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분노와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수치심과 죄책감의 매개효과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ger and Realational Aggression: The mediating effect of shame and guilt

초록/요약 도움말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분노 및 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수치심과 죄책감의 영향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분노 및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과정에서 수치심과 죄책감이 부분 매개효과를 거치는 경로구조모형을 설정하였다. 서울과 경기 지역의 남녀 중고등학생 365명(N=365)의 자기보고 설문자료를 SPSS 19.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높을수록 수치심 또한 높아지고, 수치심이 높을수록 분노가 높아지며 높아진 분노는 관계적 공격성을 증가시킨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죄책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다. 따라서 죄책감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분노 및 관계적 공격성 사이의 매개요인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죄책감을 많이 경험할수록 분노를 경험할 가능성은 적어지며 이는 관계적 공격성을 감소시킨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계적 공격성을 보이는 청소년에 대한 이해와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녀와의 관계에 대한 실제적 의의를 논의하였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부모의 심리적 통제, 수치심, 죄책감, 분노, 관계적 공격성

more

초록/요약 도움말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shame and guilt in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ger, and relational aggression.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hame and guilt in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ger, and relational aggression was explor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Data from self-reported questionnaires of 365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9.0 and AMOS 20.0. Significant findings are as follows: 1) With increas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the greater the shame and anger, which lead to greater relational aggression. 2) Guilt did not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among psychological control, anger and relational aggression. However, increased guilt led to greater anger, which resulted in decreased relational aggression.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findings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included in the discussion. Key words: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shame, guilt, anger, relational aggress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