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여성의 비형식교육 참여와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 40~65세 방문판매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rticipation of middle-aged woman in non-formal education and self-efficacy : Centered around 40~65 years old door-to-door saleswoman
- 주제(키워드) 도움말 중년여성 , 비형식교육 , 자기효능감 , 방문판매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정유성
- 발행년도 2014
- 학위수여년월 2014.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도움말 교육대학원 평생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412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도움말
The population of Republic of Korea’s middle-aged woman who plays various roles such as ‘mother’, ‘ajumma’, ‘wife’ and ‘super woman’ is increasing due to an extension of one’s average life expectancy and changes in their life cycle. These middle-aged women, wh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ociety need to maintain their human nature, discover their own sense of self-efficacy, which enables them to set their meaning of life and life goals clearly as this is linked to their own value and therefore holds an important meaning.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self-efficacy and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40 ~ 65 year old middle aged women in non-formal education who engages in economic activity as a door-to-door saleswoman. Moreover, the current state and conditions of the door-to-door sales program, satisfaction level of middle aged women from non-formal education, and correlation between the sense of self-efficacy and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40 ~ 65 year old middle aged women in non-formal education have been identified as subjects of research inquiry as the study progressed.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subjects, a questionnaire was sent to a door-to-door sales franchise company A which sells cosmetics and health functional food products. This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over 5 areas: Seoul/Gyeonggi Province, Busan/ Gyeongnam Province, Daegu/ Gyeongbuk Province, and Gwangju/ Jeolla Province. The questionnaire was then statistically managed and analyzed. The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middle-aged women who have a lot of experience in the company A's non-formal education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franchise managers. Along with such interviews, the company A's memoirs were also used as a qualitative data for the study. The following states major results that were verified through this study. First, the survey of the current state and conditions of the door-to-door sales non-formal education program revealed that the training conducted by the main office and franchises were 'education on new product and product information', 'education on health nutrition information and pathological physiology', and 'education on skin care and make up', and 'education on sales and sales speech'. Also, it was revealed that franchises participate in education more than 4 times a week and prefer offline education through the main office instructors. Second, the non-formal education satisfaction level survey revealed that on a five-point scale, the satisfaction level score of the education was 3.78. 'Knowledge and ability improvement after participation' and 'request for in-depth education ' score was 3.79 and 'expectation of connection between the education and work ' score was 3.74. ‘The survey showed a high score of 3.90 in 'self-value recognition after the education participation' area. 94% of the respondents have replied 'Yes' when asked whether the education had an effe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index and this shows that the non-formal education participation has increased life satisfaction of the majority of door-to-door saleswoman participants. Thir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sense of self-efficacy after participating in the non-formal education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non-formal educati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knowledge and ability improvement after participation(confidence), request for in-depth education(task difficulty preference), expectation of connection between the education and work(self-regulated efficacy), and self-value recognition after the education particip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using satisfaction level of non-formal education as dependent variable. After regression analysis on non-formal education satisfaction level, out of 4 factors, knowledge and ability improvement after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amongst the self-efficacy factors, 'confidence' was the factor that affects the non-formal education satisfaction level greatest. Summing up these results, it was discovered that middle-aged woman who engages in economic activity as door-to-door saleswoman improves their sense of self-efficacy as well as their life satisfaction by participating in the non-formal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s significance can be found on the fact that middle-aged door-to-door saleswoman can improve their sense of self-efficacy as well as their life satisfaction by participating in the non-formal education and that it investigated special door-to-door sales education environment. The study also revealed the education conditions for these saleswoman as well as conveying voices of those women. Furthermore, a proposal or research orientation based on the results, which can provide door- to-door education program for middle-aged woman that can improve their sense of self-efficacy would be thought provoking for other door-to-door sales companies and follow-up studies.
more초록/요약 도움말
대한민국의 ‘어머니’, ‘아줌마’, ‘집사람’, ‘슈퍼우먼’ 등 다양한 역할을 해내고 있는 중년여성은 최근 평균 수명의 연장과 생애 주기의 변화로 그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사회에서 중요한 위치에 놓여 있는 중년여성들이 자신의 본성을 유지하고, 자신이 가진 효능감을 발견함으로써 삶의 의미와 목적을 분명하게 설정하는 것은 본인의 가치와 연결되므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방문판매로 경제 활동을 영위하는 40~65세의 중년여성의 비형식교육 참여 경험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이에 방문판매 프로그램 현황 및 실태, 중년여성의 비형식교육 만족도, 중년여성의 비형식교육 참여와 자기효능감의 연관성을 연구 문제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문제를 증명하기 위해 건강기능식품과 화장품을 판매하고 있는 대리점형 방문판매회사인 A사를 대상으로 서울/경기, 부산/경남, 대구/경북, 대전/충청, 광주/전라 등 총 5개 지역에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통계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A사의 비형식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많은 중년여성과의 심층 인터뷰 및 대리점장의 인터뷰, A사의 수기집 등을 통한 정성적인 자료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여성의 방문판매 비형식교육 프로그램 현황 및 실태 조사에서, 대리점 및 본사에서 실시하고 있는 교육은‘신제품 및 제품 교육’, ‘건강영양정보 및 병태생리학 교육’, ‘피부 미용 및 메이크업 교육’, ‘세일즈 및 판매 화법 교육’의 순서로 나타났다. 대리점에서 주당 4회 이상 교육에 참여하며, 본사 강사를 통한 오프라인 교육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여성의 비형식교육 만족도 조사에서는 5점 만점을 기준으로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3.78로 나타났다. ‘교육 참여 후 지식과 능력의 향상 정도’와 ‘심화된 교육에 대한 요구’는 3.79로, ‘교육과 직무의 연계에 대한 기대 정도’는 3.74로 나타났다. ‘교육 참여 후 자신의 가치에 대한 인식’ 부분에서는 3.90으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교육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었는지의 여부에 관해서는 ‘그렇다’가 94.9%의 비율로 나타나, 비형식교육에 참여는 대다수의 방문판매원들에게 삶의 만족을 가져다 주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비형식교육 참여 후 자기효능감이 비형식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교육 참여 후 지식과 능력의 향상 정도(자신감), 심화된 교육에 대한 요구(과제난이도 선호), 교육과 직무의 연계에 대한 기대 정도(자기조절 효능감), 교육 참여 후 자신의 가치에 대한 인식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비형식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비형식교육 만족도 회귀분석 결과, 4가지 요인 중 교육 참여 후 지식과 능력의 향상 정도 즉 자기효능감의 요소 중 ‘자신감’이 비형식 교육 만족도에 가장 큰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방문판매원으로 경제생활을 영위하는 중년여성들은 비형식교육에 참여함으로써 자기효능감은 물론 삶의 만족도가 향상된다는 점이 규명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년 방문판매 여성들이 비형식교육에 참여함으로써 자기효능감 및 삶의 만족도가 향상된다는 점, 방문판매의 특수한 교육 환경을 살펴보았다는 점, 방문판매 교육 실태는 물론 방문판매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중년여성의 목소리를 전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나아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년여성의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문판매 교육 및 프로그램 방향성에 관한 제언은 타 방문판매 회사는 물론 후속 연구를 위해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