 나타났다. 사전 요구 조사를 통하여 수강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교육지원시스템을 설계해 나가야 할 것이다.
more초록/요약
According to National Statistical Office material of April, 2014, married women of age from 15 to 54 years were counted 9,561,000 and unemployed women counted 3,894,000. 22.4% of these, 2,139,000 women are in career discontinuity due to marriage, pregnancy and childbirth, infant care, education for child, and family caring. That is, a considerable number of women are out of employment market for family-oriented reason, not for their own will. The role of reemployment education institutes is very important for these women to reenter the employment market after completing their infant care or education for child to some degree. A considerable number of women in career discontinuity are reentering the labor market by participating in 'Center for women's working again' (et. seq. CWWA). 'Reemployment support program' of CWWA offers basic education so that they can prepare for reemployment by letting women choose their own type of occupation by exploring needed information for reemployment and by planning for successful employment. Presently there are few analysis on how much women receive reemployment support services and how much its influence is on women's actual reemployment despite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from the government for supporting the reemployment of women in career discontinuity. Accordingly, it is strongly needed to figure out practical effects of reemployment education service on increasing their actual reemployment rate for efficient operation of policies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iveness of reemployment programs by conducting a survey research oriented to women in career discontinuity participating in vocational education at government expenditure in Seoul.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heir recognition about the effect of professional vocational education, job accomplishment education and employment preparation education.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difference about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vocation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educational backgrounds, the number of children, income, employment experience, and the period of career discontinuity and so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using the Likert 5 point scale, the effect of total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at government expenditure was found to be generally high scores of satisfaction as 3.81 in professional vocational education, 3.93 in job accomplishment education and 3.72 in employment preparation education. Second, the effect of professional vocational educ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ages among 6 personal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effect was highest in 20s followed by 30s, 40s and 50s in an order. This shows active will and fast understanding of young students. Accordingly, it is desirable for education institutes to develop and open customized education classes by the age by rejecting present standardized way of planning the programs for professional vocational education.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result in the effect of job accomplishment education by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is because the contents of job accomplishment education area mainly cover the basic job accomplishment that everybody needs to acquire not requiring professionalism.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run classes of job accomplishment education as integrated ones not by consider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Fourth, the effect of employment preparation educ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ages among 6 personal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effect was highest in 20s followed by 30s, 40s and 50s in an order similar to result of professional vocational education, which shows the active will of young students about employment. Accordingly education institutes should open employment education classes and support services by the age when developing programs of employment preparation education. Fifth, the problems in receiving vocational education from the personal side showed high weight in infant care and house work with 39.6% and lack of self-confidence with 23.84%, especially highest in infant care and house work of women in their 30s with 60.6%. This result shows women in their career discontinuity due to infant care problems suffer from worries about infant care even while receiving the education classes. For married women to actively participate in reemployment education, it is necessary for education institutes to offer child-care support service and various education time slots. The lack of self-confidence is shown highest in frequency among women in their 50s and below high school diploma, no employment experience and more than 10 years of career discontinuity, which indicates the necessity of recovering their self-confidence by enforcing the job accomplishment education and actively utilizing consulting function of education institutes. Sixth, problems from the aspects of programs in receiving vocational education showed highest in insufficient curriculum construction(28.3%) followed by inadequate time slots and period of education(19.2%), which requires education institutes to newly open various customized classes of students' taste and assign enough class time through needs examination beforehand in the future. Seventh, problems from the aspects of facilities and service in receiving vocational education showed highest in lack of offering various information for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with 31.7% responds. It is need to educate students how to find employment information through related homepages, cafes, blogs and so on and offer more information for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through employment consultation. Finally, items to be improved for receiving vocational education showed 20% in practical and 18..1% in useful curriculum construction, diversification of offering the information of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and 17.7% in developing various kind of occupation and programs. It is needed to plan education support system which can meet the needs of students through beforehand needs-examin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