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장애자녀 양육자의 장애수용, 양육스트레스 및 대처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f variables affecting the disability acceptance, parenting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to the parent of child with disabilities

초록/요약 도움말

본 연구는 부모·자녀·환경 요인이 장애자녀를 둔 부모의 장애수용, 양육스트레스 및 대처방식과 어떠한 관련이 있고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장애자녀 부모의 적응을 도울 수 있는 효과적인 가족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를 위해 특수교사의 협조를 구하여 경기도, 충남 천안, 강원도 원주의 특수학교 유‧초‧중‧고‧전공과와 일반학교 초‧중‧고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만5세~21세의 장애학생 주 양육자에게 장애수용, 양육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180부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조사 도구의 문항 간 내적 일치도를 확인하기 위해 Cronbach's α 값을 산출하였다. 주요 변인들의 기술적인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각 측정 변인별로 평균과 표준편차 및 왜도와 첨도를 계산하였으며,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부모․자녀․환경 요인에 따른 각 변인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 검정 및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부모․자녀․환경 요인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예측변인과 조절변인을 평균중심화 하여 상호작용 항을 생성한 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애자녀를 둔 부모의 적응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변인인 장애수용과 문제중심대처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장애수용과 양육스트레스 및 정서중심대처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양육스트레스와 정서중심대처 간에는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양육스트레스와 문제중심대처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주 양육자 요인 중 학력에 따라 문제중심대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주 양육자의 경제 수준에 따라 장애수용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장애자녀 요인 중 장애정도에 따라 주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등급 1급 자녀를 둔 양육자가 1급이 아닌 집단보다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사회․신체․교육적 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장애자녀 나이에 따라서는 장애수용, 양육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장애자녀의 교육 환경에 따라 양육스트레스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자녀를 둔 양육자가 일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자녀의 양육자보다 경제․심리․사회․신체․교육적 스트레스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장애정도와 주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 하위영역 중 교육적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 있어 교육환경의 조절효과가 있었고, 자녀의 장애정도와 주 양육자의 정서중심대처와의 관계에 있어 교육환경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자녀의 장애정도와 주 양육자의 정서중심대처와의 관계에 있어 경제 수준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ore

초록/요약 도움말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child․environment variables and the disability acceptance, parenting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the parents of child with disabilities, and how these variables affect the parental adjustment. A survey consisted of three questionnaires selected in accordance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42 parents of child with disabilities living in Gyeonggi, Chungnam, Kangwon province. A total of 180 data, after excluding survey data with errors,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with SPSS 19.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disability acceptance and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y, and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y. And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disability acceptance and parenting stress, and between disability acceptance and emotion-focused coping. Second, the disability acceptance of the parent of child with disabiliti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economic status of parents. And the problem-focused coping of parent of child with disabiliti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 of parents. Third, the parenting stress of the parent of child with disabiliti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child’s disability, and the school that he attend(special education school/ regular schoo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ge of child Lastly, the educational environment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verity of the child’s disability and the educational stress of the parent of child with disabilities, a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verity of the child’s disability and the parent’s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y. The economic status of the parent of child with disabilities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verity of the child’s disability and the parent’s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