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르성 중심의 문법교육 내용 연구 : 기사문의 시간 표현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content of grammar education focusing on the genre characteristic
- 주제(키워드) 국어 교육 , 문법교육 , 장르성 , 시간 표현 , 신문 기사문 , 서술 관점 , 서술역할 , 주관성 , 사실과 사실문장 ,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 , 통합적 문법교육 , Korean language education , grammar education , genre characteristic , time expression , newspaper articles , narrative perspective , narrative role , subjectivity , truth and factual sentence , text-based grammar education , integrational grammar educa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주세형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542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텍스트를 의사소통의 장면에서 화자와 청자가 주고받는 의미 행위로 규정하고, 텍스트를 중심으로 하여 언어의 양상에 대한 관찰과 분석을 통해 텍스트의 장르성을 형성하는 과정에 대한 탐구로 이어지는 문법 교육 내용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이는 문법이 학습자들의 실제 언어생활에서 일어나는 의사소통에서 생산적이고 전략적인 힘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문법교육이 나아가야 한다는 인식에 근거한다. 또한 텍스트의 심층적인 의미를 이해하고, 텍스트의 장르성을 바탕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문법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신문 기사문에 나타난 시간 표현을 대상으로 화자의 의도 실현 방식을 분석하여 신문 기사문의 장르성과 관련짓고, 장르성을 중심으로 문법교육의 교육 내용으로 구조화하고자 하였다. 문법교육에서 다루는 텍스트가 실제 언어생활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문법 지식과 텍스트의 연계적 설명을 위한 매개적 개념으로서 사회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근거로 장르성이 핵심이 되어야 한다. 이런 맥락에 따라 본 연구는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에서 텍스트 장르를 가르는 언어적 특성에 주목하는 것이 국어 교육의 교과적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시간 표현을 통해 신문 기사문의 장르성을 탐구하여 화자의 관점과 역할에 따라 신문 기사문의 시간 표현이 달라짐을 지적하고, 이것이 신문 기사문의 장르성과 연결되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서술 관점 층위에서 관찰자와 참여자로 나누어 화자의 주관성을 객관적인 것처럼 다루는 양상을 살피고, 서술 역할 층위에서 전달자와 설명자, 전달자와 전망자로 그 역할을 나누어 사건에 대한 정보가 사실인 것처럼 다루는 양상을 분석하여 신문 기사문의 화자가 시간 표현을 통해 신문 기사문의 객관성과 사실성을 획득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분석 내용을 교육 내용으로 구안하기 위해, 내용 설계 원리에 따라 교육 내용 구성을 ‘텍스트에 나타난 화자의 서술 의도 인식 단계-화자의 서술 의도를 문법 지식으로 파악하는 단계-장르성을 인식하여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단계’의 3단계로 설정하고, 각 방안에 따르는 교육 내용 요소를 활동의 형태로 제시하였다. 이는 문법으로 텍스트를 읽는다는 것이 이해와 표현이라는 국어 교육의 두 국면 모두에서 전략적 지식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교육 내용의 요소를 활동의 형태로 제시한 것이다. 시간 표현에 대한 문법 교육은 그동안 시제 범주를 중심으로 시제 선어말어미에 국한되어 구성되어 왔지만,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에서 시간 표현의 개념을 소통의 맥락으로 확장된 문법 지식의 개념에 맞춰 확장하고 특정 텍스트의 장르성으로 파악하여 이를 교육 내용으로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실제 텍스트의 시간 표현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수 있으며, 비판적으로 텍스트를 읽을 수 있는 문법적 근거와 힘을 가지게 될 것이다. 또한 텍스트를 중심에 두고 독서와 문법을 어떻게 통합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에 ‘장르성’이라는 해결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와 같은 시도들이 쌓이고 관련 논의들이 활성화된다면 문법이 국어 교육의 각 영역에서 텍스트를 중심으로 일원화된 내용 체계를 가지고 통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게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more초록/요약
In this study, the text is defined as a meaningful action given and taken by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in the scene of communication. Based on this, this study has aimed to configure the grammar education contents that lead to the exploration on the process of forming the genre of the text by observing and analyzing the aspect of the language centering on the text. This i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grammar education should be progressed so that grammar can serve as a productive and strategic force in the communication happening in the actual language life of learners. In addition, this means that grammar educa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genre of the text and understanding of in-depth meaning of the text. To achieve this, this study has associated the genre of newspaper articles by analyzing the intended realization method of speaker targeting the time expression shown in newspaper articles so that it can be structured in the educational content of grammar education focusing on the genre characteristic. For the text that covers the grammar to guarantee the actual language life, the genre characteristic must become the core based on the social accessibility as a mediating concept for the associated explanation of grammar knowledge and text. According to this context, this study saw that paying attention to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 that teaches the text genre in text-based grammar education can secure the academic experti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achieve this, this study has explored the genre characteristic of newspaper articles through the time expression and pointed out the changes of time expression of newspaper articles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and the role of the speaker and the method in which this can be connected to the genre characteristic of newspaper articles were analyzed. In the narrative perspective, it was divided into observers and participants to examine the aspects of dealing the subjectivity of the speaker in objective way, and in the narrative role, the role was divided into forwarder and descriptor and forwarder and prospects to analyze the aspects of dealing the information on the case as a true fact. Thus the process of obtaining the realism and objectivity of newspaper articles by the speaker was analyzed through time expression of newspaper articles. Lastly, in order to develop these analysis contents into educational contents, the configur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were selected into 3 phases of 'narrative intention awareness phase of the speaker shown in the text - phase of identifying the narrative intention of the speaker with a grammar knowledge - phase of strategically utilizing the genre characteristic through recognition' where the elements of educational contents according to each methods were proposed in the form of activities. By proposing the elements of educational contents into a form of activities, it is to show that reading the text with grammar for both phas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can be utilized as strategic knowledge. Although the grammar education on the time expression was configured by being limited to the tense prefinal ending focusing on the tense category, this study can find its significance in that the concept of time expression was expande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grammar knowledge in the text-based grammar education and that it was configured with the grammar contents by identifying the genre characteristic of a specific text. Through this, the learners can deepen the understanding on the time expression of actual text, and critically, will have the power and grammatical basis of being able to read the text. In addition, it can also find it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proposed the direction to solve the concerns on how to integrate the reading and grammar centering on the text through 'genre characteristic.' When the attempts such as this study is piled up and related discussions are vitalized, it is considered to be able to open the possibilities that can integrate the grammar based on the unified information system centered on the text in each are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