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문소설의 여성인물 묘사 양상과 그 의미 : <유씨삼대록>, <조씨삼대록>, <임씨삼대록>을 중심으로
The description and its meaning of female character in Korean Family Novel:focusing on <Yussisamdaerok(유씨삼대록)>, <Jossisamdaerok(조씨삼대록)>, <Limssisamdaerok(임씨삼대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가문소설에 등장하는 여성인물의 묘사 양상을 살피고 이를 여성인물을 둘러싼 조건적 맥락 간의 관계 속에서 설명함으로써 그 속에 내재된 사회문화적 의미를 밝히는 데 있다. 지금껏 가문소설의 여성인물 형상화와 관련한 많은 연구들은 여성인물을 분류하고 관찰하는 데 있어 인물의 행위에 중점을 두어 온 것으로 보인다. 인물이 어떠한 행위를 하는가 혹은 어떠한 역할을 맡고 있는가에 따라 선인이나 악인으로 분류해왔던 것인데 이는 서사물의 이야기 측면에서 가문소설의 여성인물을 파악하고자 했던 경향이 다분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가문소설의 많은 여성인물을 선과 악의 범주를 중심으로 이해하는 것은 가문소설의 여성인물들 간에 존재하는 다양한 층차를 설명하기에는 다소 아쉬운 면이 없지 않다. 이를 해소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본고는 가문소설의 여성인물을 서사의 담화(discourse) 측면에서 접근함으로써 여성인물이 놓인 다양한 주변 맥락들에 대한 이해를 보완하고자 한다. 가문소설의 여성인물 묘사를 대상으로 거기에 나타나는 여러 담화표지들의 성격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일련의 패턴을 보다 열린 시각에서 확인함으로써 기존의 가문소설 여성인물을 보는 선과 악 혹은 긍정과 부정이라는 이분법적 시각이 지닌 아쉬운 점들을 보완할 수 있다. 더불어 가문소설의 여성인물 묘사 양상을 여성인물을 둘러싸고 있는 여러 조건적 맥락과의 관계 속에서 해명함으로써 당대 여성에 대한 인식을 제한적으로나마 이해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가문소설의 여성인물 묘사는 크게 신체 묘사, 태도 묘사, 의상 및 꾸밈새 묘사, 전체적인 분위기 묘사로 나타난다. 어휘를 그 내용적 영역에 따라 크게 형태어와 관념어로 나눌 수 있을 때, 형태어는 형상을 지닌 물체의 본바탕이나 혹은 그것의 움직임을 드러내는 어휘라 할 수 있고, 관념어는 사고의 대상이 되는 의식의 내용 및 성격을 드러내는 어휘라 할 수 있다. 가문소설의 여성인물 묘사에서는 전반적으로 형태어가 동원되는 비중이 상당히 높으며 부분적으로 관념어가 동원되는 것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인물 묘사에서 형태어가 빈번하게 등장한다는 것은 묘사 대상의 여러 측면들을 시각화하려는 의도가 짙다고 이해할 수 있으며 부분적이긴 하지만 관념어가 등장함으로써 특히 묘사 대상의 정신적이거나 심리적인 측면의 성질을 명확히 규명하고자 한다는 것을 추측해낼 수 있다. 신체 묘사는 여성인물의 생김새에 중점을 둔 것으로 골격으로 대표되는 전신과 얼굴 모양, 눈, 눈썹, 뺨, 피부 색 등 안면 자체에 대한 묘사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때 맑음과 깨끗함의 자질을 지닌 형태어와 돌출성과 어두움의 자질을 지닌 형태어가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태도 묘사는 여성인물의 내면적 영역 혹은 내면적 영역의 발현으로서의 외면적 영역이 그 묘사 대상이 되는데, 기질, 성품, 안색, 기색, 언사, 행동거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깊음의 자질을 지닌 형태어와 따뜻함과 부드러움의 자질을 지닌 형태어, 맑음과 고결함 혹은 맑음과 청아함의 자질을 지닌 형태어, 그리고 역동성의 자질을 지닌 형태어가 활용되고 있으며 욕망을 드러내는 관념어가 활용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의상 및 꾸밈새 묘사의 경우 여성인물의 얼굴 화장, 옷차림, 장신구, 방 꾸밈 등이 해당되는 데 맑음과 소박함의 자질을 지닌 형태어와 화려함의 자질을 지닌 형태어가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전체적인 분위기 묘사에서는 빛과 향이 그 자체로 묘사 대상이 되어 여성인물의 각 부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으면서도 여성인물이 지닌 속성을 드러내고 있는데 이때 빛과 향의 자질이 동원되는 것은 빛과 향이 지닌 파급성으로부터 기인한 부분이 있으리라 생각된다. 가문소설 여성인물 묘사에서 나타나는 이 같은 양상은 여성인물이 지닌 다양한 조건적 맥락과의 관계 속에서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성인물을 둘러싼 조건적 맥락은 크게 가문적 상황, 혼인 과정, 개인적 상황으로 분류될 수 있다. 가문적 상황은 여성인물 집안의 문벌적 위상, 여성인물 가문과 중심가문 간 친소 관계, 여성인물의 여교 습득 상태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혼인 과정을 살피면서는 양쪽 집안의 가장(家長) 간 합의에 따른 혼인이 아닌 개인적 욕구가 반영되는 혼인 유형을 대상으로 검토하였는데, 크게 남성인물의 의사가 개입되는 경우, 여성인물의 의사가 개입되는 경우로 나뉠 수 있다. 개인적 상황과 관련해서는 여성인물의 성품에 따른 묘사의 양상을 따져보았다. 이와 같은 여러 조건적 맥락에 따라 앞서 분석한 갖가지 담화표지들이 분파를 보이면서 여성인물 묘사에 동원되고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여성인물들은 가문과의 관계에서 집단을 구성하는 일원으로서만 간주되었다는 점, 그것은 출가 전 친정의 구성원이었을 때나 출가 후 시댁의 구성원이 된 이후에도 항시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시댁의 구성원이 되고 난 이후에는 그러한 역할이 더욱 강하게 요구되고 있었다. 시댁 가문의 유지와 번영에 합당한 조건을 지녔는가 그렇지 않은가가 여성을 판단하는 주요인이었으며 늘 시댁 가문의 규범에 따라 스스로를 동일화해야만 했다. 만약 동일화에 실패할 경우 시댁 가문으로부터 내침을 당함으로써 철저하게 응징 받기도 했다. 또한 남성과의 관계에서도 여성은 늘 스스로를 끊임없이 제어해야만 하는 위치에 놓여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남성 중심의 가문 중심주의가 가문 공동체를 구성하는 개인, 그리고 여성에 강요하는 획일화 과정을 분명히 보여주는 것이며 그 속에서 여성 개인의 삶은 가문이 지향하는 바에 부합할 경우에만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moreAbstract
This study examines female characters as they are described in the Korean Family novel, and considers other factors, such as class and status, in order to understand the implicit social and cultural meaning. Typically, studies of this genre classify the actions of female characters as good or bad, and focus on the roles the characters play in the story. This perspective confines our understanding of female characters to the plot or narrative level. By creating a moral dichotomy, this perspective fails to understand the characters in terms of status and class. This study seeks to overcome this shortcoming by introducing a new perspective for analysis. By looking closely at the descriptions of female characters and their surroundings, this study identifies a series of patterns in order to understand and break down the dichotomous classification of the existing discourse. Furthermore, this study might improve the foothold for understanding the status and perspective of women of the era. In describing the visual aspect of female characters, this study examines four distinctive traits that include physical appearance, attitude, fashion, and overall atmosphere. Descriptive language is categorized as being either abstract or concrete. The majority of this study examines concrete descriptions. Frequent use of concrete descriptions of female characteristics inspires visualization; on the other hand, the use of abstract description reveals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the characters clearly. Concrete description intensively concentrates on portraiture, such as describing the body, face shape, eyes, eyebrows, cheeks, skin, head, and so on. There are concrete descriptions, which have abstract connotations of pureness and neatness, and darkness as well. Concrete descriptions of attitude usually suggest an inner side or superficial revelation of the character's inside, such as her temper, personality, feelings, appearance, speech, and manners. Of course, various abstract words animate the female character, such as warmness, softness, pureness, and desire. In describing fashion, including makeup, dress, accessories, and interior decor, abstract descriptions such as pureness and simplicity are often used. On the other hand, the overall atmosphere is primarily described by lighting and fragrance, with a strong influence that can be extended to the female character without any further description. Female characters in the Korean Family novel can be understood by various conditions. Conditions surrounding the characters are generally classified in terms of family, marriage, and personality. The description of the character’s family represents her social status, the relationship and degree of intimacy she has with her family, as well as her ability to acquire education. Concerning marriage, the marital process either reflects an individual's decision or is arranged by the patriarchs of two families. Therefore, there are two major factors: one is the male characters' involvement, and the other is the female character's personal preference. In describing personality, the innate nature of the character affects the description. Consequently,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Korean Family novel implicitly emphasizes the uniformity between family honor and prosperity. Also, it defines norms for women, offering instructive guidelines for women of honorable families, and the importance of following the norm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