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부모 애착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 : 대인관계 효능감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University Students' Internet Addiction :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Self-Efficacy
- 주제(키워드) 부모애착 , 대인관계효능감 , 인터넷중독 , Parental Attachment , Internet Addiction , Interpersonal , Self-Efficac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한기백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5384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 및 경기도, 충청북도 소재의 4개 대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세 가지 척도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216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매개변인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부모애착은 인터넷 중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부모애착은 대인관계 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대인관계 효능감은 인터넷 중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 효능감이 이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상담 및 치료 장면에서 다음과 같은 개입 방향을 제시한다. 인터넷 중독 문제를 겪고 있는 대학생 내담자의 경우 부모와의 관계로부터 기인한 자기 및 타인에 대한 표상, 관계에서의 효능감에 대한 문제를 겪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부모와의 관계에 대해 자각하고, 타인과 관계맺음에 대한 효능감을 강화할 수 있도록 대인관계 기술을 증진시키고 사회적 불안감을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현실에서의 관계에 중심을 두고 대학 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면 인터넷 중독 수준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이후 연구들에 대한 제언도 논의에 포함하였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self-efficacy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internet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study, a survey consisting of three scales was conducted with students in four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City, Gyeonggi Province and Chungbuk Province and for analyzing data collected from a total of 216 students, mediating variables were verified through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arent attachment of university students had a negative effect on internet addiction. Second, parent attachment of university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self-efficacy. Third, interpersonal self-efficacy had a negative effect on internet addiction. Fourth, interpersonal self-efficacy played a mediating role completely in the effect of parent attachment of university students on internet addiction. These study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intervention method for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counseling setting,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ddicted to the internet, may have problems with self and other representation caused by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interpersonal self-efficac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help them perceive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improve their interpersonal skills or reduce social anxiety to strengthen efficacy in relationships with significant others. It is considered that based on the relationships in the actual environment, helping university students adapt to university life would reduce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Lastly,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proposal for further research were included in the discuss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