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정 성인 애착이 자기은폐에 미치는 영향 : 자기대상 경험, 자기불일치, 수치심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on Self-Concealmen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Object, Self-Discrepancy and Shame
- 주제(키워드) 도움말 불안정 성인애착 , 불안애착 , 회피애착 , 자기대상 , 자기불일치 , 수치심 , 자기은폐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안명희
- 발행년도 2014
- 학위수여년월 2014.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도움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4124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도움말
본 연구는 성인의 불안정 애착이 자기 은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대상의 경험, 자기불일치 및 수치심이 매개 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지역의 성인 남녀와 온라인 조사에 참여한 성인 남녀 604명(N=604)의 자기 보고식 설문 자료를 SPSS 19.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애착 및 회피애착이 자기은폐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대상 경험과 자기불일치가 수치심을 통해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불안애착이 자기 은폐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대상 경험 및 자기불일치가 수치심을 통해서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회피 애착은 자기 은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자기대상 경험 및 자기불일치가 수치심을 매개로 자기은폐에 영향을 주는 간접 경로도 유의함이 확인되었다. 셋째, 자기대상 경험에 미치는 부적 영향력은 불안애착보다 회피애착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불일치와 수치심에 미치는 정적 영향력은 회피애착보다 불안애착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불안정 성인애착이 자기은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와 타인에 대한 지각인 자기대상 경험과 자기불일치 그리고 자의식적 정서 중 하나인 수치심의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상담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내담자의 자기은폐를 이해하고 이를 다루기 위한 상담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에 포함하였다.
more초록/요약 도움말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selfconcealment. Based on the extent literature on attachment theory, self-psychology and self-discrepancy theory, this study tested whether the influence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on self concealment is mediated by self-object, self-discrepancy, and shame. Using a sample(N=604) of male and female adults living in the greater Seoul area, data based on self-report measure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9.0 and AMOS 20.0.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influence of both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on self-concealment was mediated by self-object, self-discrepancy and shame. 2) The final model with best model fit indices indicated that attachment avoidance had both a direct and an indirect effect on self-concealment, while attachment anxiety had an indirect effect on self-concealment. 3) In the final model, self-object had a stronger negative effect on the pathway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self-concealment than the pathway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self-concealment. The effect of self-discrepancy and shame was strong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self-concealment than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self-concealment. Findings from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factors influencing a client's self-concealment which is often observed in counseling session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 developing appropriate therapeutic approaches,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included in the discuss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