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Gender Influences on Motivation and Strategy Use in EFL Reading : Focusing on Different Schooling Types

외국어로서의 영어읽기에서 학습자의 동기와 전략사용에 미치는 남녀 성별의 영향: 단성, 혼성학교 중심으로

초록/요약 도움말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a correlation between reading proficiency and 1) motivation, 2)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y use, 3) gender differences (boys vs. girls), and 4) learning environments (single-sex schools vs. coed schools). 434 fir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from a boy’s high school, a girl’s high school in Seoul and a coed high school in Gyunggi-Province were asked to respond to two questionnaires and complete a C-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more language learners are motivated, the higher their reading proficiency is. In particular, self-efficacy and interest have more significance on reading proficiency than other motivational subcategories such as integrative or instrumental motivation do. This implies that language instructors need to provide students with learning environments where students get motivated and tap into their motivation for better learning. Secondly, learners with a high reading proficiency more frequently use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ies, which suggests that giving instructions for reading strategy use can help learners. The third result shows that gender has significance on motivation. For instance, boys’ self-efficacy and integrative motivation is higher that girls’. Meanwhile, girls showed a higher level of anxiety and instrumental motivation than boy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ce between strategy use and gender. Lastly, learning environments affect students’ motivation and strategy use. Single-sex school boys show the highest level of motivation and more frequently use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ies. Besides, they got the highest score on C-Test. Single-sex school girls feel more anxious. However, there was no big difference between single-sex school boys and single-sex school girls in terms of a reading proficiency. Similarly, coed-school girls have higher anxiety than their male peers, but achieved the noticeably higher score than the boys. In this thesis,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nxiety and English proficiency of girls is considered to result from the different regional backgrounds (the location of school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the teacher (student-teacher attachment).

more

초록/요약 도움말

본 연구는 독해능력에 있어 1) 동기부여의 정도가 영향을 미치는지, 2) 초인지 독해전략 사용에 따라 독해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3) 남녀 성별에 따른 차이가 동기부여의 정도, 학습전략의 사용에 차이가 있는지, 4) 단성, 혼성의 학습환경 에 의한 영향이 학습자의 동기, 학습전략사용, 독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각 요소의 상관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서울의 남자고등학교, 여자고등학교, 경기도의 남녀공학 고등학교 학생 43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양적접근의 방식으로 동기관련 30문항의 설문, 독해전략관련 30문항의 설문, 50개의 빈칸을 채우는 독해능력측정 C-Test 세가지를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동기가 높을수록 전반적으로 독해능력 또한 높다. 특히 자기효율(Self-efficacy)과 흥미도(Interest)는 다른 동기영역(통합적 동기, 도구적 동기)에 비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교육현장에서 학습자의 동기를 끌어올리는 노력이 반드시 이루어 져야 하는 점을 제시한다. 둘째, 독해능력이 높을수록 초인지 독해전략을 빈번히 이용한다. 이는 교육현장에서 적절한 학습전략사용을 위한 지도가 수반 될 경우 독해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을 암시한다. 셋째, 성별에 따라 학습동기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남학생은 자기효율(self-efficacy)와 통합적 동기(integrative motivation)가 높은 반면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에 비해 불안감(anxiety)이 높게 나타났고 영어학습을 외적인 목적을 위한 도구(instrument motivation)로 여기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략사용에 있어 성별과 정적인 관계를 보이지는 않았다. 넷째, 학교종류로 분류한 학습환경이 학습자의 동기와 전략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남자고등학교 학생들이 가장 높은 동기수준을 보였으며 초인지 독해전략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독해능력 또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반면 여자고등학교 학생들이 불안감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에 비해 독해능력에는 남고 학생과 차이가 없었다. 또한 공학학교의 여학생들은 남고, 공학 남학생에 비해 높은 수준의 불안감을 보였지만 같은 학교 남학생에 비해 눈에 띄게 높은 독해능력을 보였다. 이와 관련하여 여고 학생이 낮은 동기와 불안감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높은 독해능력을 보이는 것을 학교의 위치적 특성의 영향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같은 학교 남학생에 비해 공학 여학생이 더 높은 독해 능력을 보일 수 있었던 이유를 잘 형성된 교사와의 관계로 해석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학습자의 동기, 개인의 학습전략, 성별에 따를 차이를 고려한 지도, 그리고 성별로 분리된 학습환경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교사의 면밀한 관찰과 교사-학생 간의 관계유지의 중요성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의 외국어로써의 영어 교수 학습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more