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만조선의 성립과 발전 과정 연구
A StudyontheFormationandTransitionofWiman-Chosu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조범환
- 발행년도 2014
- 학위수여년월 2014. 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도움말 일반대학원 사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403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도움말
이 논문은 위만조선이 어떤 과정을 거쳐 성립·발전하였으며, 여러 세력으로 구성된 사회를 어떻게 통치하였는지를 검토한 글이다. 위만조선은 백 년도 안 되는 짧은 역사를 지닌 국가였지만 南越, 東越, 西南夷의 여러 세력과는 달리 漢의 침공을 1년여 동안 막아냈다. 위만조선은 당시 동아시아의 최강자였던 漢과 맞설 정도의 힘을 갖추었던 것이다. 위만조선을 세운 위만은 기원전 195년에 浿水를 건너 고조선으로 망명하였다. 浿水는 지금의 渾河이다. 고조선은 기원전 4세기 무렵에 燕에 맞설 정도의 힘을 지녔던 국가였지만 기원전 3세기 초 燕에 패해 많은 땅을 빼앗기고 千山山脈 동쪽으로 밀려났다. 이후 고조선은 秦의 통치 아래에 있었으나 秦 붕괴 이후 徼를 넘어 渾河까지 진출하였다. 당시 고조선, 진번 등 여러 세력이 遼東으로 진출하였는데, 고조선의 왕을 맹주로 하는 통치 체제를 이루고 있었다. 이때 고조선은 渾河에서 멀지 않은 곳에 王都를 두었다. 『史記』 朝鮮列傳에서는 “朝鮮王滿者故燕人也”라 하여 위만을 燕人으로 기록하였다. 이것은 위만이 燕 지역 출신임을 의미하는 것이지 위만의 혈통이 燕人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위만은 燕에 복속되어 있던 고조선계였다. 위만이 활동하던 시기에 漢이나 漢의 제후왕국에서는 북방 민족들이 활동하였는데, 위만 역시 盧綰의 燕國에서 활동하였던 인물이었다. 특히 위만이 고조선 망명 후 準王으로부터 후대를 받았다는 점에서 망명 전에 어느 정도의 정치적 지위를 지니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위만은 망명 후 준왕으로부터 박사라는 직책과 고조선의 西邊을 봉읍으로 받았는데, 자신의 직책을 활용하여 중원에서 들어온 유이민과 토착 세력을 규합하여 세력을 키워 나갔다. 어느 정도 세력을 모은 위만은 기원전 191년 이전에 고조선의 도성을 공격하여 함락시켰다. 그러나 고조선의 준왕을 잡는 데는 실패하였다. 이때 위만은 단군왕검의 후손임을 내세워 토착 세력의 지지를 얻어내 대외적으로 箕子의 후손임을 내세웠던 준왕 세력을 몰아내는 데 성공하였다. 즉 위만은 준왕의 고조선을 직접 계승한 것이 아니라 고조선인들의 지지를 바탕으로 준왕 세력을 밀어내고 새로운 고조선 왕조를 연 것이다. 이 과정에서 고조선은 크게 위만을 지지하는 세력과 준왕 왕실을 추종하는 세력으로 갈라졌는데, 준왕 편에 섰던 세력은 후에 낙랑으로 편제되어 위만조선 지역 중에서 남쪽에 자리 잡게 되었다. 반면 위만을 지지했던 세력은 현도 등의 지역으로 편제되었는데, 이들은 위만조선 멸망 후 고구려, 부여 등으로 이어졌다. 준왕을 몰아낸 뒤 위만은 왕검성에 도읍을 정하였다. 왕검성의 위치에 대해서는 樂浪郡 朝鮮縣이 있었던 평양으로 보는 경향이 있으나 청천강 이남 지역은 기원전 2세기 이전에 화폐 사용 흔적이 불분명하고 전국계 철기의 사용도 빈약하다. 이러한 점은 중원에서 들어온 유이민이 중심이 되어 위만조선이 성립되었다는 문헌 기록과 차이를 보인다. 또한 왕검성의 위치와 관련하여 중요한 주를 남겼던 應劭는 樂浪郡 朝鮮縣에 대해서는 단순히 조선에 대한 역사를 기술하였을 뿐이며, 遼東郡 險瀆縣을 위만의 도읍으로 인식하였다. 險瀆은 위만조선의 王畿를 지칭하던 명칭으로, 漢의 玄菟郡에 인접한 渾河 동쪽에 있었다. 왕검성은 太子河를 통해 배로 어느 정도 접근할 수 있었던 곳에 있었는데, 대략 本溪市 서쪽 일대에서 本溪滿族自治縣, 撫順市 남쪽 일대, 新賓 서쪽 일대 사이에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왕검성에 도읍을 정한 뒤 위만은 주변의 여러 세력을 복속하였다. 이를 통해 위만은 기존 준왕 세력 중심의 질서를 완전히 해체하고 위만조선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질서를 이루었다. 이때 濊, 沃沮를 비롯한 많은 세력이 위만조선에 복속되었다. 이러한 위만조선의 성립과 세력 확대로 유이민 세력과 토착 세력 간의 결합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고고학적으로 볼 때 千山山脈 서쪽의 遼河 유역과 遼南 지역은 중원 세력이 주로 거주하였고, 遼南 일부 지역, 千山山脈 일대, 撫順, 桓仁, 遼北 지역에서는 양 세력의 접촉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서북한 및 동북한 일대는 토착 세력이 주로 거주하였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각 지역의 邑 내부구조는 큰 차이를 보였다. 먼저 千山山脈 서쪽에 주로 자리잡은 중국 유이민 세력의 사회는 망명 전에 이미 씨족제적 읍락 공동체 질서가 해체되고 소가족 단위로 분해되어 있었다. 千山山脈 동쪽의 渾江·압록강 일대는 후에 고구려가 성장했던 곳인데, 3세기 이전에 씨족제적 읍락 공동체 질서가 해체되고 개별 가구에 의한 토지 소유와 경영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위만조선 시기에 낙랑으로 편제되었던 압록강 유역 및 서북한 일대는 읍락 공동체적 질서가 완전히 해체되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개별 家戶가 경제 활동의 단위를 이루고 있었다. 반면 동북한 지역은 여전히 씨족제적 읍락 공동체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 이렇게 고조선 사회를 통합·변화시켜 나갔던 위만조선은 相을 정점으로 하는 관료 조직을 갖추었다. 위만조선의 相에 대해서는 중국의 相과 달리 족장적 성격을 지녔을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으나 그렇게 볼 근거는 미약하다. 복수의 相을 두는 것이나 相이 일정 지역을 봉읍으로 가지고 있던 모습은 중원 국가들과 동일하다. 우거왕 시기에 위만조선에 두 명의 相이 확인되는 것은 戰時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相의 업무가 늘어나면서 守相과 같은 성격의 相을 한 명 더 둔 것에 불과하다. 즉 위만조선의 相은 중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왕에 의해 임명되고 왕권을 보좌하는 역할을 한 관료적 성격을 지녔다. 위만조선에는 裨王이라 하여 왕을 칭한 자도 있었는데, 裨王은 왕보다 낮고 열후보다 높은 작위를 가진 자를 지칭하기 위해 위만조선에서 새롭게 창안한 칭호였다. 또한 薉君 南閭처럼 君號를 칭한 자도 확인되는데, 이들은 위만조선의 세력권 안에 있기는 하였으나 위만조선의 실질적인 지배 아래에 있지 않았던 토착 세력의 수장으로, 위만조선과 공동 운명체라는 인식을 지니고 있지 않았던 속국의 수장이었을 뿐이었다. 위만조선은 또한 지방관을 파견하여 각 지역을 통치하였는데, 尼谿相을 통해 尼谿侯國에 관리를 두었음을 알 수 있다. 위만조선은 지방을 크게 郡과 國으로 편제하였는데, 각 지역에 파견된 지방관의 성격에는 차이가 있었다. 실질적인 의미의 군현제가 실시된 곳은 유이민이 주로 거주한 곳이었으며, 토착 세력이 우세한 지역은 군사거점 형태의 통치 기구를 두고 통치하였다. 위만조선 성립에 공헌한 토착 세력 지역은 토착 수장이 통치하는 후국으로 존재하였다. 위만조선은 다양한 정치·사회적 전통을 지닌 세력을 하나의 국가 체제 안에 통합하기 위해 지방관을 파견하는 등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였던 것이다. 그러나 위만조선의 토착 세력 통치에는 한계가 있었다. 기원전 128년에 위만조선의 남쪽에 있었던 薉君 南閭 등이 반기를 들고 漢에 내속을 청한 사건이 일어난 것이다. 이때 漢은 그곳에 滄海郡을 설치했다가 2년여 만에 폐지하였다. 이에 위만조선은 漢의 滄海郡 폐지 이후 토착 세력을 재편하는 작업을 추진하였다. 이를 위해 옥저, 진번 등 청천강 이북 지역에 있었던 세력을 나누어 예군 남려 등의 지역으로 이주시켰다. 즉 위만조선은 진번, 임둔국 수장을 제후왕과 같은 존재로 삼고 예군 남려와 함께 위만조선에 반기를 들었던 토착 세력을 통제하는 데 이용하였던 것이다. 또한 예군 남려 등이 漢에 내속을 청한 사건은 彭吳 등 漢의 상인과의 교류가 원인이었다는 점에서 위만조선은 진번의 세력권 아래에 있었던 여러 세력들이 漢과 직접 교류하는 것도 통제하였다. 이러한 정책은 토착 세력들의 반발을 가져왔고, 결국 이것이 발단이 되어 漢이 위만조선에 쳐들어왔다. 漢은 기원전 109년 가을에 위만조선에 쳐들어왔는데, 漢의 의도와는 달리 전쟁 초기에 위만조선이 漢의 공격을 막아내면서 전쟁은 장기화되었다. 이를 통해 위만조선의 對漢 방어 전략이 제대로 작동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어느 정도 중앙 집권적인 통치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漢의 침공을 장기간 막아낼 정도의 군사 집결 및 물자 확보가 가능했던 것이다.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漢은 위만조선을 회유하려는 자세를 보였다. 이러한 漢의 태도에 위만조선의 고위 대신들은 흔들렸고, 결국 이들은 左將軍의 공격이 거세지고 왕검성 안의 물자가 한계를 보여 가자 漢에 투항하였으며, 기원전 108년 여름에 니계상 參이 우거왕을 살해하고 항복하였다. 그러나 우거왕 사후에도 成己를 중심으로 한 고조선인들의 항쟁이 계속되었고 왕검성은 이듬해 3월경에 함락되었다. 이러한 발전 과정을 거쳤던 위만조선은 준왕을 몰아내고 단군왕검을 시조로 여기는 고조선인들을 모아 세운 국가라는 점에서 준왕의 고조선과는 구별되는 새로운 고조선 왕조라 할 수 있다. 위만조선은 다양한 정치·사회적 경험을 지닌 세력들로 구성되었기에 분열 가능성이 있었던 국가였지만 중원의 중앙 집권적인 통치 체제를 경험한 위만은 다양한 세력들을 하나의 뭉치게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위만조선은 漢의 침공에 맞서 끈질기게 대항할 수 있었다. 준왕의 고조선과는 달리 위만조선은 漢의 침공에 맞설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나라였던 것이다.
more초록/요약 도움말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of Wiman-Chosun This paper examines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of Wiman-Chosun and the governmental method to different people of various ethnic origins. Wiman-Chosun was a country with a short history, but kept off the attack of Han(漢) enemy more than one year, unlike Nanyue(南越), Dongyue(東越), Xinan Barbarians(西南夷). It shows that Wiman-Chosun had power standing against Han empire, the strongest of east asia at that time. Wiman, the founder of Wiman-Chosun, crossed Pae river(浿水) and exiled Old-Chosun at 195 B.C. Pae river is the current Hun He(渾河). Old-Chosun had the force to stand against Yen(燕) state in the 4th century B.C., But after had been defeated in the war against Yen enemy, pushed out to the east of Qian mountains(千山) at the beginning of the 3th century B.C. At Qin(秦) period, Old-Chosun had been ruled by Qin empire. But after the empire had perished, Old-Chosun crossed frontier and advanced to Hun He, Jinbun and several tribes also advanced to Liaodong(遼東). Old-Chosun had became their leader, set up the capital at within cooee of Hun He. The Traditions of the Chosun(朝鮮列傳) Shiji(史記) is written that Wiman was Yan(燕) man. It meant not that Wi-Man was a chinese but Wi-Man came from Yan area, a part of china. Wi-Man was Old-Chosun ancestry, had lived in Yan area. At that time, many foreigners had worked in Han empire and several principalities of Han, Wiman had worked in Yan principality, ruled by Luwan(盧綰). After had came to Old-Chosun as refugee, Wiman received hospitality from Jun King(準王), the king of Old-Chosun, it shows that Wiman was a government official of Yan principality. Wiman was appointed Baksa(博士) and received fiefdom in the western border area from Jun King, then Wiman gathered lots of native people and refugees came from Yen, Qi(齊), Zhao(趙),, developed his power. After developed power, Wiman attacked Jun King and took the capital of Old-Chosun before 191 years B.C.. but failed to catch the king. Then Wiman emphasized what he was a descendant of Dangun-Wanggŏm(檀君王儉). So he achieved the support of the native Old-Chosun people, succeeded to forced Jun King, foreignly had known for a descendant of Ji-Zi(箕子), a wise man of Yin(殷), out of the country. It shows that Wiman-Chosun established to base on support of Old-Chosun people, not succeed to the state ruled by Jun King. At that time Old-Chosun divided into supporters of Wiman and followers of Jun King's royal family, the residence of the latter belonged to Nakrang at Wiman-Chosun period, while the residence of the former belonged to Hyeondo and so on. After Wiman-Chosun had been collapsed, some of the former founded Koguryo, Buyeo, etc. Since had established dynasty, Wiman set up the capital at Wanggum(王儉). Many shcolar supposed that Wanggum castle was located in Pyongyang, the seat of the Lelang-County(樂浪郡) Zhaoxian-Prefecture(朝鮮縣) office. But the south of Cheongcheon river was discovered rarely coins and ironware of Warring States(戰國) style had used before the 2nd B.C. These archaeological states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literature records that Wiman-Chosun was established by refugees came from china. And Yingshao(應劭), leaved behind important annotations in regard to the site of Wanggŏm castle, just described the history of Old-Chosun at the passage of Lelang-County Zhaoxian-Prefecture, on the other hand described a content on the capital built by Wiman at the passage of Liaodong-County(遼東郡) Xiandu-Prefecture(險瀆縣). Xiandu, used to name the land around capital at Wiman-Chosun, was situated at east of Hun-He, neighborhood of Xuantu-County(玄菟郡). Broadly speaking, Wanggŏm castle had been located a point between Taizi-He(太子河) basin, Bunxi(本溪), Bunxi Manju Zizhixian(本溪滿族自治縣), the southern area of Fushun(撫順) and the western of Xinbin(新賓). After had built Wanggŏm capital, Wiman conquered Jinbun, Imdun, Ye(濊), Okjeo(沃沮) and several tribes, gradually refugees came from china and native people were mixed, especially mixed actively in a part of Liao-nan, Qian mountains area, Fushun, Huanrun(桓仁) and Liao-bei(遼北) area. But there was lived refugees in Liao-He(遼河) basin and Liao-nan(遼南) area, native people in the northwest-Korea and the northeast-Korea area. This drove the difference of village inner structure. The village in the western of Qian mountains was composed with lots of small family. In Hun-Jiang(渾江)&Aprok river basin, the east of Qian mountains, the clan society village order(氏族制的 邑落 共同體 秩序) had been disintegrated steadily, holding and cultivating land had been did by each family before 3th A.D. In Aprok river basin and the northwest-Korea area, located Nakrang at Wiman-Chosun period, even though the clan society village order had remained still, each family had been smallest unit of economic activity generally. On the other hand, in northwest-Korea area the clan society village order had been maintained. Meanwhile Wiman-Chosun arranged government bureaucracy, the Supreme government official was Sang(相). A certain recognized that Sang of Wiman-Chosun had possessed character of the patriarch, different from the one of China, but the basis is so weak. But these situation were appeared at both that several Sang had worked at the same time and some of Sang had their own private fiefdom. Namely Sang of Wiman-Chosun, as in the case of China, was government offer appointed by the king on the throne. There was a officer called Biwang(裨王) at Wiman-Chosun, it was a new title had created in Wiman-Chosun for calling the noble ranked higher than duke and lower than king. And our see the person had the title of Gun(君) as Chief Ye(薉君) Namryo(南閭), even though they were lived in Wiman-Chosun, really were not govern by Wiman-Chosu. They were only the head of native chiefdom society. Wiman-Chosun ruled the province by dispatching local minister. Nigye-Sang(尼谿相) was a local minister governing Nigye princely state(尼谿侯国). the region of Wiman-Chosun was composed of several Counties and princely states. The area in which lived mainly refugees came from china, was established Qin-Han(秦·漢) style Counties or Prefectures, but the other area was established a military base style Counties or Prefectures. The land, had ruled by the native head who had contributed to founding Wiman-Chosun, was given to them as fiefdom. Wiman-Chosun had made every endeavour to unify lots of people from diverse cultures. But there was limited to rule lots of native people. At 128 B.C., Ye-Gun Namryo and so on, had lived the southern of Wiman-Chosun, were up in arms against Wiman-Chosun, went and asked for becoming a member of Han. Han organized the area of them to Canghai-County(滄海郡), but two years after abolished the County. So Wiman-Chosun pushed forward a policy to reorganize lots of native people. Wiman-Chosun moved some of Okjeo, Jinbun and so on, had lived at the north of Chungchun river, to the area had established Canghai-County. That time Wiman-Chosun conferred the title of grand duke(諸侯王) on the head of Jinbun and Imdun for receiving their help. Meanwhile, becauce of the trade with merchants of Han set off the Ye-Gun Namryo incident, Wiman-Chosun strengthened the control over several tribes and chiefdoms lived around of Jinbun state. This policy caused repulsion of native people, finally it red invasion of Han enemy. Han invaded Wiman-Chosun at 109 B.C. fall, the war had been prolonged for Wiman-Chosun effectively defend at the beginning. It means a defense strategy of Wiman-Chosun had operated well. But a soft-line policy of Han enemy had agitated high officials of Wiman-Chosun, finally they gave in to Han, Nigye-Sang Sam(參) assassinated Ugeo King(右渠王) and surrendered at 108 B.C. summer. And then Old-Chosun people under the command of Sunggi(成己) resisted Han enemy in succession, but finally Wanggŏm castle fell about match of the following year. Wiman-Chosun was a new dynasty in distinction from Old-Chosun had ruled by Jun King, because that Wiman drove Jun King out abroad and got the widespread support of lots of Old-Chosun people who looked up to Dangun-Wanggŏm as their ancestor. So Wiman had experienced centralized governing rule, he succeed a little to unite lots of people from diverse cultures. This was resistance against attack of Han enemy. Wiman-Chosun was a powerful nation, unlike Old-Chosun had ruled by Jun King.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