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종에 대한 본질주의
Essentialist Account of Natural Kinds
- 주제(키워드) 도움말 자연종 , 기저구조 본질주의 , 표층적 종 , 과학적 본질주의 , 신본질주의 , 본래적 속성 , 자연법칙 , 자연 필연성 , 형이상학적 필연성 , 이상화 , 브라이언 엘리스 , 스캇 좀스 , 리처드 보이드 , 생물학의 철학 , 화학의 철학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강영안
- 발행년도 2014
- 학위수여년월 2014.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도움말 일반대학원 철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409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도움말
이 논문은 자연종의 규준이 무엇인지에 대한 여러 해명 노선 가운데 본질주의적 해명 노선을 상세히 검토하고, 이 노선이 가능한 비판에 견뎌낼 수 있는지 검증하는 목표를 지닌다. 이 노선의 가장 고전적인 형태는 이른바 기저구조 본질주의다. 퍼트넘⋅크립키에 따르면, 자연종과 비 자연종을 구분하고 각각의 자연종을 바로 그 종으로 만들어 주는 규준은 각 종의 기저 차원에 있는 구조다. 예를 들어, 화학적 종의 경우 분자의 유형, 생물종의 경우 유전체의 유형이 바로 그런 구조다. 그러나 오늘날 이런 주장은 두 영역 모두에서 도전받는다. 화학적 종에 대해, 존스턴은 임의의 표층적 종과 기저구조 종 사이에는 동일성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점을 설득력 있게 논증했다. 생물학의 영역에서는 역사적 속성이 그 종을 구분하는 데 생물종에든 분자생물학 차원에든 중요하기 때문에 기저구조 종은 생물학적 종을 나누는 규준으로 적절하지 않았다. 이런 지적들은 자연종에 대해 본질주의적 해명을 하기 위해서는 더욱 정교한 이론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엘리스의 신본질주의는 이런 정교한 이론으로서 제시되었다. 신본질주의는 자연종 규준의 핵심에 본래적(intrinsic) 속성이 있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본래적 속성이란 어떤 외적⋅우연적인 힘이 없는 상황에서, 어떤 대상 x가 그 자체로 지니고 실현시키는 속성을 말한다. 이 속성은 고대 본질주의의 목적론적 경향 대신 현대 과학과 어울리는 본질로 추천된다. 신본질주의는 엄격한 객관적 구분을 위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부류만이 자연종일 수 있다고 강조한다. 이런 신본질주의는 다른 이론보다 더 설득력 있는 과학의 형이상학을 얻을 수 있는 토대다. 이런 평가는 과학 법칙의 성격에 대한 논의 덕분에 가능하다. 신본질주의는 자연법칙의 양상적 함축 문제, 이상화된 과학 이론의 해석 문제, 자연법칙의 존재론에 대한 해석 문제에서 경쟁 이론보다 나은 답을 하기 때문이다. 신본질주의에 따르면, 각각의 자연종은 그것과 본질적으로 결부되어 있는 본래적 속성을 지니고 있다는 의미에서 사물 필연성을 지니며, 이런 사물 필연성이 바로 참된 자연법칙이 지닌 양상적 함축이다. 또 참된 자연법칙이 있다면 바로 그것을 가능하게 한 자연종도 존재한다. 한편 이상화는 주변 환경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특정 과정 종의 움직임을 그것 자체로 보이기 위한 개념적 장치였다. 이처럼 신본질주의는 본래적 성질을 지닌 종을 통해, 과학을 둘러싼 여러 형이상학적 문제에 대한 강력한 설명을 제공하는 입장이다. 기저구조 본질주의가 개별 과학과 그리 정합하지 못한다는 평가를 받는 상황에서, 신본질주의는 자연종에 대한 본질주의적 해명이 앞으로 취해야 할 가장 유력한 입장이다. 그러나 이런 입장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우선 신본질주의 역시 과학, 특히 화학의 내용과 모두 일치하지는 않는다. 화학에서 우리가 찾을 수 있는 그물망처럼 생긴 위계 구조 가운데, 어떤 위계 구조가 특권적이라고 해야 할지에 대해 외적 시점과 무관한 답은 없다. 또 생화학이나 콜로이드 화학처럼 다양한 분야의 종이 화학에 속하지만, 이들은 신본질주의의 자연종 규준을 만족하기 어렵다. 신본질주의의 존재론적 해명이 적중하는 영역은 예상보다 비좁고, 또 이 입장을 통해 화학의 철학 일반에 대해 무언가를 말하기도 어렵다. 두 번째 비판은 귀납의 문제와 관련된다. 엘리스는 경험 세계의 법칙은 개연적일 뿐이라는 흄의 형이상학 대신 적절한 자연종에 근거한 경험 세계의 법칙은 사물 필연적(de re necessity)이라는 신본질주의의 형이상학을 받아들이면 귀납은 본래 정당한 추론 방식이 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런 주장은 신본질주의의 근거를 강화하기보다는 오히려 부담이 될 주장으로 보인다. 엘리스는 귀납 추론에 사용되는 종이 기본적으로 사물 필연성을 지닌 본질주의적 자연종이라고 생각하지만, 이를 지지할만한 증거가 미약하기 때문이다. 이런 비판 끝에, 본질주의적 자연종 규준은 왜 그렇게 엄격해야 하느냐는 의문을 제기해 볼 수 있다. 만일 사실은 규준이 그렇게 엄격해야 할 이유가 없었다면, 신본질주의는 부적절한 자연종 규준을 제시한 이론에 불과할 것이고 리처드 보이드의 제안처럼 엄격하지 않은 자연종 규준으로 자연종 규준을 대체해도 무방할 것이다. 하지만 신본질주의의 과업은 아주 느슨하게만, 즉 세계 속에 모종의 부류가 실재한다는 면에서만 보이드 식의 과업과 일치한다. 양측은 상당히 큰 차이를 보이며, 특히 자연 필연성을 해명하고 자연 법칙의 이상화 현상을 설명하는 한편 본래적 속성을 통해 각 종의 행동을 해명하는 등 세계의 엄격한 객관적 구조를 설명하는 데 대한 관심은 신본질주의가 독점하고 있는 것이나 다름 없다. 그렇다면 종에 대한 실재론을 지지하는 입장 속에서, 자연 필연성이나 엄격한 의미의 본래적 속성과 같이 세계의 엄격한 구조를 해명하려는 과업을 수행하려면, 신본질주의는 가능한 비판에도 여전히 지지할만한 프로그램일 것이다. 주제어: 자연종, 기저구조 본질주의, 표층적 종, 과학적 본질주의, 신본질주의, 본래적 속성, 자연법칙, 자연 필연성, 형이상학적 필연성, 이상화, 브라이언 엘리스, 스캇 좀스, 리처드 보이드, 생물학의 철학, 화학의 철학.
more초록/요약 도움말
Abstract Essentialist Account of Natural Kinds Jeon, Hyeon-woo Department of Philosophy Graduate School of Sogang University This study examines the accounts of criteria of natural kinds, especially the accounts for essentialist line. And it inspects either this line can resist some criticisms or not. In some classical essays, essentialist account of criteria of natural kinds is essentialism by underlying structure. By Putnam and Kripk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natural kinds and non-natural kinds, and for making a kind as itself is a structure in underlying level of that kinds. For example, in chemical kinds, that structure is molecular structure; in biological kinds, that structure is genome. But in recent years, this position is challenged by some philosopher. For chemical kinds, Mark Johnston argues the relation between some manifest kinds and underlying structure kinds is not identification relation. Like relationship between H2O molecular and three atoms in that molecular, underlying structural chemical kind and manifest chemical kinds is related closely but they are not same kinds. In biological area, historical properties are very important for kind distinguishing and identification, in evolutionary and molecular biology both, so underlying structures do not fit the criteria of natural kinds of biology. These arguments suggest some needs for fine theory, if one wants to support essentialist account for natural kinds. This fine theory is new essentialism by Brian Ellis. New essentialism suggests that core criterion for natural kinds is intrinsic property. Intrinsic property is a property of, in the absence of any accidental forces, an object x has and realizes by itself. This property is recommended as an essence suitable for modern science, instead of teleological property suggested by ancient essentialism. Strong point of new essentialism is following: It offers metaphysics for science, more persuasive power for other theories. This evaluation is possible by discussion on character of scientific/natural law. According to Ellis, new essentialism offers a better account for problem of necessity of natural law, idealization, ontology than competitive theories. In new essentialism, each natural kind have intrinsic properties involved with that kind essentially, and so this properties offer de re necessity on natural laws involved with essentialist natural kinds. This de re necessity is the modal status of real natural laws, and this real natural laws stand on natural kinds. Idealization is a conceptual apparatus for removing noise of environment of kinds and showing dynamics of certain process/dynamic kinds as its intrinsic mode. The core of new essentialism is the natural kinds by intrinsic properties. And this position offer strong explains for many metaphysical problems of sciences. So, new essentialism is leading program for essentialist account of natural kinds, instead of ancient or Kripkian essentialism, such as essentialism by underlying structure. But this position has weak points. I think new essentialism can be criticized by two sides. One side is following: it is not correspondent with chemistry in many points. In chemistry, we can see hierarchic structure, but this structure is multiple or net shape structure. New essentialism cannot answer which structure has a privilege, by theoretically neutral viewpoint. And chemistry is heterogeneous: kinds of biochemistry and colloid chemistry do not correspondent with criteria of natural kinds by new essentialism. New essentialist account has limited extents for chemistry, so this account is not a position of general philosophy of chemistry. Second side is following: one thinks essentialist natural kinds can dissolve problem of induction, but evidence of that claim is insufficient. Ellis claim that if one admit new essentialist metaphysics by which empirical law based on adequate natural kind has de re necessity, then induction will be justifiable inferential method intrinsically. But this claim imposes burden of proof on new essentialist. Ellis says that in inductive inference one uses essentialist natural kinds as default, but that claim has little evidences in history of science. These criticisms can be a ground of criticism for character of essentialist criteria of natural kinds. Why these criteria are strict at present level? If that strictness has not any reason, criteria of natural kinds of new essentialism is not relevant and one can choice some another set of criteria, such as Richard Boyd’s. But tasks of new essentialist are different from Boyd’s. They are same in very loose meaning only, and interest of new essentialist is focused on explaining objective strict structure of the world exclusively. So, If one want to approve realism on natural kinds, and want to explaining objective strict structure of the world, then new essentialism can be supportable program for him, nevertheless criticisms. Key word: Natural Kinds, Essence, Essentialism by Underlying Structure, Manifest Kinds, Scientific Essentialism, New Essentialism, Intrinsic Property, Natural Law, Natural Necessity, Metaphysical Necessity, Idealization, Brian Ellis, Scott Soames, Richard Boyd, Philosophy of Biology, Philosophy of Chemistr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