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상호문화교육 관점에서의 역사교육과정 고찰

A Research of History education curriculum focused on Intercultural education

초록/요약 도움말

통계청 자료를 보면 우리나라에서는 앞으로 외국인과 그들의 자녀를 포함한 이주민의 인구가 꾸준히 늘어 2020년에는 전체 인구의 5.5%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사회가 바야흐로 인종적ㆍ민족적ㆍ문화적 다원화 사회로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은 우리사회에 단순한 인구구성의 변화를 넘어서 새로운 문화질서의 형성과 사회통합을 필요로 하는데 그 중요한 방법 중 하나로 ‘교육’을 꼽을 수 있다. 우리보다 먼저 이민화 현상으로 인한 사회통합 문제를 고민해온 서구사회의 대표적인 교육개념으로 ‘다문화교육 (multicultural education)’과 ‘상호문화교육 (intercultural education)’이 있다. 본 연구는 그중에서 유럽의 ‘상호문화교육’이 국내의 역사수업에서 어떠한 방향성을 가지고 실현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주민 2세대들을 위한 교육을 ‘다문화교육’ 이란 개념으로 통칭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본 연구자는 ‘이주민 2세대들을 위한 교육’이 국내에 자리 잡기 위해 갖춰져야 하는 사회적·문화적인 토대가 미국보다는 프랑스와 독일과 같은 유럽의 그것과 더 닮아있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그것은 1) 차별적 배제의 모델, 2) 동화주의모델, 3) 다문화모델 이렇게 3가지로 구분되는 ‘이주민통합 모델 유형’을 보더라도 우리나라는 미국의 다문화모델이 아닌 독일과 프랑스의 차별적 배제의 모델과 동화주의 모델 성격을 더 많이 가지고 있다는 점이 본 연구의 필요성을 뒷받침 해주고 있다. 첫 번째 연구방법으로는 ‘상호문화교육’을 보다 면밀히 알아보기 위해 유럽의 상호문화교육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프랑스의 초 중등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상호문화교육의 일반적 방향은 소수자들을 위한 교육적, 사회적 기회를 제공하는 것과 동시에 다수자에게 사회적 차별과 편견의식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도록 하고 있다. 독일의 상호문화교육은 ‘역사교육’ 측면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는데, 독일의 역사교과서는 ‘이주’를 현대사의 중요한 요소로 다루고 있으며, 이주사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역사수업 주제에 적용 가능한 다음의 1) 내용선정의 차원, 2) 자료에 대한 복수적 관점, 3) 소수자를 배려한 교수학습과정 3가지차원에서 역사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고 있다. 이어서 두 번째 연구방법은 이렇게 구체화된 상호문화교육 관점을 가지고 국내의 ‘2009개정 교육과정’ 사회과 교육과정 상에서 상호문화적 역사교육의 가능성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역사’, ‘동아시아사’, ‘세계사’ 과목의 교육과정 상의 학습목표 및 성취기준에서 다양성· 상호연관성· 상호교류· 타자의 이해에 초점을 두어 교육목표와 성취기준을 설정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는 곧 국내의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도 명시적이지는 않으나 상호문화교육이 지향하는 다원적 관점의 역사이해를 반영하고 상호문화교육 관점이 국내 역사수업에서 적용 가능한 논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역사교육은 상호문화교육을 가장 잘 실천할 수 있는 장이다. 어느 교과목보다도 역사 과목은 인간이 서로 소통하고 교류하며 사는 다양한 삶의 모습을 시공간적으로 조망해 볼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역사수업 속의 상호문화교육은 역사적 인식과 역사를 통한 인간의 삶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가 학교 안에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학생에 비해 역사교육을 위한 연구가 미흡하여 수업방법을 고민하는 교사들에게 유용한 ‘상호문화교육’의 기초적 이해의 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more

초록/요약 도움말

According to a survey of Statistic Korea, the population of immigrants including their children will reach up to 5.5% of total population of Korea in 2020. This survey means that Korea society has changed into multi-racial, multi-ethnic and multi-cultural country. The social structure change needs methods of integration, so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thods for this phenomenon. Western countries that already experienced the demand of social integration choose ‘Multicultural education’ or ‘Intercultural education’ as a typical education model. This study focused on how Intercultural education in Europe can realize in domestic historic education. Although, in Korea,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popularly known as an education method for second generation of immigrants, this study starts with that perception of the social change and ‘Immigrants integration model’ of Korea is similar to ‘assimilationist model’ in Germany and ‘Differential exclusionary model’ in France rather than Multicultural model in Unite States of America. In the first, this study intensively analysis case studies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two countries in Europe. In France,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carried out the secondary school make majorities reflect themselves on ‘social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nd at the same time that emphasize society provide opportunities of education for minorities. In sequence,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in Germany focus on that immigration is very important issue in modern history class, as well as provides ‘selection of historical contents’, ‘Presentation of multi-perspectivity’, an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which do not exclude the minorities’. In Second, this study review 2009 education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 education and analysis possibilities in history education. As a result, the diverse view points of Intercultural education not only accord with the curriculum, but also shows applicability in terms of history education class. History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class to accustom Intercultural education. Thus, this study expect to provide the basic understanding of Intercultural education for whom to search teaching methods for rapidly increasing students of the multi cultural students in school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