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창의적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m Leader on Members of the Organization’s Creative Job Performance : The Mediating Role of Positive Psychology Capital

초록/요약 도움말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적 직무수행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역할과 각 변인 간 인과관계가 적합한지 그리고 남녀 성별에 있어 어떠한 영향관계를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 긍정심리자본, 창의적 직무수행의 수준에 있어 남녀 간 차이가 존재하는가? 둘째, 변혁적 리더십은 창의적 직무수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변혁적 리더십이 긍정심리자본을 통해 창의적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가설적인 구조적 관계의 적합도는 어떠한가? 셋째, 변혁적 리더십은 창의적 직무수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인가? 넷째,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적 직무수행 간의 관계에 있어 긍정심리자본은 매개효과로서 영향을 미칠 것인가? 마지막으로, 변혁적 리더십은 창의적 직무수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변혁적 리더십이 긍정심리자본을 통해 창의적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가설적인 구조적 관계에 있어 남녀 간의 차이가 존재하는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 긍정심리자본, 창의적 직무수행에 있어 남녀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은 창의적 직무수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변혁적 리더십이 긍정심리자본을 통해 창의적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가설적 구조적 관계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변혁적 리더십은 창의적 직무수행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적 직무수행 간의 관계에 있어 긍정심리자본은 부분 매개효과로서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변혁적 리더십은 창의적 직무수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변혁적 리더십이 긍정심리자본을 통해 창의적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가설적 구조적 관계에 있어 남녀 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후속 연구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을 설정하는데 있어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 및 집단을 직종 및 근로형태를 구분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에서 설정되지 않은 인구통계학적 통제변인과 변인들 간의 수가 조정되어 질 필요가 있다. 특히, 팀장의 성별이 부하직원의 성별에 따라 변혁적 리더십, 긍정심리자본, 창의적 직무수행에 있어 어떻게 영향을 주는 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긍정심리자본과 창의적 직무수행을 측정하는 데 있어 자기평가 자료 이외에 변혁적 리더십의 대상인 팀장 등의 리더가 부하직원 즉, 타인평정을 통해 변인 간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도움말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ole of the Positive Psychology Capital(PysCap) in relation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reative job performance, assess the causality among each variable, and detect the gender effect. To do thi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investigated. First, is there any gender effect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syCap, creative job performance? Second, how adequate are the hypothetical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ing a direct impact on creative job performance,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ing an indirect impact on creative job leadership through PysCap? Third, doe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e a direct static(?) impact on creative job performance? Fourth, will PysCap have a mediating role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reative job performance? Finally, is there a gender effect on the hypothetical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ing a direct impact on creative job performance,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ing an indirect impact on creative job leadership through PysCap? The result is as follow. First,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syCap, creative job performance. Second, the hypothetical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ing a direct impact on creative job performance,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ing an indirect impact on creative job leadership through PysCap are adequate. Thir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direct static impact on creative job performance. Fourth, PysCap has a partial mediating role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reative job performance. Finally, there is a gender effect in the hypothetical structural relationship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ing a direct impact on creative job performance,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ing an indirect impact on creative job leadership through PysCap.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uture studies. First, for the future studies, it is required to selectively choose the research subjects population to be able to distinguish between job types and types of employments for analysis. Second, the number of the demographic control variables and other variables need to be adjusted. Especially, the combinational effect of gender of team leader and subordinates needs to be studied. Finally, in measuring PysCap and creative job performance, in addition to a self-assessment, it would be beneficial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by other means, i.e. peer evaluation or evaluation of team leader by subordinat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