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생의 공적자의식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 회피 분산적 정서조절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Public Self-Consciousness on Social Anxiety of High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Avoidance Distrac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 주제(키워드) 도움말 청소년 , 대인불안 , 공적자의식 , 회피 분산적 정서조절 , 자기수용 , adolescence , interpersonal anxiety , public self-consciousness , avoidance-distractive emotional regulation ,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김향숙
- 발행년도 2014
- 학위수여년월 2014.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도움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418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도움말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공적자의식과 대인불안의 관계에서 회피 분산적 정서조절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소재한 인문계 고등학교 1, 2학년 3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적자의식이 대인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타인의 평가대상으로 자기를 인식하는 경향으로 인해 대인불안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공적자의식과 대인불안 간의 관계에서 회피 분산적 정서조절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공적자의식이 높은 청소년이 회피 분산적 정서조절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로 인해 대인불안이 가중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공적자의식과 대인불안 간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공적자의식이 높은 청소년은 자신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이로 인해 사회적 상황에서 경험하는 불안 또한 증가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또래관계와 사회적 관계가 중요한 청소년기에 공적자의식이 대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탐색함으로써 치료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more초록/요약 도움말
Since social anxiety is a major emotional problem in adolescenc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factors and mechanisms affecting social anxiety for effective therapeutic inter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public self-consciousness on social anxiety, specifically interpersonal anxiety.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avoidance distrac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were examined.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Self-Consciousness Scale, the Avoidance-Distractive Measure of Emotional Regulation Scale, the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Questionnaire, and Social Anxiety Scale for Adolescents were administered to 324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results showed, first, avoidance-distractive emotional regul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interpersonal anxiety. Seco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had ful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interpersonal anxiety. The present study has practical clinical implications emphasizing intervention for emotion regulation and positive self-concept in treating adolescents’ social anxiety caused by high public self-awareness.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