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The Interpretation of Null Subjects in Korean by Chinese-Speaking Learners

초록/요약 도움말

이 논문은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실시간 영주어(Null Subject) 문장 처리를 살펴보았다.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며 한국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 화자와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한국인 화자간의 영주어 문장 처리 전략 비교의 연구 목적을 위하여 자기 조절 읽기 과제(self-paced reading task)와 지시 대상 선택 과제(referent choice task)를 이용하였으며, 본고는 특히 다음의 세 가지 문제를 주요 연구 과제로 다루었다. (1) 영주어의 지시대상을 찾는 과정에 있어서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의 문장 종결 어미가 부여하는 화•청자 지향성의 영향을 받는가? (2) 담화 주제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영주어 문장 처리 과정에 영향을 주는가? (3) 제2언어로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들의 영주어 문장 처리 양상이 한국어 모국어 화자와 유사한가? 실험 결과 중국어 학습자들은 담화 주제와 문장 종결어미의 화•청자 지향성이라는 두 가지 담화 정보가 함께 주어졌을 때 종결어미의 화•청자 지향성 보다는 담화 주제를 근거로 영주어를 복원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담화 주제 선호는 한국어 모국어 화자의 영주어 문장 처리 전략과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이를 토대로 하여 담화 주제가 담화 지향적인 언어뿐만 아니라 모든 언어의 영주어 해석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범 언어적 담화 주제 중요도 위계로 제시하였다.

more

초록/요약 도움말

This thesis has examined the way in which Chinese-speaking learner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L2) interpret Korean null subjects in an on-line reading task.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elf-paced reading task and a referent choice task were conducted by an experimental group of Chinese speakers.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exploring thre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1) Are Chinese-speaking learners of Korean as an L2 sensitive to the speaker-hearer orientation denoted by the sentence-ending suffixes in retrieving a null subject? (2) Are Chinese-speaking learners of Korean as second language sensitive to the discourse topic in interpreting the referent of a null subject? (3) Are Chinese-speaking learner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similar to Korean monolinguals in interpreting Korean null subjects? It has been found that Chinese-speaking learners of Korean prefer to choose a discourse topic as the antecedent of a null subject in lieu of relying on the speaker-hearer orientation of the sentence-ending suffixes. Based on the main findings, it was concluded that discourse topicality is likely to be prominent in interpreting null subjects across languages as they may vary in accordance with a Universal Prominence Hierarchy of Discourse Topicality proposed at the end of this thesi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