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의 수줍음과 대인불안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부모-자녀 간 폐쇄형 의사소통과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Shyness and Interpersonal Anxiety on Smartphone Addi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Problematic Communication among Parent-adolescent and Peer Relationship
- 주제(키워드) 스마트폰중독 , 수줍음 , 대인불안 , 부모-자녀 의사소통 , 또래관계 , smartphone addiction , shyness , interpersonal anxiety , parent-adolescent problematic communication , peer relationship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김근영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531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수줍음과 대인불안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자녀 간 폐쇄형 의사소통과 또래관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에 소재한 4개 중학교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1, 2학년 4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줍음과 대인불안은 부모-자녀 간 폐쇄형 의사소통, 또래부정, 스마트폰 중독과는 정적상관을, 또래긍정과는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수줍음과 대인불안 극단집단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수줍음과 대인불안을 과도하게 높은 수준으로 지각하는 집단이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줍음과 대인불안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자녀 간 폐쇄형 의사소통과 또래관계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줍음은 스마트폰 중독을 비롯한 다른 매개변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인불안은 부모-자녀 간 폐쇄형 의사소통과 또래관계를 완전 매개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인불안이 높은 청소년은 부모와 폐쇄적인 의사소통을 하며, 또래관계를 부정적으로 지각함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으로 이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에게 중요한 대인관계인 부모 및 또래관계를 통하여 수줍음과 대인불안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탐색함으로써 치료적․예방적 대안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more초록/요약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mediating effect in problematic communication among parent- adolescent and peer relationship in the influences of teenagers’ shyness and interpersonal anxiety on smartphone addiction. In order for this, 439 first and second year junior middle school student smartphone users in 4 different middle schools in Seoul were surveyed. For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st was conducted. The following are the principal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shyness and interpersonal anxie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oblematic communication among parent-adolescent, negative factors of peer rela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but negative between positive factors. Second, groups with extreme high or low shyness and interpersonal anxiety showed a notable difference in smartphone addiction. The group which excessively perceived shyness and interpersonal anxiety showed a high standard in smartphone addiction. Third, after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in problematic communication among parent-adolescent and peer relationship in the influences of shyness and interpersonal anxiety on smartphone addiction, shyness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intervening variables including smartphone addiction. On the other hand, interpersonal anxiety fully mediated between problematic communication among parent-adolescent and peer relationship,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 To be specific, teenagers with high interpersonal anxiety have problematic communication between their parents and negatively perceive peer relationship, leading to smartphone addic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in developing therapeutic/preventive alternatives by exploring the process of shyness and interpersonal anxiety influencing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parent and peer relationship, the essential interpersonal relation for adolescents. Lastly, constraints and future directions of this research a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