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A Comparative Analysis of Writing Activities in Six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for 4th to 6th Grades

초록/요약 도움말

이 연구의 초점은 여섯 개 초등학교 교재의 영어작문 활동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작문활동이 어떻게 활용되고, 분배되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선택된 영어교재들은 두 개의 출판사의 초등학교 4학년부터 6학년까지이다. 연구의 목적은 각각의 교재 안에 작문활동들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분석하여 장점은 이용하고 더 나아가 단점을 보완하여 영어를 교육함에 있어서 부족함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어린 학생들은 영어작문에 있어서 흥미와 능력을 공교육 즉 학교수업에서 활용하는 영어교재를 통해서 처음으로 접한다는 가정하에 시작이 되었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 네 가지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로 영어교재 안의 영어작문활동이 수업시간 활동과 얼마나 연관성, 둘째로 영어작문의 통제단계에서의 얼마나 수준별 다양성, 영어작문의 내용의 종류와 장르 유형의 다양성 분석, 영어작문활동이 다른 언어 기술들과의 연관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초등 영어 작문의 활동이 행해지는 시간적 분배는 모든 교과서에서 일정하지 않았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더욱 다양성이 필요했다. 통제의 단계에서도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특히 ‘재생단계’ 즉 작문통제 단계 중 베끼는 예시가 많았다. 내용과 장르 유형에서도 ‘개인적인 작문’유형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분배가 고르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작문활동은 말하기활동보다 독해와 듣기 언어기술과 더욱 많은 연계가 이루어졌다. 학교 교과서로서 검증이 되어 잘 활용되고 있는 두 개의 출판사를 비교 대조함에 있어서 전체 교과서에 나타난 작문활동의 유형을 살피기에 한계점이 있다. 하지만 작문활동이 교과서에 나타나는 시기, 학년이 올라감에 있어서 레벨의 다양화, 내용과 장르 유형의 다양성, 그리고 말하기와 연관성을 확대시킨다면 초등학생들의 영어작문에 흥미와 함께 실력을 나타낼 수 있으리라 본다. 본 연구를 함에 있어서 작문 교육에 영어교재를 통한 미래의 방향을 잡아갔으면 하는 바램이 있다.

more

초록/요약 도움말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riting activities in six different English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m in terms of how writing activities are employed, arranged, and utilized in teaching English. The chosen textbooks for analysis are by two different publishers and for three different levels—from 4th to 6th grade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see the ways in which each textbook incorporates writing activities and thereby to propose what aspects we need to look into if we want to improve on textbooks with deeper thoughts on writing activities. With the assumption that young learners must be encouraged to develop their interest and ability in English writing, I investigate writing activities of the selected textbooks through the four categories—consistency with the time scheme, control steps of each stage, writing contents and genre type, and the level of connection with four language skills. The investigation shows the following results: elementary writing activities in periods are often unevenly deployed though they get more proportion as the level goes up; Steps of control in writing activities are somewhat biased with putting too much emphasis on reproduction state; contents and genre types are also disproportionate while focusing too much on personal writing; writing activities are more often connected with reading and listening than with speaking. The discovery of this research points to the future direction of textbook revision from the perspective writing educ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