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육아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 변인 연구 : 사회적 지지•자아존중감•취업유무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Usage of Online Childcare Community : Focus on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Employment Status

초록/요약 도움말

Study on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Usage of Online Childcare Community -Focus on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Employment Status- YU JIN, KIM Major in Broadcasting The Graduate School of Mass Communication Sogang University This study is for looking into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usage of online childcare community. Among the various variables, I conducted a research on the community users, housewives’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employment status. In order to check if those three factors affect the usage of online childcare community, I took an internet survey targeting the online childcare community users. For the contents of the survey, firstly for the ‘social support scale’, I selected Seung-mi Lee (2004)’s research questions that carried a reduced research on Ji-won Park (1985)’s questions on the ‘social support scale’, and secondly for the ‘self-esteem scale’, I chose ‘Self-esteem Inventory’ that Cooper Smith (1967) produced and Jong-gu Kang (1986) translated. Thirdly for the ‘employment status’ and ‘deed of a community usage’, I adapted Mi-hye Kim (2007)’s research questions, made corrections on some parts and used them. For the collected data, I analyzed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conducted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follows below. First, the users’ ‘social support scale’ showed high significance on the ‘usage purpose and community satisfaction’. It can be interpreted that online childcare community serves as a social support source for housewives and that those housewives also recognize this and utilize the community to attain different supports such as information collection, self-recognition, and emotional stability as shown in Jong-hwa Baek (2001) and Mi-hye Kim (2007)’s researches. Second, the users’ ‘self-esteem’ showed partial significance on the ‘usage purpose and satisfaction’ of online childcare community. For the case of self-esteem, housewives with lower self-regard are shown to utilize the community more for their children’s formation of relationships compared to those with high self-regard. Satisfaction-wise, the group with higher self-regard showed higher satisfaction level on sharing personal information and getting emotional stability than the one with lower self-regard. Third, the employment status did not show any significance on the usage of online childcare community. In addition to this, the users’ employment status did not affect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more

초록/요약 도움말

육아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에 미치는 변인 연구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취업유무를 중심으로- 김 유 진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방송 전공 본 연구는 육아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요인 중, 커뮤니티 이용자인 주부들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취업유무에 국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위 3가지 요인들이 육아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에 영향을 주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육아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 내용으로는 첫째, ‘사회적 지지’의 경우 박지원(1985)의 ‘사회적 지지 척도’ 문항을 축소 연구한 이승미(2004)의 연구 문항을, 둘째, ‘자아 존중감’은 쿠퍼 스미스(Coopersmith,1967)가 제작한 ‘Self-esteem Inventory’를 강종구(1986)가 번역한 것을, 셋째, ‘취업유무’와 ‘커뮤니티 이용 행위’는 김미혜(2007)의 연구 문항을 채택, 일부 문항을 수정 사용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t-test와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들의 사회적 지지 정도는 ‘육아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목적과 커뮤니티 만족도’에서 높은 유의성을 보였다. 이는 백종화(2001), 김미혜(2007) 등의 기존 연구에서처럼, 육아 온라인 커뮤니티가 주부들에게 사회적 지지원으로서 기능을 하고 있으며, 주부들 역시 이를 충분히 인식해, 정보 취득은 물론 자기 인정, 정서적 안정 등의 다양한 지지를 받기 위한 목적으로 육아 커뮤니티를 활용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이용자들의 자아존중감은 ‘육아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목적과 만족도’에서 부분적으로 유의성을 나타냈다. 자아존중감의 경우 자존감이 낮은 주부들이 높은 주부들보다 자녀의 친구 사귀기 등 관계 맺음을 위해 육아 커뮤니티를 더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의 경우는 자존감이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보다 자신의 정보를 공유하거나 정서적 안정을 얻는 부분에서 더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셋째, 이용자들의 취업유무는 육아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밖에, 이용자들의 취업유무는 그들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사이에서도 상관관계가 입증되지 않았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