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에 따른 행복의 변화와 건강 : 국가간 비교 연구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홍석철
- 발행년도 2014
- 학위수여년월 2014.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도움말 일반대학원 경제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4034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도움말
더 나은 삶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행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국가적으로 정부가 국민의 행복 증진을 위해서 효과적인 경제 정책과 사회 복지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각국의 핵심 정책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마다 나이에 따라 평균 행복 정도가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가 어떠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World Value Survey 자료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나이에 따른 행복감의 변화는 나이에 따른 건강의 변화가 가장 잘 설명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행복과 건강 사이의 역인과 관계의 문제를 명확하게 해결하지 못한 한계를 지닌다. 하지만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연령에 따른 행복의 변화가 국가 공통적으로 연령에 따른 건강의 변화로 설명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초고령 사회에서 나타날 수 있는 노년층의 행복 불균형을 건강의 증진을 통해 해소할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한 점에 있어 의의가 있다.
more초록/요약 도움말
As the interest in a better life grows, happiness index is emphasized. Also making effective economic policies and welfare policies is emerging as key policy task in order to promote people's happiness. In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 in age related average happiness between countries and studied that these changes are affected by any factors. As a result of study using World Value Survey, Change in age related happiness is explained by change in age related health.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reversal causality problem between happiness and health is clearly not resolved. Despite these limitations, by explaining that the change in age related happiness is explained by change in age related health, there are significant that this study provide evidence that older people's happiness disparities which appear in super-aged society can be eliminated through improving health statu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