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학년 학생들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진로성숙과의 관계 : 성격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Sixth Grades’ Perception of Parenting Style and Career Maturity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ity Traits
- 주제(키워드) 6학년 학생들(The sixth-grader participants) , 부모양육태도(parenting style) , 진로성숙(career maturity) , 성격특성(personality trait)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연규진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5478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진로성숙과의 관계에서 성격특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 광주광역시, 부산광역시, 서울특별시 소재의 7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 진로성숙, 성격 5요인의 3가지 척도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395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주적 양육태도는 진로성숙과 정적관계를 가지고, 권위적 양육태도와 허용적 양육태도는 진로성숙과 부적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의 성격 요인들은 진로성숙과 정적관계를 가지고 신경증 요인은 진로성숙과 부적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방성 요인과 진로성숙 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진로성숙과의 관계에서 성격특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해 본 결과 민주적 양육태도와 진로성숙의 관계에서 친화성 요인은 조절작용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권위적 양육태도와 진로성숙과의 관계에서 신경증은 조절작용을 하였고, 허용적 양육태도와 진로성숙과의 관계에서는 신경증, 친화성, 개방성 요인이 조절작용을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진로상담이나 진로교육, 가정교육, 그리고 국가 정책과 관련하여 몇 가지 시사점들을 제공한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ity trai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ixth’s grades’ perception of parenting style and career maturity. The sixth-grader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seve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unggi-do, Gwangju, Busan, and Seoul. They completed the survey which assessed mother’s parenting style, career maturity, and Big Five personality. Using the data from 395 respondent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major research results. First, the result indicated that an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while authoritarian, and permissive parenting style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Second, extraversion,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career maturity while neuroticism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career maturity. Openness to experi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areer maturity. Third, in terms of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ity traits, neuroticism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an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and career maturity. Agreeableness, neuroticism, openness to experience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permissive parenting style and career maturity. Implication of research findings related to career counseling, career education, home education, and national policy were discussed. In addition, limitation of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included in the discuss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