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교사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a Middle School Teacher's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Job Satisfaction
- 주제(키워드) 도움말 커뮤니케이션 만족 , 직무 만족 , communication satisfaction , job satisfac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신호창
- 발행년도 2014
- 학위수여년월 2014.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도움말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4194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도움말
본 연구는 교사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그들의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냄으로써 교사의 직무 만족도 제고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여 교사들의 자존감과 자긍심을 고양하고 더 나아가 우리나라 학교 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대전 지역의 중학교 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진행된 본 연구에서는 SPSS 18.0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빈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커뮤니케이션 만족 및 직무 만족 요인 차이 분석을 위해 t-test, one-way ANOVA 등을 활용했다. 커뮤니케이션 만족을 크게 관계적 차원과 정보적 차원으로 나누었고 관계적 차원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은 다시 수평적 커뮤니케이션, 수직적 커뮤니케이션, 학생 및 학부모와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만족으로, 정보적 차원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은 정보량, 정보의 적시성, 정확성, 관련성에 대한 만족으로 나누어 측정했다. 직무 만족은 허즈버그(Herzberg)의 2요인 이론에 근거하여 만족 요인과 불만족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 결과, 관계적 차원과 정보적 차원의 커뮤니케이션 만족 모두 직무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관계적 차원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정보적 차원보다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인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관계적 차원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의 세 하위 요인 모두 직무 만족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교장 및 교감, 부장 교사 같은 상급자와 이루어지는 수직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만족이 교사의 직무 만족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학생 및 학부모와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만족이 미치는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가장 작았다. 정보적 차원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을 이루는 네 요인 중 정보량, 정보 관련성만이 직무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정보량에 대한 만족이 관련성에 대한 만족보다 교사의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요인별로 커뮤니케이션 만족 및 직무 만족 변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직급, 고용 형태, 현 학교 근속 연수, 총 근속 연수 그리고 동료 간 정기 모임 여부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수직적 커뮤니케이션의 경우, 50세 이상의 교사들이 가장 높은 만족 수준을 보였고 29세 이하의 어린 교사들 역시 그 다음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었으며 직급이 높을수록 커뮤니케이션과 직무에 대한 만족 모두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현 학교에서의 근속 연수가 4년 이상 된, 전반적인 학교 생활에 익숙한 교사들의 직무 만족 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근속 연수의 경우, 수직적 커뮤니케이션 항목에서만 만족 수준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대체로 총 근속 연수가 오래될수록 교장 및 교감, 부장 교사와의 커뮤니케이션에 높은 만족을 보였으며 총 근속 연수가 짧은 교사들은 수직적 커뮤니케이션에 낮은 만족 수준을 보였다. 그동안 다루어지지 않았던 교사들의 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한 본 연구는 사내 커뮤니케이션 평가를 위해 사용되어 온 커뮤니케이션 만족 개념을 교사 집단에 적용하여 교사들의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그들의 직무 만족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more초록/요약 도움말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school teachers’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to examine the ways of enhancing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n order to raise their self-esteem and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0 middle school teachers in Daejeon. Statistical treatment was done using SPSS 18.0 for the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Communication satisfaction was divided into two dimensions; relational dimension and informational dimension. Communication satisfaction of relational dimension was measured by examining; (1) horizontal communication (communication among fellow teachers); (2) vertical communication (communication with superiors); and, (3) communication with students and parents. Communication satisfaction of informational dimension was measured by examining; (1) the amount of information; (2) the timeliness of information; (3) the accuracy of information; and, (4) the relevance of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both communication satisfaction of relational dimension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of informational dimension had a posi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particularly the former had a stronger influence than the latter. All the factors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of relational dimen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Vertical communication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The factor which influenced job satisfaction least was the communication with students and parents. Among the factors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of informational dimension, satisfaction with the amount of information and the relevance of inform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In this case, the former had a stronger influence than the latter.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level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or job satisfaction among school teachers in all demographic factors(age, gender, rank, type of employment, the number of years of teaching at the current school, the total number of years of teaching, and an existence of regular meeting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