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의 학교참여 방식의 효과 및 동기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조사연구 : 고등학교 학부모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parents' awareness of the effectiveness and the motive for the parents' participation method in school education.: With the school parents in high school
- 주제(키워드) 도움말 학부모 학교참여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양미경
- 발행년도 2014
- 학위수여년월 2014.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도움말 교육대학원 교육공학-교육행정융합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413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도움말
본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제시하는 학부모의 학교참여 방식이 고등학생을 자녀로 둔 다양한 배경을 가진 학부모에게 어떻게 평가되고 있으며, 학부모 학교참여 방식의 필요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 학교참여에 대한 참여동기가 무엇인지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고등학교에서 학부모의 학교참여를 유도할 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대도시(서울), 중소도시(경기도), 읍면지역(충남) 소재의 고등학교를 각각 1개교씩 총 3개교를 선정하고, 표집학교 학부모 250명씩 총 7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516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478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조사에 대한 해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면담조사도 같이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 학교참여 방식에 대한 학부모들의 평가결과는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학부모의 배경변인 중 연령과 학교소재지에 따른 평가결과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평가결과는 50대와 60대 이상에서는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40대와 30대 이하에서는 다소 낮게 나타났다. 학교소재지별로 보면 대도시 읍면지역에서는 낮게 나타났으나 중소도시에서는 다소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 학교참여 및 자원봉사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결과는 다소 높게 나타났지만 이는 학부모 학교참여 방법에 대한 평가결과보다는 다소 낮았고 학부모의 배경변인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면담결과 학부모의 배경변인에 상관없이 고등학생의 학부모들은 자녀가 성장함에 따라 자녀 혼자 할 수 있는 영역이 많아져 학부모가 학교교육에 참여하면서 자녀를 지원해야 할 필요를 인식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학부모의 학교참여 및 자원봉사에 대한 인식결과는 학부모의 학교참여 방법에 대한 평가결과보다 다소 낮았다. 셋째, 학부모 상담주간에 대한 학부모들의 참여동기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자녀지도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부모의 배경변인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학부모 자원봉사에 대한 학부모의 참여동기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학교운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부모의 배경변인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학급 학부모 모임에 대한 학부모의 참여동기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자녀의 교우관계 및 학교생활을 파악하기 위해서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부모의 배경변인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학교운영위원회, 학부모회에 대한 참여동기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학교일이 공정하게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부모의 배경변인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면담결과 학부모들의 대부분은 학부모의 배경변인에 상관없이 학교운영위원회나 학부모회에 참여하지 않았으며 학교운영위원회나 학부모회에 대한 참여는 학급에서 자녀의 역할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학교교육 모니터링 제도에 대한 학부모의 참여동기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학교장의 학교운영방식을 개선하기 위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부모의 배경변인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면담결과 학부모의 배경변인에 상관없이 학부모들은 학교교육의 발전적인 방향에 대해 요구하고 싶은 것이 있더라도 내 자녀와 직접 관련이 있는 사항이 아니면 이에 대한 의견을 비공식적인 모임에서 얘기하는 정도이지 공식화하지는 않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고등학교에서 학부모의 배경변인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학부모들은 학교교육에 참여하고 있지 않았으며 참여하고 있는 학부모들도 참여기회, 자녀교육에 필요한 정보에 대해 부족하게 여기고 있어 현재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교의 학부모 참여방법에 만족하지 않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학부모의 학교참여 및 자원봉사에 대한 참여동기를 살펴보더라도 자발적이기 보다는 수동적인 경향이 두드러졌다. 따라서 시간적 여유가 있고 관심이 있거나 필요성을 절감한 일부 학부모의 참여가 아닌 효과적인 학습환경, 양질의 교육과정과 수업, 학교출석, 비교과활동 등에 대한 책임을 서로 나누어 갖는 학부모 학교참여 방식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more초록/요약 도움말
This study is conducted to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for schools leading parents’ participation in education. By investigating parents' participation method in school(A program offe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MEST)), using parents from various backgrounds, we see the necessity of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and what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factors are. For the research, each high school in a large city (Seoul),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such as (Gyeonggi-do) and the local small town (Chungcheongnam-do) were chosen. 516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by the 750 parents from three different high schools and 478 questionnaires from the pool were used as final analysis materials. In order to supplement the limit of the analysis in this study,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participation method in school education was rated high only by those in the upper age bracket and relatively smaller cities. The result shows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age and city. With regard to age, those over the age of 50 and 60 rated their participation level quite high while those under the age of 40 and 30 rated it quite low. Furthermore, those living in a large town rated their participation level low while those in small to medium size cities rated it on a higher level. Second, parents ranked high on parents' awareness of participating in school education and volunteering for school but this was lower than parents' actual participation method and did not show a meaningful difference with regard to the parents' backgrounds. According to the interview, regardless of the parents' backgrounds, they feel that as their children grow older they need less assistance, and parents do not realize the value of playing an active role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Thus, the results of evaluations on parents' awareness of participating in school education were lower than the parents' actual participation method in school education. Third, after analyzing the parents' motive for participating in having a consultation with their children's homeroom teacher, 'getting the necessary information for guiding their children' was ranked as the highest priority and did not reflect any difference based on the parents’ background. Fourth, after analyzing the parents' motive for volunteering in school, 'the desire for School Management to work smoothly' was ranked first and no meaningful difference based on the parents’ background was found. Fifth, after analyzing the parents' motive for taking part in a school parents meeting, 'getting to know their children's friendship and school life' was ranked top and there was no the difference with regard to the parents’ background. Sixth, after analyzing the parents' motive for participating in the school management committee and the parents' association, 'the desire for fair school management' was ranked high and there was no difference with regard to parents' backgrounds. During the interview, most of the parents reportedly did not join in school management committee or the parents' association regardless of the parents' backgrounds and the participation in those who did was due to their children's status in the class. Seventh, after analyzing the parents' motive for monitoring the system of school education, 'changing the principal's school management ways' was ranked first and there was no the difference with regard to parents' backgrounds. The interview shows that regardless of the parents' backgrounds even though they wanted to require something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 education, they did not tend to formalize it and it was not in connection with their children, but because of shared opinions in the informal gathering. Below is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survey analysis. In high school, regardless of the parents' backgrounds, most of the parents do not participate in school education, and the parents who do take part, think that the school does not give enough opportunity for participation or requisite information for their children. They are not satisfied with parents' participation method in school education. Not only that, but by examining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and their motives for volunteering in school, we see that they are passive rather than spontaneous. Therefore, an additional study on parents' participation method in school education needs to be done not only for those who have enough time and are interested in school education but for those who share the responsibility of the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 high-quality curriculum, teaching, school attendance,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