卞俊鎬의 재미민족운동과 사회주의
korean american Byun Jun-ho's independence movement and socialism
- 주제(키워드) 도움말 변준호 , 재미한족연합위원회 , OSS NAPKO PROJECT , 미주 한인 사회주의 , 조선민족혁명당 미주총지부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사학과
- 지도교수 최기영
- 발행년도 2014
- 학위수여년월 2014.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도움말 일반대학원 사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4058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도움말
이 논문의 목적은 미주에서 사회주의를 기반으로 한 독립운동을 펼친 변준호의 활동과 그 의의를 파악하는 데에 있다. 1895년 양평에서 태어난 변준호는 남경을 거쳐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고, 대한인국민회와 흥사단에서 독립운동을 시작했다. 당시 변준호는 의연금 모금과 흥사단 단우 모집에 주력했다. 이 때의 경험으로 변준호는 단체 유지에 필요한 자금관리와 인맥을 형성하는 데 탁월한 능력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1929년 세계대공황 이후 미주 한인사회에 사회주의가 퍼져 나갔을 때 변준호는 재미한인사회과학연구회를 통해 사회주의를 받아들여 자신의 독립방략으로 활용했다. 변준호는 사회주의를 미주에 무장투쟁을 선전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했다. 그는 이전에 한인 단체에서 재무를 맡았던 경험과 흥사단부터 쌓아온 인맥을 활용하여 진보 한인들로 구성된 중국후원회의 탄생에 큰 역할을 했다. 동시에 변준호는 국민회 뉴욕 지방회 대표원으로 활동하면서, 중국후원회의 입장을 국민회 중앙전체회의에 전달했다. 이렇게 변준호는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단체 사이의 중개자를 자처했다. 1940년 조선의용대후원연합회의 성립 이후에 변준호는 자신의 모든 활동을 무장투쟁 선전에 집중했다. 그리고 1943년부터 조선민족혁명당 미주총지부 위원장을 맡아 미주 한인들의 최대 연합기관인 재미한족연합위원회에서 무장투쟁을 선전했다. 이러한 변준호의 활동을 높이 평가한 OSS는, 그를 NAPKO PROJECT에 참여시켰다. NAPKO PROJECT 활동은 변준호의 확고한 무장투쟁의 열의를 알 수 있는 사건이었다. 해방 이후에 변준호는 『독립』의 재정을 담당하며, 반미주의로 돌아서 미군정의 정책을 비판하게 된다. 평생을 독립운동에 헌신한 변준호는 미군정이 친일파를 중용하는 현실을 받아들일 수 없었던 것이다. 이후 변준호는 1966년 2월 20일에 로스앤젤레스에서 생을 마감했다. 변준호는 독립이라는 목적을 위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의 제휴를 위해 헌신했다. 또한 재미한족연합위원회에서 소규모 단체의 위원장이었음에도 무장투쟁을 위한 노력에 헌신하여 미주에 외교 독립 노선만 있는 것이 아님을 증명했다. 그리고 NAPKO가 미국을 위한 작전이었음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것은 자신이 주장한 무장투쟁을 행동으로 보여주기 위해서라고 생각된다. 이렇게 생의 대부분을 독립운동에 헌신한 변준호는 미주 한인들에게 무장투쟁을 알리고, 한인사회주의가 유지되는데 큰 역할을 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more초록/요약 도움말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activities and significance of Byun Jun-ho who launche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based on socialism, in America. Born in Yangpyeong, Korea in 1895, Byun Jun-ho passed through Nanjing, China to study in America and began his independence movement with Korean National Association at Young Korean Academy. At the time, he focused primarily on raising funds and recruiting for Young Korean Academy. It was with this experience at the time that he developed his extraordinary skills in fund-raising and network-building required to maintain an organization. After the Great Depression in 1929, socialism spread across the Korean communities in America. Byun embraced socialism through the Korean Academy of Social Science, based on which he developed his own strategies for independence.He used socialism as a tool to promote armed resistance. Thanks to his experience of working on the finance of Korean organizations and human network since the days of Young Korean Academy, the China Aid Society, comprised of progressive Koreans, came into being. He represented the New York branch at Korean National Association and shared where the China Aid Society stood at the gener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Byun acted willingly as the go-between for the nationalist and socialist organizations. After the Korean Volunteers Corps Aid Society was established in China in 1940, Byun focused all his activities to promoting armed resistance. From 1943 and onward, he was appointed the chair of the North America Branch of the Korean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He continued to encourage armed resistance at The United Korean Committee in America, the largest group of Koreans in America. Highly valuing Byun’s activities, OSS had him participate in NAPKO PROJECT. NAPKO PROJECTwas one proof of Byun’s determination and fervor for armed resistance. When Korea was liberated, Byun was in charge of the finance of "Independence" and took on anti-American ideas, criticizing the American military government’s policies. Having devoted his whole life to achieve independence, he could not tolerate the reality where the American government accepted the pro-Japanese groups. Byundied in Los Angeles on February 20, 1966. Byun Jun-ho was committed to gain independence and thus worked tirelessly to bring nationalists and socialists together. While he was a chairperson of a sub-group at the United Korean Committee in America, he dedicated himself to armed resistance, proving that there were more than those in America who argued for the diplomatic independence. He was actively involved with NAPKO even when he knew it was for the American interest because he seemingly wanted to put his words – his firm belief in armed resistance – into action. Most of his life, Byun Jun-ho lived for the independence of Korea, to let the Koreans in America know more about armed resistance. He was one of the people who played a crucial role in maintaining socialism among Koreans in America.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