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고정희 시에 나타난 인유의 양상 연구

Study on the Aspects of the Allusion expressed in Goh Jung-hee's Poetry

초록/요약 도움말

본 연구는 고정희의 시 텍스트에 나타난 인유의 의미 작용을 고찰하여 독서 수행의 재형상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알렌 파스코와 조셉 푸치에 의하면 인유란 독서 과정에서 하나의 텍스트가 또 다른 독립적인 텍스트를 환기하고 사용할 때 창조되는 은유적 관계를 말한다. 본고에서는 고정희 시에서 이 같은 인유가 나타나는 양상을 크게 ‘성서적 인유’와 ‘여성주의적 인유’로 나누어서 분석할 것이다. 이를 통해 다음의 두 가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독자는 첫째, 성서적 인유의 의미 작용을 통해 타자로서의 자기이해에 이르게 되며 둘째, 여성주의적 인유의 의미 작용을 통해 치유의 주체가 되도록 요청받는다고 본다. 이와 같은 논의는 독서 수행을 통해 고정희의 시세계와 독자의 세계가 접목되면서 시 텍스트에 잠재되어있던 의미들을 활성화시켜 풍부한 의미망을 생성함으로 양자 간의 세계가 확장된다는 결론을 도출시킨다. 고정희는 1960‧70년대 여성 시인에 의해 주로 생산되던 개인적 서정시와는 달리 성서에서부터 현대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인유를 통해 하나의 작은 사건을 보편의 역사로 끌어올리는 텍스트 생산 전략을 취한다. 따라서 그의 시 텍스트에는 역사적 사건의 맥락이 있는 지명이나 인명, 성서 텍스트, 고전 여성 문인들의 작품 텍스트와 삶의 이야기, 페미니즘 이론서들의 관점 등에 대한 참조가 명시적으로 드러나 있다. 그러므로 고정희의 시 텍스트에서 인식되는 외부 텍스트에 대한 명시적인 참조점은 인유를 발생시키며 텍스트들 간의 공명을 통해 인유적인 관계를 구축한다. 이때 텍스트는 스스로 참조점을 읽어내어 관계를 설립하고 의미와 소통할 수 없다. 이런 이유로 인유의 발생에 있어 독자가 필요하다. 여기에서 독자는 책을 읽는 모든 사람이 아닌 인유적 독자로서 능동성과 의미 만들기의 능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독자의 정신적 자유-유희를 통해 떠오르는 이미지들은 독자의 인유적 공간 안에서 은유적으로 결합한다. 이와 같은 텍스트들 간의 은유적 결합방식에 의해 생성되는 인유의 의미 작용에 따라 병행 인유, 인유 복합체, 대립 인유로 분류한다. 2장에서는 고정희 시 텍스트에 나타난 성서적 인유의 의미 작용을 통해 타자로서의 자기이해에 이르게 되는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먼저, 병행 인유는 시 텍스트에서 이름이나 지명과 같은 고유 명사를 환기함으로써 다소 뚜렷하게 나타난다. 「아우슈비츠 ‧ 3―신(神)의 어린양」, 「유랑하는 이브의 노래―창세기 3장 16절」, 「프라하의 봄 ‧ 3」의 시 텍스트들은 성서 텍스트와 인유적 병행 관계를 구축함으로써 시적 화자의 현실의 부조리함에 대한 분노를 인류 보편적인 맥락으로 확대한다. 이어서, 인유 복합체는 다수의 병행 인유가 독자의 인유적 공간 안에서 통합됨으로써 시 텍스트 전체의 맥락을 조망할 수 있는 종합적인 의미망을 생산한다. 「이 시대의 아벨」과 「도마 복음」에서는 인유의 뒤섞임을 통해 복합적인 해석이 도출됨으로써 인간의 실존적 고통을 인식하도록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대립 인유는 병행 인유에서 시작하지만 원천 텍스트와 다른 열린 결말을 도출한다. 「땅의 사람들 4—쿼바디스 도미네」에서는 예수의 민중적 정체성에 강조점을 둠으로써 민중의 부활이 곧 인류 구원의 완성이라는 내적 각성을 촉구한다. 따라서 독자는 성서의 역사 공간과 시 텍스트의 역사 공간의 통합으로 생성되는 보편적 현실 속에서 자기 위치를 점검하고 자기를 둘러싼 역사적 맥락을 이해함으로 자기 이해에 도달한다. 3장에서는 시 텍스트에 나타난 여성주의적 인유의 의미 작용을 통해 독자가 치유의 주체로 반응하는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텍스트들 간에 인유적 병행 관계를 이루는 「광주의 눈물비—우리의 봄, 서울의 봄 1」, 「수넴 여자 아비삭의 노래―한신학보 100호에 부쳐」, 「밥과 자본주의, 구정동아 구정동아」, 「밥과 자본주의, 그러나 너를 일으키는 힘은 우리로부터 나온다」에서는 정치적 폭력과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의해 고통 받고도 살아남은 여성이 역설적으로 주체가 되고 인류의 구원에 주체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새 역사를 구축하는 새로운 여성 주체로 부름 받는다. 다음으로 「황진이가 이옥봉에게―이야기 여성사‧1」와 「이옥봉이 황진이에게―이야기 여성사‧2」에서 병행 인유된 고전 여성 인물들과 문학 작품, 삶의 이야기는 페미니즘적 정체성이라는 주제 아래 묶이고 통합된다. 이러한 인유의 복합적인 뒤섞임으로 인해 여성들 개인의 고독과 소외가 각기 다른 맥락 속에서 힘을 합쳐 자아가 확대되고 여성 연대가 구축된다. 최종적으로 「통곡의 행진—암하레츠 시편7」, 「여자 학대 비리 청문회—성탄절에」, 「십일간의 해방구―암하레츠 시편10」에서는 대립 인유의 의미 작용을 통해 ‘어머니 하느님’이 창조됨으로써 ‘어머니 하느님 나라’가 문학적으로 실현된다. 이는 곧 인간해방이 이루어져 모든 인간이 인간답게 살 수 있는 세상이자 인류 구원이 이루어지는 ‘카니발적 세계’이다. 따라서 독자는 여성주의적 인유를 통해 생성되는 의미의 역동성으로 인해 남성 중심적 독해로부터 여성을 해방시키고 인간에 의해 젠더가 부여된 하느님도 해방시킨다. 이제 독자는 다시 쓰여진 역사 안에서 자신의 위치를 재맥락화하게 된다. 이로써 여성이 치유의 주체가 되는 자리로 초청받고 있음을 감지하게 되고 이 같은 역사적 소명에 동참하고자 반응하게 된다. 이처럼 인유의 의미 작용은 독자에 의해 생성된다. 모든 독서 수행에는 이중적 독자가 존재한다. 이를 테면, 고정희 시 텍스트에서는 ‘인유되는 텍스트’를 읽었던 고정희가 독자이면서 동시에 ‘인유하는 텍스트’로 기능하는 고정희 시 텍스트를 읽는 독자가 있다. 이러한 독자는 독서 수행을 통해 인유의 의미 작용에 생성적인 힘을 계속적으로 부여하므로 독자까지도 ‘거대한 대문자 텍스트’가 된다. 따라서 고정희를 독자로 보면, 고정희가 읽었던 텍스트들을 ‘인유되는 텍스트’로 설정하고 고정희의 개인적인 경험이나 기억, 시대적 맥락 등을 ‘인유하는 텍스트’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두 세계가 인유적 관계를 구축함으로써 고정희는 시 텍스트를 생산한다. 이렇게 생산된 고정희 시 텍스트를 읽는 독자의 경우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고정희 시를 ‘인유되는 텍스트’로 보고 독자의 세계를 ‘인유하는 텍스트’로 볼 수 있다. 이제 이 두 세계가 인유적 관계로 교차될 때, 독서 과정을 통해 독자의 정체성은 변화된다. 즉, 리쾨르에 따르면 ‘이야기 정체성(narrative identity)’을 획득한다. 따라서 독자는 독서 수행에서 발생하는 인유적 상상력을 통하여 시대적 감수성이 확장되면서 독서 이전과는 다른 ‘나’로 성장한다. 더불어 독자는 텍스트 읽기 과정에서 자신의 경험이나 기억, 시대적 맥락에 따라 겹겹의 의미망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텍스트의 세계 또한 확장된다. 본고는 이러한 고찰을 기반으로 고정희 시에서 발생하는 의미 작용을 인유의 양상으로 분석하고 이것이 독서 수행의 재형상화 과정과 연결되어 있음을 밝히고자한다. 따라서 ‘인유되는 텍스트’와 고정희 시 텍스트와의 긴밀한 연관 관계를 ‘인유’라는 문학적 작업으로 연구하는 것은 독자의 정신적 유희를 통해 잠재되어있던 의미들을 활성화시킨다. 이로 인하여 고정희는 ‘문명적 진화에 반비례해서 과연 정신적 진화가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물음을 오늘날의 독자에게 던진다. 독자는 독서 수행을 통해 이 같은 질문에 반응함으로써 고정희의 시세계와 독자의 세계 모두를 확장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more

초록/요약 도움말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figuration of the literary reading in Goh Jung-hee's poetry by exploring the aspects of the signification of 'allusion' in her writings. According to Allan H. Pasco and Joseph Pucci, allusion is the metaphorical relationship created when an alluding text evokes and uses another, independent text. In this study, I divide the aspects of allusion expressed in Goh Jung-hee's poetry into two categories, 'the biblical allusion' and 'the feminism allusion'. Through this study, I argue the two points as follows. First, the allusive reader can achieve self-understanding as the other by perceiving the signification of the biblical allusion. Second, the allusion's reader can be asked for the healing subject by contemplating the feminism allusive signification. From this argument I draw the conclusion that the full meaning is created through the reader's actualization of the potential for meaning by grafting Goh Jung-hee's poetic world on the reader's world in reading process. Goh Jung-hee takes the strategy for text production through the various aspects of allusion that raises a single historical event up the universal one through from the bible to modern history compared to private lyrics written by female poets in 1960's and 1970's. Her poetry is, therefore, overtly exposed to the reference of the place name and the name of a person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the bible, literary works written by classical women and their life stories, or the feminism perspective. Accordingly, the overt reference of the external text alluded in Goh Jung-hee's poetic generates allusion and constructs allus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s. At this moment the text cannot participate in the dialogue for making meanings as well as make a relationship by reading the reference on its own. For this reason a reader is required to generate allusion. The reader means not all people reading books but the allusive reader who has the qualifications active and meaning-making. The images which arise from the mental free-play of the reader combine metaphorically in the reader's allusive space. Now I classify into parallel allusion, oppositional allusion, and allusive complex depending on the signification for the allusion created in the way of metaphorical combination between texts. In Chapter Ⅱ, I take a look at the process achieving self-understanding as the other by perceiving the signification of the biblical allusion. First, parallel allusion evokes a proper noun such as names in the poetry. "Auschwitz ‧ 3―the Lamb of God", "Song of Wandering Eve―Genesis 3:16", "Prague Spring ‧ 3" expand the rage of a poetic narrator into the universal rate of mankind by constructing allusive parallel relationship with the biblical text. Next, allusive complex produces the comprehensive meaning network by integrating into numbers of parallel allusion, so it can make the reader take a view of the overall context in the whole poetic text. "Abel in This Era" and "Gospel of Thomas" lead the reader to recognize existential sufferings of human being through the interwoven pattern of allusion that creates the complex interpretation. Last, oppositional allusion may weight parallels as a means of preparing a contrasting conclusion. "People of the Earth 4—Quo Vadis Domine“ urges the inner awakening to complete the salvation of mankind that is the resurrection of Minjung by emphasizing Jesus' Minjung identity. As a result, the reader identifies his or her position in the universal reality generated by the combination between the historical space of the bible and that of the poetry and gets self-understanding by figuring out the historical context surrounding himself or herself. Chapter Ⅲ analyzes the feminism allusion expressed Goh Jung-hee's poetry while exploring the process that the reader responds to the signification of allusion as a healing subject. In "Rain of Tears in Gwangju—Our Spring, Seoul Spring 1", "Song of Abishag, the Shunammite—for Hansin Bulletin No.100", "Bab and Capitalism, O Gujeong-dong, Gujeong-dong", and "Bab and Capitalism, But the Power that Raises You Comes out from Us", a woman who survive political violence and a patriarchy become paradoxically the subject and she has a calling as a new female subject to construct the brand-new history by participating in the salvation of mankind with subjectivity. In addition to this, classical women, their literary works, and life stories alluded in "To Lee Ok-bong from Hwang Jin-yi―herstory‧1" and "To Hwang Jin-yi from Lee Ok-bong―herstory‧2" integrate under the theme called feminism identity. On account of this allusive complex, the selves of women enlarge and the solidarity of them is established because personal loneliness and isolation of the women are joined by forces to work together. Finally, in "Wailing March—Amhaarez 7", "Women Abuse Hearing on Corruption—on Christmas Day", the signification of oppositional allusion creates 'Mother God', so 'the Kingdom of Mother God' which is 'the world of carnival' comes true in literary work. Therefore, the reader actualize women's liberation from an androcentric society through dynamic meaning for the feminism allusion and let gender-oriented God free. Now the reader re-contextualizes his or her position in the rewritten history. He or she hereby perceives the women invited in the place of a healing subject responding to take part in this historical vocation. In this way, the signification of the allusion is created by the allusive reader who can become 'a Gargantuan Text'. There are dual readers in the process of reading. In a view of Goh Jung-hee as a reader, the text that she read in the past can be a 'alluded text' and 'alluding text' would be her private experience or memory, comtemporary context, and etc. By constructing allus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orlds like this, Goh Jung-hee produces the poetry. Likewise, in the allusive reader's case, 'alluded text' can be the poetry and 'alluding text' can be the world the reader. The reader's identity can be chang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two worlds through reading. In other words, he or she gains 'narrative identity' suggested by Paul Ricœur. Then expanding his or her the sensitivity of the age through allusive imagination for reading, he or she becomes 'the new self' different from himself or herself before reading. Besides, the world of text can be also expanded because the reader makes the complex meaning in the process of reading through his or her own world.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is consideration, analyzes the signification arising from Goh Jung-hee's poetry with the aspects of allusion and examines the connection with the re-figuration of the literary reading in Goh Jung-hee's poetry. I accordingly discuss the organic connection between 'alluded text' and the poetry using allusion to activate the potential meaning through the reader's mental play. With this, Goh Jung-hee asks the reader a question whether the evolution of mental process is in inverse proportion to that of civilization or not. The allusive reader makes both Goh Jung-hee's poetic world and the reader's world expand in the process of reading by responding to this kind of the ques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