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박타령>의 시점 혼합 양상과 신재효의 의식지향

A Study on Consciousness Intention Found in Shin Jae-Hyo's Bak-taryeong, Focusing on Mixed Patterns of the Point of View

초록/요약 도움말

본고는 19세기 중후반 판소리 분야에서 다방면으로 활약한 인물인 신재효(申在孝)가 당시 전래하던 <흥보가>를 개작한 <박타령>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은 <박타령>에 나타나는 시점의 특징적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그 배면에 개재된 신재효의 의식지향을 밝히는 데에 있다. 이는 담화(discourse)와 거기에 개입한 맥락(context)에 관심을 두는 담화 연구의 일환으로서, 개인작 텍스트로서 <박타령>이 갖는 개성적 면모에 대한 해명과 함께 <박타령>의 구성원리에 대한 입체적 조망을 가능케 해준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를 지닐 수 있다. 특히 본고는 조선 후기 향촌의 사회ㆍ경제적 변동을 중심 화두로 삼은 작품인 <흥보가>를 <박타령>으로 개작하는 데에 신재효의 경제관념이나 계층의식이 중요하게 작용했으리라고 보고, 신재효의 의식지향을 이 두 측면에 집중시켜 논의한다. 그리고 <박타령> 담화상의 시점의 특징적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도출한 내포작가의 의식지향으로부터 신재효의 의식지향을 유추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는 <박타령>이 전연 새롭게 창작된 것이 아니라 기왕에 존재하던 텍스트를 개작한 텍스트이므로, 그 개작 지점에 개작주체의 의식이 적극적으로 간여했으리라는 판단에서다. <박타령>의 담화를 살펴보면, 서술자와 인물의 목소리에 발화주체의 것이라고 보기 어려운 이질적인 시점이 혼합되어 있는 양상이 자주 발견된다. 이는 서술자의 목소리에 인물의 시점이 개입되거나, 인물의 목소리에 서술자의 시점이 개입되는 두 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본고는 바로 이 점을 <박타령>의 담화상의 특징으로 주목해 ‘시점 혼합 양상’이라는 말로 정의하고, 전자의 경우를 ‘인물 시각적 서술’로, 후자의 경우를 ‘서술자 시각적 인물발화’로 명명한다. 이때 혼합되는 시점의 성격은 관념적(ideological) 시점으로서 내포작가의 사유나 이념적 지향과의 밀접한 관련성을 암시한다. <박타령>은 저본(底本)의 제약을 받는 텍스트이기에, 기존 <흥보가>의 서술이나 인물발화를 사용하되 거기에 인물이나 서술자의 관념적 시점을 혼합시키는 방식은 내포작가의 개성적인 의식지향을 드러내는 긴요한 통로로 기능할 수 있는 것이다. 실제로 시점의 혼합이 일어나는 대목은 서술자의 공개적ㆍ직접적 해설이나 논평과 긴밀히 조응하기도 하고, 때로는 그와 또 다른 차원에서 작가의 솔직하고 내밀한 의식을 드러내고 있기도 하므로, <박타령> 전반에 걸쳐 여러 갈래로 분포된 작가의 의식지향을 엿보게 해주는 좋은 지표가 되어준다. <박타령>의 시점 혼합 양상의 첫 번째 유형인 ‘인물 시각적 서술’은 크게 ‘놀부 시각적 서술’과 ‘흥부 시각적 서술’로 나뉜다. 놀부 시각적 서술에서는 서술자의 목소리에 흥부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놀부의 시점이 개입됨으로써 경제적으로 무능한 개인에 대한 비판이 이루어진다. 반면 흥부 시각적 서술에서는 서술자의 목소리에 흥부의 시점이 개입됨으로써 개인의 차원에서 타개하기 힘든 가난과 부익부 빈익빈의 부조리한 사회 현실이 고발된다. 시점 혼합 양상의 두 번째 유형인 ‘서술자 시각적 인물발화’는 크게 ‘현실 논리적 인물발화’와 ‘윤리 이념적 인물발화’로 나뉜다. 현실 논리적 인물발화에서는 현실 논리에 입각한 서술자의 시점이 인물들의 발화에 개입해 의식주(衣食住), 재화 등의 물질적 가치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반면 윤리 이념적 인물발화에서는 윤리 이념에 입각한 서술자의 시점이 인물들의 발화에 개입해 적선, 개과천선, 우애, 이웃 간 화목 등 도덕적 가치가 중요하게 부각된다. 이처럼 서술자나 인물의 목소리에 서로 상반되는 시점(놀부/흥부 시점 또는 현실 논리적/윤리 이념적 시점)이 혼합되고 있다는 사실은 그 배후에 놓인 내포작가의 의식지향 역시 상충하는 것들이 공존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그렇다면 이제 관심은 이러한 의식의 혼란 또는 착종이 나타나게 된 원인에 모아지는데, 이와 관련해서는 <박타령>의 작가인 신재효의 정체성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그가 처했던 복잡하고 특수한 경제적ㆍ계층적 위치는 이러한 의식의 분열적 면모와 상관관계를 지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우선 인물 시각적 서술에서는 향촌 구성원의 빈부 문제에 있어 그 책임 소재를 두고 양가적 의식이 나타나는데, 구체적으로 놀부 시각적 서술에서는 ‘개인’에게 책임을 부과하는 의식이, 흥부 시각적 서술에서는 ‘사회’에 책임을 부과하는 의식이 나타난다. 한편, 서술자 시각적 인물발화에서는 삶의 경제적 안정을 위한 수단으로서 두 개의 상반된 가치가 추구되고 있음을 볼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현실 논리적 인물발화에서는 ‘실리’를 중시하는 의식이, 윤리 이념적 인물발화에서는 ‘당위’를 중시하는 의식이 나타난다. 이렇게 양가적 또는 상충되는 의식이 함께 나타나게 된 데에는 신재효의 요호부민(饒戶富民)으로서의 정체성(경제력 면), 향리로서의 정체성(계층 면)이 복합적으로 작동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조선 후기 요호부민과 향리는 모두 대립하는 두 계급의 중간에 위치한 집단이었는데, 신재효는 이러한 중간적 성격을 지닌 두 집단에 동시에 소속해 있었던 만큼 그러한 분열적 의식은 필연적인 것이기도 했다고 사료된다. 여기에 신재효가 지역의 읍권을 대대로 장악해 온 토착 향리 가문 출신이 아닌, 이른바 가리(假吏)였다는 점을 추가로 고려해볼 때, <박타령>의 시점 혼합 양상과 그것이 보여주는 의식지향의 분열상은 매우 복잡하게 얽혀 있던 신재효의 정체성을 중요한 배후 맥락으로 상정하게 해준다. 이러한 본고의 연구 결과, <박타령>의 담화상에 나타나는 시점 혼합 양상은 그 배면에 놓인 작가의 의식지향의 분열적 면모와 표리(表裏) 관계를 이루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같은 독특한 담화 형태는 <박타령>의 작가인 신재효가 놓였던 경제적ㆍ계층적 위치상의 특수성으로 인해 출현한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었다. 즉, 신재효가 지녔던 요호부민, 향리(특히 ‘가리’)로서의 복합적 정체성은 <박타령>의 다성적 목소리를 빚어낸 주된 동인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more

초록/요약 도움말

This study analyzes Shin Jae-Hyo’s Bak-taryeong, an adaption of Heungbo-ga, one of passed down Pansori works, in order to illuminate his consciousness intention, analyzing a distinctive aspect of a viewpoint in Bak-taryeong. This study has a few significant achievements in studying Bak-taryeong. Most importantly, it illuminates Bak-taryeong’s independent characteristic as a text of an individual product and takes a stereoscopic view of constituting principles of it. This is a part of discourse study which is interested in not only discourse itself but also its context. This paper discusses Shin Jae-Hyo’s consciousness intention focusing on two different aspects: Shin Jae-Hyo’s sense of economy and consciousness of hierarchy, which are believed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Bak-taryeong, the adaption of Heungbo-ga, as its main topics are the economical and social changes in villages in Latter Period Joseon Dynasty. Moreover, this paper analogizes Shin Jae-Hyo’s consciousness intention from implied author’s consciousness intention as analyzing the distinctive aspect of a viewpoint of Bak-taryeong. As Bak-taryeong is not a Shin Jae-Hyo’s own creative product but an adaption of a passed down text, it is thought that the adaptor’s consciousness intention should have been decisively reflected in the product at the point of adaption. As taking a look at the discourse in Bak-taryeong, it is often found that there are extraneous points of view in voices of narrator or characters, which are certainly different from speakers. These can be categorized into two different patterns. In the first pattern, a character’s viewpoint is reflected in the voice of narrator. In the other pattern, a point of narrator’s view is reflected in characters’ voices. This paper gives attention to this point as a feature of a discourse in Bak-taryeong and defines it mixed patterns of the point of view. The first pattern would be named a narration based on viewpoint of characters and the latter pattern would be called a characters’ speaking based on viewpoint of a narrator. The mixed patterns are ideological viewpoint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implied author’s ideological positions. A narration based on viewpoint of characters, the first pattern, is divided into two: a narration based on a point of view of Nolbu and a narration based on a point of view of Heungbu. The narration based on point of view of Nolbu expresses criticism of incompetent people in economic aspect as Nolbu’s viewpoint is reflected in a voice of narrator, which underestimates Heungbu. On the other hand, the narration based on point of view of Heungbu denounces the difficulties of poverty which would not be overcome at an individual level as Heungbu’s viewpoint is reflected in a voice of narrator which faces severeness of realities. The latter pattern, a characters’ speaking based on viewpoint of a narrator is divided into two: actual logical characters’ speaking and ethical ideological characters’ speaking. In actual logical characters’ speaking, material values such as the necessities of life and commodities are emphasized by characters as a narrator’s viewpoint based on actual logic is involved in the characters’ speaking. On the other hand, in ethical ideological characters’ speaking, moral values including repentance, friendliness, harmony among neighbors, are emphasized by characters as a narrator’s viewpoint based on ethical ideology is intervened in the characters’ speaking. As it is discussed above, the fact that the points of view, which counter to each other, such as the point of view of Nolbu and Heungbu or the actual logical viewpoint and ethical ideological viewpoint, are mixed in voices of narrator and characters infers that consciousness intention of the implied author is also self conflicting. Then, the reason why the author’s conscious confusion or entangle is appeared would attract the attention now. In order to discuss this, the identity of the author, Shin Jae-Hyo should be considered. This is because Shin Jae-Hyo’s complicated and particular economic and social position may have a correlation with such conscious split. There is an ambiguous perspective on where the responsibility should lie for the problem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mong members of a community in the narration based on characters’ viewpoint. More specifically, a perspective, which sees the responsibility for poverty lie on person, is appeared in the narration based on the point of view of Nolbu. While the other perspective, which believes the responsibility for poverty lie on society, is shown in the narration based on the point of view of Heungbu. On the other hand, it appears that characters’ speaking based on the narrator’s viewpoint seeks two conflicting values at the same time as a tool, securing economic stability in life. To be more specific, practical benefits are regarded importantly in actual logical characters’ speaking while oughtness is emphasized in ethical ideological characters’ speaking. It is thought that a conflicting identity of Shin Jae-Hyo, as a rich commoner in the aspect of economic position, at the same time, as a Hyangri in the aspect of social position, work multiplicative factor. As a result, this ambiguous and conflicting attitude is shown. In the Latter Period Joseon Dynasty, both a rich commoner and a Hyangri are the groups in between the two conflicting classes. As Shin Jae-Hyo is involved in both intermediate groups, this conscious division may be inevitable. In addition, Shin Jae-Hyo was not one of indigenous Hyangri who have been dominated local power generation after generation in Gochang area. He was rather an heterogenous Hyangri. Regarding this factor, it is critical to count very complicated identity of Shin Jae-Hyo as a background context for the mixed patterns of points of view and dissolution of the consciousness intention in Bak-taryeong. As a result, this study clarifies that the mixed patterns of points of view in Bak-taryeong’s discourse deal with the author’s dissolution of the consciousness intention and background duplicity. This paper also finds out that this distinctive discourse is caused by the particularity of the author Shin Jae-Hyo’s socio-economic position at that time. In other words, polyphonic voices in Bak-taryeong result from Shin Jae-Hyo’s multiple identities as a rich commoner and Hyangri(esp. heterogenous Hyangri).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