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데거의 전통 형이상학 비판과 탈-형이상학적 신의 사유
Heidegger’s Critique of Metaphysics and the ‘godly God’ thought
초록/요약
하이데거는 그의 대표 저작인 『존재와 시간』(1927)을 통해 철학이 지금까지‘존재’에 대해 잘못 질문하고 또 잘못 대답해왔음을 밝혔다. 그에 따르면 형이상학은 존재자로서 존재자를 사유해왔을 뿐, 정작 존재에 대해 묻지 않는 존재망각의 상황에 있다는 것이다. 형이상학은 존재자를 존재로 잘못 인식하고 그것의 존재이유에만 몰두하면서 자기 원인(causa sui)으로서의 ‘신’을 철학으로 끌어들여 존재-신-론(Onto-Theo-Logik)의 모습을 갖추었다. 그는 「형이상학은 무엇인가?」(1927)를 통해 존재자가 아니라 오히려 무(無)를 통하여 존재에 접근할 것을 제시한다. ‘무’에 대한 질문은 존재자를 앞세우고 자신을 뒤로 감추려는 존재의 진리를 드러내는 가장 근본적인 물음이 된다. 하이데거는 20세기 초에 큰 반향을 일으킨 니체의 니힐리즘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낸다. 이른바 “신은 죽었다.”로 대표되는 니체의 니힐리즘은 초감각적 가치들을 부정한다는 점에서 형이상학을 비판하는 것처럼 이해되었으나, 실상은 형이상학이 추구하는 존재자의 존재 이유의 부여라는 측면에서 존재망각의 연장선상과 그 종착점에 있다. 그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언제나 자신을 감추면서도 드러내는 존재의 비은폐성(ἀλήθεια)을 파악해야한다고 한다. 이렇게 은닉되어있는 존재를 대면하기 위해서는 플라톤 이전 ‘존재’를 퓌지스(φύσις), 즉 피어나는 자연으로 경험했던 고대 그리스 인들의 경이로움을 회복해야한다. 이는 앞서 그가 제시한 무(無)에 대한 접근과도 같은 맥락 안에 있다. 하이데거의 전통 형이상학의 비판으로 드러난 형이상학의 참 모습은 존재-신-론이다. 존재자를 근거 짓는 ‘최고의 존재(Das Seiendste)’ 혹은 ‘제일 원인(causa prima)’으로서의 신이 철학으로 들어오게 된다. 그 결과 우리가 기도하는 대상인 신은 존재와 연관된 ‘철학적 신’이 되어버린다. 그러므로 진정한 존재의 진리에 이르는 것이 ‘신적인 신(der göttliche Gott)’을 되찾는 가장 정확한 방법이 된다. 현존재(Dasein)가 불안을 통해 존재의 진리를 잡아내는 삶의 터전, 바로 이 터전으로부터 비로소 성스러운 것을 통해 신이 사유된다. 하이데거는 『동일성과 차이』(1955-57)를 통해 차라리 ‘신-없는 사유’를 통해서 ‘철학적 신’을 극복하고 ‘신적인 신’의 사유에 이를 것이라고 제시한다. 형이상학의 극복을 통하여 신의 사유에 이르려는 하이데거의 노력은 이를 비판적으로 수용한 현대의 철학자로서 장-뤽 마리옹(Jean-Luc Marion)에게로 이어지고 있다. 그는 신에 이르는 방식을 두 가지로 나누어 ‘우상(idol)’과 ‘아이콘(icon)’을 제시하는데, 형이상학과 같이 신을 철학의 개념으로 이해하고 존재-신-론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신의 인격화, 즉 우상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우상은 우리로 하여금 신을 철학적 신에 머물게하기 때문이다. 그는 하이데거를 따라 형이상학을 개념적 우상으로 보았다. 반면 계시나 현상과 같이 우리의 시선을 규정할 수 없는 신의 무한성으로 인도하는 방식들은 아이콘이 된다. 마리옹은 많은 부분 하이데거의 견해를 따랐으나 하이데거의 현존재가 주어지는 그대로의 신을 주체성으로 환원시킨다는 점에서 또 하나의 우상이 될 위험성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신을 기다리는 철학자, 하이데거의 ‘신적인 신’의 사유에 도달하고자하는 노력은 현대의 철학과 신학에서도 아직 유효성을 지니고 있다.
more초록/요약
Martin Heidegger demonstrated that philosophy had asked a wrong question about “Being” and replied with a faulty answer in his representative book,『Being and Time』(1927). According to him, metaphysics had closed in on the notion of Being as “beings as beings.” It thus buried questions of Being in oblivion and became an ‘onto-theo-logy,’ subsuming ‘God’ into the realm of philosophy as ‘causa sui,’ the reason of all beings. In his article “What is Metaphysics,” however, Heidegger maintained that we should recognize Being, not through beings, but through “nothing.” For him, a fundamental inquiry about “nothing” can reveal the truth of Being, which readily hides behind beings. Heidegger also criticized Nietzsche’s nihilism, as represented in the famous quotation “God is dead,” which denies supra-sensible values such as goodness and metaphysics. Nonetheless, Nietzsche’s nihilism approached metaphysics; for it was premised on the notion of ‘will to power,’ which, like metaphysics, focuses on the common essence and reason of all beings. Heidegger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rethink the physis(φύσις) and aletheia(ἀλήθεια) in which pre-Platonic philosophers grasped the truth of Being. He said that the ancient Greeks had faced Being in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nature, but that we lost physis & aletheia after Plato. Heidegger criticised metaphysics as ‘onto-theo-logy’ because it subsumes God within the realm of philosophy and set God us as ‘Das Seiendste’ or ‘causa prima,’ the reason of all beings. We thus lost the ‘godly God(der göttliche Gott),’ to which we could kneel down and send our prayers, and can now only conceptualize that God as the philosophical god. Heidegger introduced the idea that finding the real truth of Being can be the way to bring back the ‘godly God’ into our lives. Facing the truth of being through Angst, anxiety, Dasein can begin to experience the divine traces of God. In his book 『Identity and Difference』(1955-57), Heidegger preferred ‘godless thinking’ as a way to get beyond the philosophical god and reach the ‘godly God.’ Heidegger’s effort to overcome metaphysics and so reach the ‘godly god’ continues in the ideas of the contemporary Catholic theologian and philosopher Jean-Luc Marion(1946-), who accepted Heidegger’s viewpoint. Marion separates the method of thinking of God into two ways, ‘icon’ and ‘idol.’ Following Heidegger in calling metaphysics a conceptual idol, he points out that the ‘idol’ situation exists when God is defined a philosophical concept in metaphysics. On the other hand, the “icon” comes to the fore in a method which leads us to think of God’s infinity as revelation and as a phenomenon which can not be defined. Though Marion follows Heidegger’s trend of thought, he criticizes Heidegger’s Dasein because the phenomenon of God should not be modified, but accepted it itself. Heidegger was a philosopher who waited for God. His intent to focus on getting close to the ‘godly God’ thought still has value in contemporary philosophy and theolog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