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국내 MBA 학위과정의 학습전이 과정 및 영향요인 연구

초록/요약 도움말

본 연구에서는 평생학습시대 개인과 기업의 경쟁력 제고 수단으로 선호되는 MBA 과정의 학습내용이 어떤 요인에 의해 실제 업무에 전이되는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통합적 연구 모형을 구축하였는데, 독립 변인 군으로는 학습자특성 요인, 교육훈련설계 요인, 업무환경 요인을, 매개 변인 군으로는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를, 종속변인으로는 학습전이를 포함시켰다. 각 요인들에 대한 측정문항은 선행연구에서 그 타당도가 검증된 문항들을 MBA 과정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5점의 Lickert 척도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내 MBA 학위과정에서 학습을 종료한 지 3개월 이상 되는 2013년 8월 졸업자부터 5년이 경과하지 않은 2008년 8월 졸업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3년 10월 11일부터 10월 25일까지 2주 동안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302명의 응답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과 AMOS 1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을 시행하였다. 이후 이원상관관계분석(피어슨 상관계수), 구조방정식모형(SEM),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습자특성 요인(자기효능감, 학습동기)은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 학습전이 모든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주목할 것은 학습자특성 요인의 하위요인인 학습동기이다. 이에 따라 기업의 인사 담당자나 학교 담당자는 교육훈련 전 학습자에게 과정에 대한 정보 제공 등 학습동기 유발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지속적으로 강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훈련설계 요인(교육훈련내용, 전이설계, 강사능력)은 3개의 독립변인군 중 매개변인인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MBA 교육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학교 담당자는 교육훈련 설계나 개발에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특히, 교육훈련설계 요인의 하위요인인 교육훈련내용은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 학습전이 모든 경로에서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으므로 현장 중심적인 과정 설계, 철저한 요구사항 분석 및 반영, 후속 과정을 포함한 과정 개발 등에 대한 실천이 요구된다. 셋째, 업무환경 요인(상사지원, 동료지원, 조직지원)은 3개의 독립변인군 중 유일하게 종속변인인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조직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업무환경 요인의 하위요인에서 주목할 요인은 상사지원과 동료지원으로 MBA 과정의 학습자가 배운 내용을 직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이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 피드백이 필요하다. 넷째, 매개변인인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 종속변인인 학습전이의 관계는 학업성취도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학습전이로 연결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는 점과 학습만족도가 학업성취도를 거치지 않고 학습전이로 가는 경로의 설명력이 더 클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는 학습만족도가 학습전이에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으로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학교 담당자나 기업의 인사담당자는 설문, 인터뷰 등 다양한 만족도 평가를 실행, 반영하며 MBA 학습자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개인 지원자와 회사선발 지원자 집단 간 가설적 연구 모형의 차이에 따르면 회사선발의 경우 MBA 진학에 대한 조직의 지원을 받고 교육을 받기 때문에 업무환경보다 교육훈련설계 요인이, 개인 지원자의 경우 교육훈련 설계요인보다는 업무환경의 융통성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MBA 과정 학습자들의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 학습전이를 높이는데 학습자의 개인적인 특성 즉, 개인차 보다는 교육훈련설계와 업무 환경이 더 중요하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more

초록/요약 도움말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ransfer of learning of MBA courses in the actual business, which is being considered as the most effective way to improve competitiveness of an individual and company in an era of continuing education. For that purpose, a comprehensive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based on preceding studies, and included were student characteristics, education training design and work environment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actors as mediating variables, and transfer of learning as dependent variables. As for the measurement items, questionaries verified with the preceding studies were selected and then adjusted to the MBA courses, and a 5 point Lickert scale was utilized for evaluation.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were MBAs who have completed the course in Korea for more than 3 months (in August 2013) but less than 5 years (in August 2008). Data were gathered for two weeks from October 11, 2013 to October 25, 2013 through on- and off-line surveys, and answers of 302 respondents were utilized for final analysis.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SPSS 18.0 and AMOS 16.0 programs were employ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cause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fter that,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key results are described as the following. First, student characteristic factors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had no meaningful impact on academic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transfer of learning,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learning motivation had a meaningful impact on academic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Accordingly, human resource managers and school managers should be aware of the necessity to continuously search diverse ways to encourage motivation of MBA students before they begin enrollment, such as providing curriculum information and others. Second, education training design factors (training content, transfer design and capabilities of instructors) were found to have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academic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Accordingly, business school administrators who design and operate the MBA curriculums should to continue their efforts for education design and development. In particular, education content, a sub-factor of education training design, was most meaningful in terms of all three factors such as academic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transfer of learning. As a result, program design focused on practice, vigorous analysis and implementation of demands, and post curricular programs must be considered. Third, among the three independent variables, work environmental factors (support from superiors, support from colleagues, and support from organization) was found to be meaningful on the transfer of learning factor, which is notable for organizations. Support from superiors and support from colleagues, in particular, were the two important factors, showing that interest, support and feedback from superiors and colleagues is imperative so that MBAs can actually apply in practice what they have learned. Forth,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mediating variables including academic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and the dependent variable, transfer of learning, show that high academic achievement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transfer of learning and that academic satisfaction is likely to be resulted in transfer of learning without the medi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This implies that academic satisfaction can be the direct cause of transfer of learning, alerting human resource managers and school managers to commence diverse methods of assessment on MBA satisfaction, such a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hus supporting student satisfaction needs. Fifth, difference in hypothetical research models of the individual MBA applicants and that of corporate applicants reveals that company applicants are more motivated from eduction design rather than work environment in joining an MBA, because they are supported by their organization. In case of individual applicants, the flexibility of work environment is more related to the academic achievement. When it comes to improving academic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transfer of learning among MBA students, it may be concluded that education training design factors and work environment factors are more important than differences existing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