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사교육비의 결정요인과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분석

초록/요약 도움말

본 연구의 목적은 가계의 특성변수가 어떻게 사교육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사교육비 지출의 효과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지역, 학교 급, 부모의 교육수준, 가구소득, 부모 연령, 학생성별 및 학업성취도를 배경변수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통계청의 마이크로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2012년 사교육비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회귀 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계의 사회경제적 요인은 사교육비 지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그 효과는 소득계층 및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부의 교육수준은 사교육비 지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그 효과는 고소득층과 서울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가계의 사교육비 지출은 좋은 학업 성적에는 오히려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 회귀 분석에서는 사교육비 지출이 좋은 학업성적에 정(+) 효과를 가져다주는 것으로 보였지만, 도구변수를 이용한 고려한 추정결과에서는 오히려 사교육비 지출이 증가할 때 좋은 성적을 가질 확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re

초록/요약 도움말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private education and its effect on students'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residence area, school, parents' educational level, household income, age of parents, student gender and student‘s performance level were set as background variables. The data for the study was 'The 2012 Survey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which micro-data service system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provide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 that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 of parent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But the effect is different depending on income level and region, respectively. Especially the father's education level is an important influence on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and this effect is the greatest in high-income and Seoul, respectively. In addition, household spending on private education has a rather good performance of student showed negative effect. Spending on private education is found to have positive impact on a student’s performance using ordinary least squares. However, based on the IV methods, the result shows that increase in expenditure leads to decreasing the probability of a good performance. Key-words: Private Education , Students' Performance, father's education level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