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제임스의 회심이론을 통해 본 다석 류영모 연구
A study on Dasuk Ryu Youngmo(다석 류영모) through William James' conversion theory
- 주제(키워드) 윌리엄 제임스 , 다석 류영모 , 회심 , 변환 , 종교심리학 , 기독교 , 의식의 순환 , 자아 , 자아통합 , 신비경험 , 열매 , 성인다움 , 다원주의 , 제나 , 얼나 , William James , Dasuk Ryu Youngmo , conversion , transformation , psychology of religion , Christianity , circulation of consciousness , self , self unification , mystery experience , fruit , saintliness , pluralism , Jena , olna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김재영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2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종교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5254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논문은 ‘회심’이라는 분기점을 기준으로 다석 류영모(多夕 柳永模, 1890-1981)의 삶과 사상을 조명한 연구이다. ‘회심’이란 종교적인 삶을 사는 사람은 누구나 경험하는 질적 도약을 의미하는 것으로 호모 릴리기오스(homo religiosus)한 인간의 측면을 가장 잘 드러내는 종교학적 범주의 하나이다. 다석 류영모는 이러한 변환과 도약의 순간을 여러 번 맞이하였다는 데 주목하는 것이 본 논문을 시작하는 출발점이다. 회심은 ‘개종(改宗)’과 ‘회개(metanoia)’의 범위를 넘어선다. 다석의 경우 그리스도교 신앙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한국사상을 모두 수용하였기에 신(神)을 상정한 서구그리스도교의 ‘회개’의 범주를 넘어서는 종교심리학적인 ‘회심’정의를 요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신학적인 범주를 넘어서 종교심리학적인 입장을 견지하며 다석의 심리적인 흐름을 따라갔다. 본 논문에서는 다석이 모두 다섯 번의 회심을 경험하였다고 결론짓고 이 지점들을 중심으로 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의 틀로 삼을 이론은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 1842-1910)의 회심론을 선택하였다. 윌리엄 제임스의 회심이론은 주로 종교심리학적인 측면에 토대를 둔 것으로서 회심자의 심리적인 측면에서의 변화를 추적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류영모의 심리적인 갈등이나 변화를 보다 역동적이고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것이다. 윌리엄 제임스는 기존의 학자들과는 달리 종교의 형이상학적 본질을 밝히는데 중심을 두지 않고 개인의 경험에 주목하였다. 인간의 경험이 모든 종교의 근본이라고 본 것이다. 교리화 내지 교조주의가 가질 수 있는 권위주의를 극복하고 역동적인 개인의 경험의 움직임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하였다. 이러한 제임스의 관점은 다석의 심리적 변화를 추적하는데 좋은 틀이 될 수 있다. 제임스는 회심을 두 가지로 정의했다. 첫째, 분열된 자아, 열등한 자아가 이상적인 자아로 통합되는 것을 ‘회심’으로 정의했다. 둘째, 의식이 중심부와 주변부를 오갈 때 그것이 종교적이라면 ‘회심하였다’고 정의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1차부터 4차까지의 회심은 제임스의 회심정의 중 둘째 정의를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다석의 마지막 회심은 제임스의 첫째 회심정의를 적용하여 ‘제나’에서 ‘얼나’로의 변환을 살폈다. 본 논문은 두 가지의 목적아래 진행되었다. 하나는 다석의 사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한국인으로서 기존의 한국적인 사상적 배경을 수용하면서 가질 수 있는 한국적인 기독교 사유체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다석의 ‘얼나’의 개념, ‘얼그리스도론’, ‘동양적 신관’을 다루며 열매부분에서 ‘한글신학’, ‘씨알사상’, ‘다원성’ 등이 검토되었다.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한 인격체가 사상을 펼쳐내기 위해 겪어야만 했던 변화와 질곡을 추적하는 것이다. 즉 다석의 심리적 변화과정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다. 이 작업은 각 회심을 다루며 개별적인 회심의 특성들을 드러냄과 동시에 각 회심에서의 다석의 의식의 흐름을 다루면서 수행하였다. 본 논문의 첫 번째 부분에서는 윌리엄 제임스의 회심이론을 다루었고 그 다음 부분에서는 다석의 변화 그 자체에 중점을 두어 다석의 다섯 번의 회심과 그 회심의 특성을 살폈고 후반부에서는 그러한 변화로 야기된 다석의 인격의 변화와 사상의 심화를 다루었다. 다석은 1905년 ‘정통’ 기독교로 입문한다. 이 변화는 전형적인 청소년기에 겪는 회심으로 보고 검토되었다.(1차회심) 이어 다석은 자신만의 사상적 체계를 세우기 시작하고 다원주의로 가는 기틀을 마련했던 ‘비정통’으로의 회심을 경험한다.(2차회심) 2차회심 이후 지속적인 수행으로 자신의 몸과 의식을 단련시킨 다석은 절대자의 품에 안기는 자신의 인격의 실존적인 변화를 맞이한다. 그리스도교 내에서 경험할 수 있는 정수로서 신과의 깊은 일치를 경험하여 풍요롭고 안정된 상태를 맞이하는 것이다.(3차회심) 그리고 그 후 1년 남짓 지나 다석은 천지인(天地人)합일을 경험한다. 신비경험이다. 자신의 자아가 소멸되고 우주적 절대자인 신성과의 일치를 맛본 신비경험을 한 것이다.(4차회심) 이렇게 네 번의 회심이 끝나고 난 후 다석은 돈오(頓悟) 이후의 점수(漸修)를 주장한다. ‘제나’에서 ‘얼나’로의 변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함을 강조하였고 이는 제임스의 자아의 투쟁을 틀 삼아 다석의 점진적이고도 지속적인 회심으로 볼 수 있다.(지속적인 회심) 다석은 이와 같은 다섯 번의 회심을 경험한 후 그에 합당한 열매(fruit)를 맺는다. 제임스는 회심이 올바르게 진행되면 회심자는 긍정적인 인격의 변화를 보인다고 하였고 이러한 범주를 ‘성인다움’이라고 명명하였다. 열매 부분에서, 다석도 회심 이후에 이러한 ‘성인다움’의 범주에 드는 인격상의 변화를 보임을 밝혔다. 그리고 사상의 심화도 가져오는데 이는 ‘한글신학’, ‘씨알사상’, ‘다원성’ 등으로 검토되었다. 본 논문은 이렇듯 ‘회심’이라는 이론적 틀로 다석의 삶과 사상을 조명하여 삶속에 드러난 다석의 심리적 변화와 그로인해 야기된 사상적 심화를 밀도 있게 다룬다. 다석이 경험했던 질적인 변화 자체와 특성, 그리고 이러한 변화를 경험하며 다석이 이루어내었던 사상의 심화가 본 논문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주제이다.
more초록/요약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Korean theologian Dasuk Ryu Youngmo(1890-1981)'s life and thought through William James(1842-1910)' conversion theory. Conversion is a crucial religious category for human being called 'homo religiosus' because whoever lives religious life is sure to experience the conversion. This dissertation begins by emphasizing the fact that Dasuk experienced the qualitative transformation many times in his whole life. 'Conversion' transgresses the concept of 'metanoia' which is used in theology. As for Dasuk, owing to the fact that he accepts the Korean thought(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s well as Christian faith this dissertation should use the conversion concept of the psychology of religion to embrace the Dasuk's wider experience. With that in mind, this dissertation followed his psychological change adhering to a psychological position beyond the theological category. This dissertation concluded that Dasuk have experienced conversion five times in his lifetime. Especially analyzing Dasuk's five conversions, this dissertation used the William James' conversion theory as the framework of analysis. William James' conversion theory is mainly based on the psychology of religion and its feature prominently consists in tracing the psychological change that subject of conversion experiences. Therefore through William James' conversion theory we can examine Dasuk's psychological conflict and change more dynamically and concretely. Unlike established other scholar William James paid attention to individual experience not religious metaphysical essence. He thinks that human experience is the root of all religion. He overcomes authoritarianism derived from dogma and doctrinairism and focuses on the dynamic individual experience. This James' perspective became a ideal frame to trace Dasuk's transformation. William James defines 'conversion' in two ways. Firstly, when divided self is unified to ideal self he called it as a 'conversion'. Applying to first definition, we examine the Dasuk's argument that our self should be transformed from 'Jena(제나)' into 'ǒlna(얼나). Secondly, our consciousness circulates between the center and the surrounding and when the circulation is religious he regards it as a 'conversion', too. Second definition was applied to four conversions and first definition was applied to last conversion. This dissertation has two purpose. First purpose is to examine the Dasuk's idea which could demonstrate the Korean unique Christianity accepting existing Korean thought as a Korean. Through this process 'ǒl-Christology', 'oriental theism' is revealed. In addition to that, in the chapter of fruit 'Hangul Theology(한글신학)', 'Cial Thought(씨알사상)', 'Pluralism' was proposed as a fruit of conversion. Second aim is to review the psychological change which Dasuk had to experience to open his thought. Namely, to trace his inner change is the other important, chief purpose. The first part of the dissertation consists of William James' conversion theory. The second part of the dissertation consists of Dasuk's five conversions and the characteristic of each conversion. The last part of the dissertation consists of Dasuk's personal change and the development of his idea as the fruit. Dasuk goes into the world of 'orthodox' Christianity. He became a Christian for the first time, which was defined and examined as an adolescence conversion.(first conversion) Dasuk moved from 'orthodox' Christianity to 'unorthodox' Christianity. After he experiences the 'unorthodox' Christianity, he develops his own thought and prepares to pluralism.(second conversion) After second conversion Dasuk who trained his body and mind through asceticism continuously received a existential transformation that was reborn in the bosom of his God. He not only experienced the quintessence in the Christianity but also became a steady state internally.(third conversion) A year later Dasuk experiences the unity of heaven, earth and man that is called a mystery experience, which was reviewed James' perspective to get a scholarly approach and legitimacy. At that time his self became extinct and united into one with the absolute being.(fourth conversion) After four conversion finishes Dasuk insists that we should practice 'gradual cultivation(漸修)' after 'sudden enlightenment(頓悟)' (continuous conversion) After Dasuk have experienced five conversions, he bore fruit appropriate to the experience. When conversion goes in the right direction according to William James the subject of conversion shows the change of personality positively. James called it as the 'saintliness'. Dasuk also shows the change of personality as such. On the other hand Dasuk intensifies his own thought such as 'Hangul Theology', 'Cial Thought', 'Pluralism' and so on. Like this since this dissertation examined Dasuk's life and thought through William James' conversion theory we could follow his psychological change and his idea naturally deepened. The qualitative change itself that Dasuk experiences and intensification of idea which results from the conversion are the subject that I want to expose through this work.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