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취약한 자기정서가 자기붕괴불안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Vulnerable Self Emotions on Self-Disintegration Anxiet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초록/요약 도움말

본 연구는 수치심과 시기심으로 평가한 취약한 자기정서와 자기붕괴불안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정서조절곤란의 영향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둘째, 취약한 자기정서를 구성하는 수치심과 시기심의 구체적 관련성과 정서조절곤란과 자기붕괴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취약한 자기정서가 자기붕괴불안에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조절곤란이 부분 매개하는 경로구조모형을 가설적 모형으로 설정하고 자료를 통해 검증하였다. 서울․경기 거주 성인 남녀 547명(N=547)의 자기보고 설문지를 SPSS20.0과 AMO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본 연구 결과 첫째, 취약한 자기정서는 정서조절곤란을 매개로 직, 간접적으로 자기붕괴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모형의 적합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치심과 시기심의 관련성을 탐색하기 위해 수치심과 시기심이 서로 독립적으로 자기붕괴불안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정서조절곤란이 매개하는 모형과 수치심과 자기붕괴불안 사이에서 시기심과 정서조절곤란이 이중으로 매개하는 모형을 검증하였으나 그 적합도들이 좋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취약한 자기정서는 정서조절곤란을 매개로 자기붕괴불안에 영향을 미쳤다. 한 편, 수치심과 시기심은 두 정서가 대인 관계적 맥락에서 타인 비교를 통해 서로 동반된 상태로 일어나는 혼재된 정서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타당한 것으로 나왔다. 본 연구결과의 치료적 함의를 연구 개념에 대한 이해를 위주로 논의하였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more

초록/요약 도움말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ulnerable self emotions and self disintegration anxiety. It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e and envy and their influence on emotional dysregulation and self-disintegration anxiety.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es that vulnerable self emotion as measured by shame and envy together and separately influence emotion dysregulation, which in turn influences self disintegration anxiety. Results from self-report questionnaires based on a sample of 547(N=547) adult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0.0 and the AMOS 18.0. The proposed model with vulnerable self emotion, as measured by shame and envy positively influencing emotional dysregulation, which in turn, significantly increasing self-disintegration anxiety, had good fit indices. Significant finding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vulnerable self emotion on self disintegration anxiety was partially mediated by emotional dysregualtion. The separate pathways of shame and envy influencing emotional dysregulation, which in turn, influencing self-disintegration anxiety or that of envy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e and self-disintegration anxiety was not supported. The relevance of current findings in terms of establishing appropriat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counseling clients with emotions reflecting vulnerable self such as shame and envy as well as emotional dysregulation and self disintegration anxiety was discussed. Limitations of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includ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