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균열의 부상에 관한 연구 : 무상급식부터 경제민주화담론까지의 시기(2009-12)를 중심으로
A study of emerging welfare cleavage
- 주제(키워드) 복지균열 , 복지담론 , 복지전선 , 신자유주의 , 양극화 , 헤게모니투쟁 , 담론투쟁 , 무상급식 , 경제민주화담론 , welfare cleavage , welfare discourse , neoliberalism , social polarization , hegemonystruggle , discoursestruggle , freemeals , economicdemocrac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손호철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정치외교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541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경제성장담론이 지배적이던 한국정치에서 복지담론 및 전선이 부상한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보완된 그람시식 경제-정치사회-시민사회 삼분틀을 사용하여 구조가 특정 국면의 조건으로 작용한 메커니즘, 시민사회 내 헤게모니 투쟁, 정당의 수용 등을 분석하려고 노력하였다. 저 발달한 발전주의 복지레짐과 신자유주의 경제정책의 연계된 정책효과는 사회양극화, 빈곤층 확대 등을 초래하였고, 이것은 ‘경제성장이 민생문제를 해결한다’는 기존의 규범을 약화시켰다. 경제성장이 민생문제를 해결한다고 주장하고 집권한 이명박 정부의 정당성이 약화되고, 2009년 경기교육감과 경기의회의 갈등을 계기로 무상급식 논쟁이 촉발하였다. 그리고 시민사회 내 시민, 사회단체들은 사적이익을 공적이익으로 전환하고, 사회적 정당성을 획득하기 위한 담론투쟁을 전개한다. 이를 통해 국민여론이 무상급식 및 복지에 대한 지지로 변화하였다. 복지에 대한 국민적 지지를 확인한 정당들은 특정 위기 국면에서 복지를 수용할 정치적 이익이 있는 세력 우선적으로 복지를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여론, 시민사회단체들의 계속적인 압력 속에서, 선거에서 복지 이슈를 선점하기 위해 양당은 전면적으로 복지를 수용하고, 이후 이것은 경제민주화담론으로 이어지게 된다. 2012년 양당의 복지, 경제민주화로의 변화된 정강과 선거공약은 복지가 정치의제로서 시민권을 획득한 것으로서 의미가 있으나, 복지레짐 변화를 기대하기에는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more초록/요약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ause of emerging welfare cleavage under circumstances of Korean politics that economic growth discourses have been dominant.By using a complemented Gramci's economy - politicalsociety - civil society framework for analysis,the writer tried to analyze the mechanism that the structure acts a specific situation,hegemony struggle in a civil society and issue accepting of political parties. The linked policy effect of a low-developed developmental welfare regime and neoliberalism economic policies caused social polarization and expansion of the poor strata.Because this problem was exacerbated continuously regardless of economic growth,existing norm that economic growth can solve problems concerning people livelihood was weakened. The legitimacy of Lee Mung-back administration that insisted growth by neoliberalism policies can solve problems concerning livelihood was weakened.A conflict between a super intendent of education and GyeonggiDo Provincial Council triggered a debate on free meals in 2009.And civil society groups were organized on a national scale and they started discourse struggle to substitute individual interests with public interests,for obtaining social legitimacy.Through this process,people became a friendly attitude of free meals and welfare. Political parties that assured people's support about welfare partially accepted welfare issue,political profitable faction centerally,when they confronted with political crisis specific faction center. Then they completely accepted welfare issue and proceeded to advocate economic democracy to win the presidential election. Welfare and economic democracy-oriented party platform and election pledges in 2012 have significance in respect that welfare become a important political agenda, but it is insufficient that we expect welfare regime change in several respect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