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등체육수업에서 창의성 가르치기 : - 하나로 수업을 중심으로 -

Teaching Creativity in Physical Education Class : Focusing on the Hanaro Teaching

초록/요약 도움말

본 연구는 하나로 수업을 중심으로 중등체육수업에서 창의성을 가르치기 위한 연구이다. 창의성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체육적창의성의 개념은 무엇인지, 체육수업에서 창의성을 어떻게 기를 것인지, 창의성체육수업을 방해하는 요소는 무엇 인지 파악하여 창의․인성교육의 균형을 맞추고 창의성체육수업의 실천수준을 높이기 위한 극복방안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로는 서울특별시 Y구, K구 와 경기도 G시, S시에 소재하고 하나로 수업을 실천하는 중등체육교사 중에서 연구의 목적에 합당하고, 연구의 특성을 잘 대표 할 수 있는 4명을 비확률표집(non-probability sam pling method)중 하나인 유목적 표집(purposeful sampling) 방법으로 선정하여 이들의 이야기를 듣고 생각하고 느끼면서 자료를 분석 하였다. 자료수집은 반 구조화된 인터뷰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약 1시간이 소요 되었다. 자료분석은 수집된 인터뷰자료를 중심으로 질적 연구경험이 있는 스포츠심리학 전공 지도교수와 함께 검토가 이루어졌다. 자료의 분석 과정은 녹음된 인터뷰를 전사한 원 자료(raw data)를 한 후 텍스트를 반복해서 읽으면서 큰 주제로 범주화 한 후, 주제별로 세부구조를 유목화 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 참여자들의 생각과 행동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적창의성의 개념은 남들이 생각하지 않는 것을 생각하고 단지 스포츠 기능을 잘하는 것을 떠나서 일상생활에서 올바른 생활을 할 수 있고 다양한 분야를 생각할 수 있는 안목이다. 즉 체육을 문화적으로 접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선 체육수업을 통해서 창의성을 어떻게 기를 것인가에 대해 연구 참여자들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교사는 창의성이라는 목적성을 가지고 끊임없는 연구를 통해서 수업준비를 하고 실천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포츠 기능(직접체험활동)과 더불어 다양한 활동(간접체험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체육을 문화적으로 접근하게 하는 것이다. 수업모형은 현장에서 하나로 수업모형의 실천을 통해서 창의성을 가르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성체육수업을 방해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교사의 의지, 과도한 업무로 인한 수업연구부족, 체육적창의성 개념에 대한 확신 부족으로 인한 불안감, 동료교사와의 수업방식의 차이로 인한 갈등, 눈에 보이지 않는 창의성 평가를 수치화 객관화하기 어렵다고 나타났다. 넷째, 창의성체육수업의 실천수준을 높일 수 있는 극복방안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이 생각한 극복방안에는 의지를 가지고 창의성체육수업에 대한 수업준비, 개개인의 스타일에 맞는 자료의 수정 및 보완, 창의성체육수업에 대한 동료교사와의 협의, 창의성 개념인식과 학습방법에 대한 연수지원, 융합수업을 위한 타 교과와의 협의, 관심사가 같은 교사들과의 교과모임활동을 통한 수업연구, 창의적인 예비교사양성과정,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학교체육진흥법의 개정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통해 체육적창의성에 대한 체육교사들의 인식을 알 수 있었으며 체육적창의성의 개념, 체육수업을 통해서 창의성을 어떻게 기를지, 체육수업에서 창의성을 방해하는 요인은 무엇인지, 극복방안은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이후의 연구에서는 체육적창의성이 무엇인지에 대해 정확한 개념 정리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사가 창의성체육수업에 대하여 바른 인식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를 위하여 교사 연수 계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질적인 연수를 실시해야 할 것이다. 셋째, 현재 체육수업에서 창의성을 기른다고 하여도 그 것을 측정할 수 있 는 도구가 많이 부족하여 현장의 교사들은 혼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체육적창의성의 수치화되고 계량적인 측정을 위한 연구가 필요 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도움말

This study explores creativity in teaching physical education class, focusing on the hanaro teaching. Questions such as the definition and barriers for physical education class for creativity were posed. The present study is based on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fou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use hanaro teaching in Seoul and Gyeonggi-do. Data were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 and semi-structured interview.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all interviews were transcribed verbati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hown as following: First, the definition of creativity for physical education is the approach of the cultural physical education, thinking something that people do not think and developing one’s ability to look at the various field in everyday life. Secondly, the barriers of creativity for physical education are appeared as following: The lack of preparation time due to excessive paper work and passion for teaching, uncertainty of the definition of physical education creativity, conflict with colleagues and difficulty of evaluation on creativity. Finally, the solutions for creative physical education could be suggested as following: Preparing physical education and practicing Hanaro teaching, dealing with various indirect activities, collaborating with colleagues, having training courses for creative physical education teaching and demanding the revised law that reflecting the teachers' opin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