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戰爭·軍事博物館의 효율적 운영방안 연구

A Study on Efficient Operations of War & Military Museum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전쟁·군사박물관의 효율적 운영방안을 도출하고자 국내 주요 전쟁·군사박물관인 육군·해군·공군박물관 및 전쟁기념관의 운영현황 및 실태를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연구하여 향후 국내의 전쟁·군사를 전시주제로 하는 박물관 실정에 부합하는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룬 박물관은 모두 6·25전쟁을 전시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전쟁의 상흔은 정전협정이 체결되고 60여 년이 지난 지금도 지속되고 있다. 전쟁으로 인한 폐해와 상처를 기억하고 교육하기 위해 전쟁을 주제로 하는 많은 기념물과 박물관들이 건립되었다. 이처럼 군사박물관이 주어진 기능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군’이라고 하는 특수성과 폐쇄성에서 벗어나 문화공간으로 거듭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아울러 인력·시설·예산지원체계 등의 현실적인 활성화 방안 마련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전쟁·군사박물관을 다루는 관련법과 규정을 검토하였다. 나아가 선진 군사박물관의 운영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군사박물관이 처한 문제점과 취약점에 대해 보완·발전시켜야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주요 전쟁·군사박물관의 관리자 또는 학예사와의 인터뷰를 실시함으로서 정보공개를 통해 알 수 있는 통상적인 자료수집 범위를 넘어 세부적인 운영실태 및 현황을 조사하였다. 전쟁·군사 박물관 연합회 결성에 대한 설문지도 제작하여, 전국 50여 개 군사박물관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전쟁·군사박물관이 가지는 공통적인 문제는 예산과 전문 인력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국·공립 박물관에 반해 전쟁·군사박물관은 예산편성 및 전문 인력확보에 대한 제도적 뒷받침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군사박물관이 가지는 공공성의 차원에서 볼 때 건립목적에 맞는 사업수행을 위해서는 관련 법률의 보완과 정부의 지원을 확대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2011년부터 2013년까지의 연간 관람인원의 변화추이를 볼 때 시간이 흐를수록 관람인원은 제자리에서 변하지 않거나 오히려 줄어들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전쟁·군사박물관들의 활성화 정도를 가늠해 볼 수 있는 하나의 준거가 된다. 이러한 원인은 전쟁·군사박물관을 운영하는 예산이 각 군이나 국방부로부터 조달되는 과정에서‘전력증강’사업에 밀려난데 있다. 따라서 예산부족은 첨단전시기법을 적용한 현대적 박물관으로 개선되기 힘든 상황을 초래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관계법령의 검토 및 보완을 통해 전쟁·군사박물관들이 활성화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선진국의 군사박물관 운영사례를 조사해본 결과 이들 전쟁·군사박물관들은 운영에 필요한 예산이 국가 또는 후원재단 및 독지가단체의 지원에 의해 활성화되어 있다는 점이다. 우리도 선진국처럼 예산지원체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쟁·군사박물관의 공통적인 활성화 방안과 전쟁기념 관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먼저 공통의 활성화 방안으로 전국의 군사박물관을 대상으로 하는 연합회 구성을 제안하고, 연합회 결성에 대한 기초조사를 위하여 약 3개월의 기간 동안 연합회 결성 참여희망여부를 묻는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 전국 50개 대상기관 중 35개 기관이 참여를 희망함으로써 공통적인 활성화 방안의 실현가능성에 대한 긍정적인 연구결과를 얻었다. 또한 군사 분야의 특수성 등으로 드러나지 않았던 이들 박물관의 문제점들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연합회 결성이 본 연구에서 파악된 문제들을 상호 보완하여 공동의 활성화를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전쟁기념관의 활성화를 위한 주요사항으로 국고예산의 지원과 자체수익 현실화를 위해서 관계법령 및 수익실적을 분석해 보고, 관리주체의 전환 방안과 자체수익 증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전쟁기념관이 목적사업을 원활히 추진함으로써 국민들에게 공익을 제공하고 긍정적인 공공시설물로의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가장 큰 특색은 기존의 박물관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현안과 과제에 대해 부분적인 개선방향에서 탈피하고, 군사 분야를 다루는 전문 박물관인 전쟁·군사 박물관 및 전쟁기념관의 비활성화 요인을 좀 더 현실적인 비교분석을 통하여 도출하고자 한 점이다. 또한 분석된 요인별로 관계법령에 대한 개선사항을 제안하였고, 장기적인 활성화 방안과 전쟁기념관의 운영실태 분석을 통한 현실적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있다.

more

초록/요약

This paper draws efficient operations of war and military museums by scrutinizing current situation and operational status of Army/Navy/Air Force Museums and the War Memorial of Korea which in turn, it aims to suggest applicable activation plans for those museums henceforward. All the studied museums in this paper exhibit the Korean War history. The Korean War scars still continue today since the armistice agreement more than sixty years ago. A number of war related memorial facilities and museums have been built to educate and remember the war scars and devastations. Military museums would work at their full functions and capacities when they bail out of a distinct and closed ‘military’ culture and shift into military museums as part of cultural places. And practical operational and systematic implementation plans regarding manpower and facility and budgetary support are required in vitalizing military museums. In this vein, it reviews related regulations of the War & Military museums. Furthermore, it benchmarks examples of military museums operations in other advanced countries and addresses improvements for the military museums in Korea. For the research, it was able to sample and study in depth operational status and current situation through interviewing with curators or museum professionals. Also, it conducted a country wide survey for fifty military museums on organizing a museum association. In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firstly, a common issue is that they have short budget and professionals in their museums. In contrast to the national and public museums, the war & military museums do not have institutional support for a compilation of the budget and securing workforce. Concerning publicity of the military museums, it should increase government support and amend related legislation in support of their successful business conducts. Secondly, the number of visitors is stable or even decreasing from a statistics of annual visitors between the year of 2011 and 2013. This number implicates a degree of activation for the military museums. As one of the reasons, the military budget on strengthening of war potential is prioritized over the museums. The budget deficiency leads to a difficult situation where the museums cannot apply modern exhibition techniques. Such issues can be solved by activating the museums through amending legislations and related regulations. Thirdly, after researching examples of museums operations in advanced countries notably most of their budgets are actively supported by government, foundations or welfare organizations. Necessarily, Korean museums also need to improve their budget support systems. This paper derives common activation options of the war & military museums and the War Memorial of Korea from the research. Above of all, as common activation methods, it suggests organizing military museums association. For basic investigation, it conducts three months of survey questioning their intention to join the association. With thirty five out of fifty organizations’ answers to join the association, it could reach a positive study result on feasibility of the common activation methods. Also, it addresses undiscovered issues due to aspects of military specialty. The organizing association could mutually supplement addressed issues in reaching the common activation. As driving factors in activating the War Memorial of Korea, it analyzes related regulations and earnings for realization of self-revenue and support of government budget, and suggests self-revenue expanding methods and changing management. Moreover, it secures public interests through seamlessly implementing purpose business and suggests activation options that help public recognize as a positive public facility. Remarkably this paper tries to avoid partial improvement of common issues held by existing museums, but derives deactivation factors of the military museums from more practical comparisons. Also, it suggests improvement for related regulations by analyzed factors. And it suggests a long-term activation option and a practical activation solution through the operation condition analysis of the War Memorial of Korea.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