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의 세대 간 소득 이동성 : 부녀간 소득탄력성 중심으로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among Daughters and Marital Sorting

초록/요약 도움말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KLIPS) 자료를 사용하여 딸의 세대 간 소득탄력성을 추정하고 세대 간 소득이동성에서 선별적 결혼의 역할이 유효한가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아버지와 아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기존 국내의 세대 간 소득이동성 연구에서 아버지와 딸로 분석 범위를 확장하고 정확한 추정치를 얻기 위한 기존 연구들의 노력 이외에, 구체적인 소득이동성의 메커니즘을 찾아보려고 시도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차별성을 둔다. 연구결과 딸의 세대 간 소득탄력성은 0.172였고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아들의 세대 간 소득탄력성 추정치와 비교해 보았을 때, 딸의 세대 간 소득이동성이 아들에 비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혼인 딸을 표본으로 분석한 결과, 남편의 소득과 장인어른의 소득사이에 상당한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고 선별적 결혼의 경향이 부모세대와 자녀세대간의 경제력 대물림을 더 확대시키는 경로가 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였다. 더 나아가 다양한 변수를 통제하여 딸의 세대 간 소득 탄력성을 추정한 결과, 부부간의 유사학력에 따른 선별적 결혼이 존재함을 유추할 수 있었다.

more

초록/요약 도움말

This study estimates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among daughters using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Additionally, I analyze whether role of marital sorting is effective or not. This paper puts distinction from previous papers in extending range from father and son to father and daughter and trying to find mechanism of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This As a result, estimate of intergenerational income elasticity among daughters was 0.172 which is larger than that of Sons. We also find that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father-in-law and son-in-law and marital sort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Furthermore, we can show that when spouse’s education level-variables are controlled in this model,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re is a marital sorting by education level.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