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조직의 팔로워십 커뮤니케이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llowership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Firms.
- 주제(키워드) 팔로워십 커뮤니케이션 , 사내 커뮤니케이션 , 내부 커뮤니케이션 , 조직 커뮤니케이션 , 설득 커뮤니케이션 ,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 커뮤니케이션 시기 , 팔로워십 , 상사-부하 , 조직 성과 , 신뢰 , Followership Communication , Internal Communication , Employee Communication ,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 Persuasion , Communication , Nonverbal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iming , Followership , Leader-Follower , Achievement of Organization , Trust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신호창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534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효과적인 기업 경영을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들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가 필수적이다. 최근에는 기업 경영에 있어서 리더의 역할보다는 리더를 보완하고 따르는 팔로워의 역할이 중요해 졌다. 그러나 이에 대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 기업의 조직 구성원들은 팔로워십과 커뮤니케이션의 관계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을까?‘ , ’한국 기업의 팔로워십 커뮤니케이션 특성은 무엇일까?‘ 에 대한 답을 얻는데 주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과 팔로워십에 대한 문헌 연구가 이뤄졌다. 연구 방법은 기존의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탐색적인 연구이기 때문에 연구와 관련한 적절한 항목을 결정하는 것이 목표이므로 질적 조사 방법론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한국 기업의 조직 구성원들을 선발하여 롱 인터뷰 4단계 조사과정에 따라 인터뷰와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한국 기업의 조직 구성원들은 팔로워십과 커뮤니케이션의 관계성을 다양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팔로워십과 커뮤니케이션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팔로워십 커뮤니케이션의 고유한 특성이 드러났다. 커뮤니케이션과 팔로워십의 관계성은 크게 팔로워십과 커뮤니케이션을 균형적으로 보는 관점과 커뮤니케이션 중심적 관점으로 나뉘었다. 첫째, 팔로워십은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뛰어난 사람에게 나타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커뮤니케이션과 팔로워십이 조직 성과를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구성원 간 유대의 역할을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리더를 효과적으로 설득하기 위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한국 기업의 팔로워십 커뮤니케이션 특성은 크게 커뮤니케이션 태도와 기술로 나눌 수 있었다. 첫째, 한국 기업의 조직 구성원들은 상사에 대한 비언어적인 커뮤니케이션 맥락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었다. 둘째, 팔로워십 커뮤니케이션 근간과 특성은 리더에 대한 신뢰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같은 인식 자체는 자발적으로 형성 된 것이기 보다는 한국 기업의 상하수직적인 분위기에 따른 어쩔 수 없는 것이라고 털어놓기도 했다. 셋째, 커뮤니케이션 횟수와 시기가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상사와의 잦은 커뮤니케이션과 즉시 커뮤니케이션을 회피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따르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직급이 높은 상사에게는 커뮤니케이션 내용과 형식을 간결하게 핵심을 명확하게 알리기 위해 노력했고 상사의 상태와 상황을 파악해서 맥락에 맞는 커뮤니케이션을 하려 했다. 그러나 직급에 따른 커뮤니케이션은 힘이 있고 없는 상사를 구분하여 서로 다르게 대응하는 불합리한 방식도 나타났고 너무 맥락을 파악하기 위해 애쓰다보니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저해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결국 한국 기업의 조직 구성원들은 팔로워십에 대한 이상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현실적으로 이를 반영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팔로워십 커뮤니케이션 진단 척도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실제 조직 내 인사부서에서 팔로워십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한 방향과 중점을 제시함으로서 기업 내 인적자원관리에 커뮤니케이션학적 시각을 반영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more초록/요약
To manage company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communication among organization members. Recently, although the role of follower is more crucial than that of leader, existing studies regarding communication are inadequate now.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nswers to these two questions: “How do Korean company members understand relationship between the followership and communication?” and “What is the peculiarity of the followership communication in Korean organization?” Thus, document research concerning communication and followership was performed. Qualitative method is appropriate as a research approach because this is an exploratory study and not clearly defined yet. Thus, interview with selected members of organization according to four stages and analysis were conducted.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that Korean organization members understood the connection between followership and communication in the various ways, also the relationship is deep. Furthermore, peculiarity of followership communication is commonplace. The link is largely defined that followership and communication is seen as balanced or communication-centered. Specifically speaking, first, followership is considered as possession of competent person. Second, communication and followership play a key role in accomplishing in organization. Third, they are crucial to tying members. Forth, they are accepted as a means of convincing leaders. The characteristic of followership communication in Korean company is categorized according to two aspects, which are attitude and skill. First, the members consider nonverbal communication with boss critical. Second, the root and property of followership communication emerge as trust in leaders. On the one hand, some people said these are inevitable concepts rather than intentional ones due to prevailing vertical environment in Korean workplace. Third, the fact that the number and time of communication are crucial is appreciated. In reality, however, people tend to avoid frequent and direct communication. Lastly, members make an effort to appreciate leader’s communication style focusing on conveying the point or contents and structure concisely to their boss,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and his or her condition for contextual communication. But, the drawback of selecting communication style according to position is to appear unfair way that members treat people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authority. In conclusion, organization members have ideal of followership, but they struggle to apply it in practice. I expect that foundation of followership communication measurement scale is built throughout this study. Also,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applying the view of communication to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organiz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