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5~1950년 역사 교수요목과 교과서 연구
A Study on the Syllabus and Textbook of History Education between 1945~1950
- 주제(키워드) 사회생활과 , 교수요목 , 해방 후 역사교육 , 해방 후 역사교과서 , 미군정 교육정책 , 콜로라도 주 초.중등 사회생활과 교육과정 , 해방 후 국사교과서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최기영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2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사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5336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일제말기 역사교육은 황국신민의 연성을 목표로 했고, 일제의 침략전쟁에 한국인을 동원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되었다. 일제에 의해 계획되고 운영되었던 왜곡된 역사교육은 폐기되어야 했고, 1945년 해방은 새로운 역사교육을 시작할 수 있는 기회였다. 이 논문에서는 해방 후 남한의 역사교육이 일제시대의 왜곡된 역사교육에서 벗어나기 위해 어떤 방향으로 길을 잡았는지, 새로 편찬한 역사교과서의 내용과 주안점은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새롭게 만들어진 역사교육의 길로 교육현장의 학생과 교사들을 어떻게 안내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방 후 남한에 설치된 미군정은 미국식 민주주의 국가 건설을 목표로 했고, 교육은 그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 중요한 수단이었다. 그리고 미군정은 민주주의를 이해시키고 습득하게 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교과가 ‘사회생활과’라고 확신했다. 그 결과 1946년 9월 새 학년 새 학기가 시작되었을 때,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 한국인들에게는 전혀 새로운 교과인 사회생활과가 제시되었다. 역사·지리·공민이 포함된 통합 사회과의 도입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었지만 해방 후 1년 만에 사회생활과 도입은 신속히 결정되었다. 즉, 미군정이 계획했던 민주주의 국가 건설을 위한 교육정책이 수립은 성공했다. 이는 해방된 한국의 교육이 또 다시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이 된 것을 의미한다. 사회생활과는 듀이의 교육사상을 바탕으로 한 미국 진보주의 교육의 결과물로 아동중심·생활중심의 교육을 추구했다. 그런데 사회생활과의 특성을 이해하고 있는 한국인은 일제시대 때 미국에서 진보주의 교육을 접했던 몇 명과 미군정 문교부 관리 중 극히 일부뿐이었다. 이 새로운 교과를 교육 현장에서 가르칠 수 있는 교사가 거의 없었고, 학생들이 볼 관련 교과서도 전무한 상태였다. 해방 후 남한에는 사회생활과를 받아들일 아무런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사회생활과가 정착되지 못했던 이유는 사회생활과를 이해하지 못하고, 민주적이지 않았던 교사들 때문이 아니라, 너무도 성급하게 사회생활과를 도입하고 이를 강제했던 정책 결정 그 자체 때문이었다. 해방 후 문교부에서는 사회생활과를 교육 현장에 보급하고자 했다. 그래서 문교부 편수국의 책임 아래 사회생활과의 목적, 성격, 교수 방침, 교육 내용에 대한 지침인 교수요목을 만들었다. 교수요목의 초안은 문교부 편수국에서 작성했고, 교수요목제정위원회에서 이를 심의했다. 완성된 사회생활과 교수요목은 통합교과라는 도입 취지와는 달리 분과적으로 작성되었다. 우선 모델로 삼았던 콜로라도 주 사회생활과 교육과정 자체가 분과적이었다. 콜로라도 주 사회생활과 교육과정은 초등학교는 4학년까지만 통합교과로 만들어졌고, 그 이상의 학년에서는 분과적으로 구성되었다. 콜로라도 주에서조차 완성하지 못했던 통합 사회생활과 교육과정을 해방 후 남한에서 단시간에 만든다는 것은 처음부터 불가능에 가까운 것이었다. 하지만 초·중등학교 사회생활과 교수요목은 아동중심·생활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고, 단위(Unit)를 중심으로 가르치며, 설문식 교수를 통해 학생들의 이해와 탐구능력을 기를 것을 요구했다. 이것은 사회생활과의 특성이 반영된 것이다. 그런데 사회생활과 학습의 궁극적 목적은 성실 유능한 국민을 만드는 것으로 규정되었다. 학생의 경험과 생활이 중심이 아니라 여전히 국가가 중심인 교과였던 것이다. 교수요목은 교과서 편찬의 기준이기도 했다. 중학교 사회생활과 교수요목이 과목별·학년별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중등학교 통합 사회생활과 교과서가 발행되지 못한 것은 당연하다. 중학교 사회생활과 역사부분 교수요목은 1학년 <이웃나라 생활>, 2학년 <먼 나라 생활>, 3학년 <우리나라 생활>로 구성되었는데, 이는 이름만 바꾼 동양사, 서양사, 한국사에 해당하는 내용이었다. 따라서 교과서도 각각 편찬되었다. 해방 후 국사교육에 대한 열기는 대단했지만, 사회생활과에 포함된 국사교육의 방향과 방법은 혼란한 상태였다. 국사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했던 국사학자는 국사교육의 목적을 민족의 발전을 위한 것으로 규정했고, 사회생활과 도입을 주장했던 문교부 관리도 국사교육은 흥국의 사명을 가진 것이라고 했다. 중학교 사회생활과 교수요목에는 학생들에게 민족의 자주정신을 함양시키고, 민족 문화의 전승 발전을 고조시켜 민족의 완전 자주독립에 이바지 하도록 하는 것이 역사를 가르칠 때 주의해야할 사항이라고 명시했다. 이는 일제로부터의 해방과 새로운 국가 건설이라는 당시의 시대적 상황이 국사교육에 요구했던 것이다. 1948년 12월 중학교 사회생활과 교수요목이 발표되었고, 1949년 3월에는 교과서 검정과 관련된 규정도 공포되었다. 그런데 검정을 통과한 <우리나라 생활> 교과서 중 교수요목이 제시한 단위와 항목을 따른 것은 단 한 권뿐이었다. <우리나라 생활> 교과서 저자들은 자신이 이미 발행했던 교과서가 있으면 그것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자신의 개설서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생활> 교과서를 편찬했다. 하지만 교과서 도입부에서 ‘우리나라의 자연환경’과 ‘우리나라를 부르는 명칭’에 대해 설명하고, 결론에 ‘민족의 사명’을 서술한 것이나, 각 단위나 항목이 끝날 때 탐구문제를 제시한 것과 같은 형식적인 공통점이 있다. 이러한 형식적인 공통점보다 해방 후 발행된 국사교과서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국사교육의 목적을 국가와 민족의 발전을 위한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결국 해방 후 새롭게 도입된 사회생활과에 포함된 역사교육, 특히 국사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민족통일과 세계로 뻗어갈 국가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는 국민을 양성하는 것이었다. 국사교육의 내용이 일본사에서 한국사로 변경되기는 했지만, 국사교육이 그 시대의 최상위 조직을 향하고 있었던 방향성은 변하지 않았다. 즉, 국사교육의 내용은 단절되었지만 국가를 위한 국사교육이라는 틀은 연속되었다.
more초록/요약
The goal of history education during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the "education on the subjects of Japanese empire" which was used as an implement of mobilizing Koreans for the imperial aggression. The distorted history education planned and practiced by Imperial Japan should be abolished, and Korea's independence in 1945 was the great opportunity for Korea to pave the way for new history education. This paper will examine the efforts of South Korea to break away from the distorted history educatio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emphasis and contents of the newly published textbooks, and the guidance of the new perspective on history education for the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the US Military Government established in Korea aimed to build an "American" democratic government in South Korea, and education was the critical means to achieve this goal.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assured that Social Studies was the crucial subject for Koreans to understand and practice democracy. On September in 1946, at the beginning of the new semester, Koreans found that Social Studies, which was a whole new subject to them, was included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The reason that this paper pays attention on the introduction of Social Studies is History was included in Social Studies. Although the adoption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where History, Geography, Civics were included, was a controversial issue, the decision on the introduction of Social Studies was promptly made in a year after liberation. In other words, the US Military Government succeeded in establishing the educational policy for building a democratic state, and the education in liberated Korea was employed as means to achieve political ends as it wa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ocial Studies, the result of Progressive Education developed by John Dewey's pedagogic theory, pursued child-centered and experience-based education. However very few Koreans ― who had an opportunity to encounter Progressive Education in the U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who worked as officials for the Department of Education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 had the proper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Few teachers were able to give instruction on "this new subject" at schools, and what's more, there were no relevant textbook for students to read. That is, liberated South Korea was not fully prepared to embrace Social Studies at all. Consequently, the reason that Social Studies couldn't take firm root in South Korea was not that teachers didn't comprehend Social Studies properly and they were undemocratic, but that the decision to introduce Social Studies was hastily made and forcefully enforced. After liberation, as an attempt to introduce Social Studies to schools,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Bureau of Textbook, the Department of Education created the Early Social Studies Curriculum as a guideline for the purpose, the character, the instructional policies and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The Bureau of Textbook drafted the curriculum and the Committee on the Early Social Studies Curriculum deliberated on it. The completed curriculum was drawn up separately as opposed to the original purpose of integration in Social Studies. As a model for the Early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Colorado States itself was composed separately. It was integrated through the frist grade to the four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but was separated from the fifth grade to secondary school. When even Colorado state couldn't complete the integrated curriculum, it was almost impossible, therefore, for South Korea to make one in the Social Studies for such a short period right after liberation.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in the curriculum, the Early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was composed of child-centered and experience-based contents, was taught on the basis of units, and was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inquiry-based instruction. On the other hand, it pronounced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Social Studies is to nurture diligent, competent nation. Therefore, as for Social Studies, the emphasis was placed not on the students and their experiences, but rather on the state. The Early Social Studies Curriculum also provided principles for the publication of textbooks. Since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middle school was set out by the subjects and the grade levels, it was a matter of course that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in secondary school could not be accomplished. The curriculum of History part in Social Studies in middle school consisted of <Neighboring Nation's Life> for first graders, <Far Nation's Life> for second graders, and <Our Nation's Life> for the third graders, which were almost the same as <Oriental History>, <World History>, and <Korean History> with different titles. Hence textbooks were published separately.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the fervor for Korean History education was very intense, but the method and direction of Korean Histor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were in a chaotic state. Historians wh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Korean History education, defined the purpose of Korean History education as the national development, and officials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who proposed the introduction of Social Studies asserted that the mission of Korean History education was "the revival of country." The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in middle school clearly stated that Korean History education should contribute to the complete independence of the nation by encouraging students to foster the self-reliance of the nation and to pass down and develop the cultural legacy of the nation. That was what the two circumstances, the liberation from Imperial Japan and construction of a new state, asked Korean History for.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middle school was released on December in 1948, and regulations for authorizing textbooks were announced on March in 1949. Among the authorized <Our Nation's Life> textbooks, only one textbook followed the units and items presented by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middle school. Many other authors of <Our Nation's Life> published slightly revised versions of existing textbooks of their own or used their old introductions to publish new textbooks. On the other hand, they all shared some formal features, such as <Our Nation's Environment>, <Different Names of Our Nation> at the introductory part, <Mission of Our Nation> at the conclusion part, and inquiry questions at the end of every unit and item.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however, to the fact that the purpose of Korean History education after liberation was the development of the state and the nation, rather than to the shared formal characteristics among textbooks. In conclusion, after liberation, the ultimate goal of History education ― particularly Korean History education ― which was included in the newly introduced Social Studies, was to cultivate people who could contribute to the unifi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 Although the contents of Korean History education was changed from Japanese History to Korean History, the direction of Korean History education toward the top organization ― that is, the state or the nation ― wasn't changed. In other words, although there was a discontinuity in the contents of Korean History education, the framework of Korean History education for the sake of the state didn't lose its continuit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