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동훈 영화의 잘 짜여진 이야기 구성 : <범죄의 재구성>과 <도둑들>을 중심으로
Making a Well-Made Story in Choi Dong Hoon’s films : Focusing on <The Big Swindle> and <The Thieves>
- 주제(키워드) 도움말 이야기 , 웰 메이드 , 최동훈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김용수
- 발행년도 2014
- 학위수여년월 2014.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도움말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407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도움말
최근 들어 콘텐츠 산업이 부각되고 있다. 이야기를 기반으로 하는 콘텐츠 산업은 상업적인 성공을 염두에 둔 잘 짜여진 이야기를 요구한다. 그러나 잘 짜여진 이야기는 이야기 소비자를 수동적으로 만들고, 진부하다는 이유로 학문적인 관심을 받아오지 못 했다. 이로 인해 이야기에 대한 연구는 산업과 괴리되는 현상이 벌어지기도 했다. 잘 짜여진 이야기는 집약희곡적 이야기 형식의 전통위에 서 있다. 집약희곡적 이야기의 형식은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이어진 서양의 오랜 이야기 서술 형식으로 개연성과 필연성을 바탕으로 인과관계에 의해 이야기를 전개한다. 또한 전체적인 유기성이 중요하다. 특히 산업적으로 요구되는 잘 짜여진 이야기는 이야기 소비자의 기대를 배반하지 않는다. 그래서 비슷한 패턴을 보이며 하나의 장르로 수렴된다. 헐리우드 장르가 대표적이다. 따라서 잘 짜여진 이야기는 아리스토텔레스에서부터 헐리우드에 이르기까지 변함없는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토록 오랜 전통위에 잘 짜여진 이야기가 존재한다하더라도 진부한 이야기는 결코 잘 짜여진 이야기가 될 수 없다. 왜냐면 이야기 소비자는 똑같은 이야기를 반복해서 소비하지 않기 때문이다. 잘 짜여진 이야기는 기존의 이야기 관습에 어느 정도 변화를 주거나, 사건이 짜여지는 방식을 새롭게 하면서 그 독창성을 확보한다. <범죄의 재구성>와 <도둑들>은 최동훈이 시나리오와 연출을 맡았던 영화로 개봉당시 둘 다 손익 분기를 넘기는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또한 이 두 영화는 갱스터 장르의 하위 장르인 케이퍼 필름 장르에 속한다. 따라서 이 두 영화는 집약희곡적 이야기 형식을 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형적인 헐리우드식 장르인 케이퍼 필름 장르에 새로운 변형을 가했다. 특히 복잡계적 잘 짜여진 이야기를 적용하고 선형적 퍼즐게임 영화 형식을 도입하여 최동훈만의 독창성을 확보했다. 잘 짜여진 이야기는 오랜 서양의 극 전통 속에 있어 왔으며, 관습화된 속성 때문에 이야기 소비자를 수동적으로 만들고, 진부한 것이라는 편견이 있었다. 하지만 잘 짜여진 이야기는 그 전개가 예측 가능할 수는 있지만 그렇다고 진부한 것은 아니다. 잘 짜여진 이야기는 그 자체로 새로운 요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금부터라도 잘 짜여진 이야기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more초록/요약 도움말
The so-called ‘content industry’ is drawing considerable attention. Based on narratives at its core, the content industry demands a ‘well-made’ story with commercial success in mind. Still, on the grounds that it renders consumers passive and is trite in essence, the well-made story has failed to garner serious academic interest. As a result, studies of this deceptively simple narrative largely remains alienated from content industry. Rigorously speaking, the well-made story belongs to the tradition of the story form called ‘intensive drama,’ a millenia-old Western narrative form which harks back to Aristotle. Based on probability and inevitability, it develops a story in view of causation. No less important is the organic unity. Especially, the well-made story the industry requires hardly betrays the consumers’ expectations. This is the reason why, while forming a similar pattern, it tends to converge on a peculiar genre as in Hollywood genre movies. Namely, the well-made story maintains vitality from Aristotle to contemporary Hollywood. Even if it partakes of this long-standing tradition, a trite narrative can never make a well-made story. For story consumers do not consume the same story over and over again. The well-made story achieves originality either by modifying the extant narrative convention or by renewing the manner to weave story events. Written and directed by popular Korean director Choi Dong Hoon, <The Big Swindle> and <The Thieves> proved commercial success, gaining sizable profits beyond break-even point. Narrative-wise, these two films belong to the Caper film genre, a sub-genre of the Gangster genre. These two works share the story form of the intensive drama. And they achieve originality by modifying the Caper film genre convention. Especially Choi Dong Hoon assures his originality to apply complexity well-made story and bring in linear puzzle game movie form. While standing in the long tradition of Western drama, the well-made story has suffered the prejudices that it makes story consumers passive and is trite. Even though its develop-ment can be predictable, the well-made story itself is not necessarily trite. For it can contain new elements. A more active attention seems to be in need for the well-made stor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