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대졸 청년 취업결정요인 분석 : 취업준비요인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College Graduates Employment

초록/요약 도움말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졸업자 이상의 고학력 청년들의 취업성과를 결 정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최근 3년간 대학 졸업자의 실질 취업률이 50% 수준에 머무는 등 청년실업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이들의 취업 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 하겠다. 주요 결과로 첫째, 학력에 따른 취업의 결정요인의 경우 4년제 대학 졸업자 에 비해 2,3년제 전문대학 졸업자가 노동시장 진입에 보다 유리한 결과를 낳 았다. 둘째, 전공계열에 따른 취업의 결정 요인은 타 전공에 비해 인문계열이 취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셋째, 졸업평점이 높을 수록 취업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어학연수경험과 청년 인턴제 경험 요인은 취업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구직활동기간은 School to Work의 기간이 짧을수록 취업결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소지한 자격증의 개수에 따른 취업결정요인 분석결과 소지한 자격증이 많을수 록 취업결정에 유리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통제변수로 설정하 였던 인구학적 요인과 가족적 요인 중 연령에 대한 부분만 노동시장 진입에 강력한 영향요인으로 작용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학교교육에서 직업으로의 원활한 이행을 위 하여 산학협력이 중요함을 인지해야 한다. 장기적인 관점으로 볼 때 고등교 육은 선택적으로 노동시장과 접할 수 있어야 하며,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과 실제적인 직업교육을 정착화 하는 정책적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도움말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quiring into the determinants factor of the higher than junior college graduates employment outcomes. During the past three years, college graduates real employment rate is around 50%, young men’s unemployment is going to be on the rise as the social issue, empirical analysis anything that can be the decision factor of their employment outcomes is this research’s significance. As result first, employment determinant as academic ability, junior college graduates got the better fruit than college graduates for entry a labor market. Second, determine employment as major line, humanities line is profitable affect than other majors. Third, higher grade average point make high 취업 possibility. Forth, experience of language study abroad and young man’s internship experience are going to be maiden the negative effect. Fifth, as shorten as school to work term, Job-seeking-activities great effect on determine employment . The last, determine employment factor as the number of possession certificates, we got the result that it affects determine employment. Only on age is the main factor among demographic factors and family factor for the labor market which is set as a control variable. As we see thru this research, We should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for smoothly fulfillment from the school education to the job. As a long-term perspective, selectively higher education can be touched with labor market, we have to improve the policy way with settling down methodical edu-system and actual job educ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