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ject and Point-of-View in Korean: The Syntax-Discourse Interface
- 주제(키워드) 도움말 Subject Constraints , Point-of-View , Jussives , Volitive Modal Suffix -keyss- , Experiencer Predicate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Michael Barrie
- 발행년도 2014
- 학위수여년월 2014.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도움말 일반대학원 영어영문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3997
- 본문언어 영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도움말
This thesis attempts to provide a unified account for subject constraints in Korean, within the framework of the Minimalist Program (Chomsky, 1995 and subsequent work). For this research initiative, three different constructions are examined: the jussive suffixes -la, -ma and -ca, the volitive modal suffix -keyss- and the experiencer predicate constructions. These constructions exhibit the systematic subject constraint patterns depending on their syntactic contexts. The subject is restricted to certain grammatical person in a matrix clause, whereas it is coreferential with the matrix argument(s) in an embedded clause. Moreover, the constraint pattern changes when the -keyss- or the experiencer predicate clause is affixed by an interrogative suffix. I suggest, however, the seemingly diverse behaviors in the different contexts are all identical in that the semantic/pragmatic properties of the constructions require the discourse participants to be realized as the clausal subjects. I propose that a set of anaphoric operators, that encodes the “point of view”, is posited between CP and TP. I also demonstrate how this set of operators involves the syntactic manifestation of the discourse-related subject constraint.
more초록/요약 도움말
본고는 한국어 특정 구문에서 나타나는 주어제약현상을 Chomsky(1995외)의 최소주의(Minimalist Program) 가설의 틀 안에서 일관되게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명령어미 ‘-라’, 약속어미 ‘-마’, 청유어미 ‘-자’를 통칭하는 권고형(jussive) 구문, 의지를 나타내는 양태어미 ‘-겠-‘ 을 포함하는 구문과 경험주를 주어로 하는 심리동사(subject experiencer predicate)구문을 분석하였다. 이 세 가지 구문은 통사 환경에 따라 절주어에 대한 표면적 제약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특성이 있다. 모문의 경우 주어의 문법적 인칭이 제한되고, 내포절의 경우 주어는 모문의 특정 논항에 의해 통제(control)된다. 또한 양태어미 -겠- 구문과 심리동사구문의 경우 평서문과 의문문에서의 제약 형태가 달리 나타난다. 그러나 서로 상이한 것처럼 보이는 각 환경의 주어제약양상은 모두 의미/화용적 이유로 인해 담화참여자가 주어로 실현되어야 한다는 근본적인 제약 원인을 공유한다. 따라서 본고는 통사구조 내에 “관점(point of view)”을 주관하는 대용사적 연산자(anaphoric operator)가 보문구(CP)와 시제구(TP) 사이에 존재함을 제안하고 이 연산자를 통해 담화참여자가 절주어 제약 내용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밝히고자 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